12 1554

Cited 0 times in

말기 암 환자의 삶의 질 측정 도구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quality of life measurement for patients with terminal illness 
Authors
 윤경이 
Issue Date
1998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의 목적은 말기 암 환자들의 간호 제공시, 임상 현장에서 기록과 이해가 용이하며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문제와 함께 영적인 문제도 함께 사정할 수 있는 '삶의 질'측정 도구를 개발하여 암환자 간호 중재의 효과 측정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1975년부터 1996년까지 약 20년간 발표되어졌고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사료되어지는 논문들을 문헌 고찰 한 결과 말기 암 환자들의 삶의 질에 영향하는 여러 요인들을 도출하여 차원으로 나누어 재 분류하였고 이 내용에 호스피스 간호사들의 Conference에서 도출되어진 암 환자들의 삶의 질에 영향하는 변수들에 관한 내용들을 포함시켰고, 이를 근거로 4차원의 22문항으로 구성된 예비 도구가 작성되었다.

총 5단계 7차에 걸친 수정 작업의 결과 최종 문항을 선정하였으며 문헌고찰에 의하여 객관적인 측정이 가능한 항목과 주관적인 측정이 타당한 항목으로 나누고 호스피스 간호사가 환자를 방문하여 수행하는 환자와의 면담시 환자에게 질문되어질 질문의 지침을 일개 병원의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말기 암 환자와 만성 신부전 말기 환자 및 만성 심부전 환자 3인을 대상으로 개발하여 같은 임상 현장에서 근무하는 석사 학위를 소지한 동료 간호사의 조언과 간호학 교수 1인의 조언을 참고로 수정 보완하였다.

말기 암 환자의 삶의 질 측정을 위한 도구는 객관적 측정, 주관적 측정 및 반구조화된 면담법(Semi-structured Interview) 이라는 세 가지의 형식을 접목하여 총 23개의 질문과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반구조화(Semi-structured Interview)된 질문 4가지로 구성되어졌으며 매 2주마다 반복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인천, 대구, 부산의 전국 4개 대도시에 거주하는 정상인 50명, 급성 질환자 50명, 말기 암 환자 50명, 총 150명이었으며 연구자료는 1997년 7월 1일부터 10월 20일까지 총 15주간에 걸쳐서 수집되었다. 연구 도구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삼차원

형식의 총 23문항의 삶의 질 측정도구와 본 도구와 비슷한 개념을 가지고 개발되어 타당성과 신뢰성이 보고된 McGill Quality of Life Questionnare 와 삶의 질을 측정하는 1 항목 등 총 세 가지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검정은 내용 타당도 검정 결과 산출된 요인 각각에 대한 내적 일관성 검증(Cronach'α) 계수와 Pearson 적률 상관 계수로 산출하였다. 측정 도구의 구성 타당도 검정은 집단 비교법에 의하여 수렴과 항목 선정의 완결함(Completeness)으로 검정하였고 세 도구에 의해서 얻어진 측정 결과를 Pearson 적률 상관 계수를 가지고 비교하여 Concurrent validity를 보았다. 세부 항목간의 평균의 차를 비교하기 위하여 Repeated Measures ANOVA 통계 기법으로 분석하여 도구의 일반성과 판별력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발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α값은 0.811로 산출되었으며 가족경제인 차원이 0.847, 영적인 차원이 0.547, 심리적 차원이 0.741, 신체적 차원이 0.484로 각각 나타났다. 정상인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본 도구의 Cronbach α값은 0.720, 급성기 질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본 도구의Cronbach α값은 0.965이었다.

2. 본 도구에 의해서 측정되어진 삶의 질 점수는 McGill 삶의 질 점수와 상관 관계가 높게 나타나고 단순 삶의 질 항목의 점수와는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말기 암 환자 집단에서는 본 도구와 단순 삶의 질 측정 항목이 높은 상관 관계를 나타내서 기존의 두 가지 측정 방법과 같이 삶의 질을 변별 할 수 있고 특별히 말기 암 환자의 삶의 질에 이론적으로 근접하고 있었다. .

3. 단순 삶의 질 항목 점수의 변동을 각 항목별 점수가 설명하는 정도로 알아본 결과 본 도구는 McGill 도구의 항목들 보다 더욱 많은 정도를 설명하고 있어 항목 선정의 완결성에서 뛰어났고, 본 도구는 서로 다른 차원간의 독립성이 McGill 도구보다 뛰어났다.

4. 대상자들의 질병 유무에 따라서 연구 결과를 분석해 보면, 정상인과 급성기 질환군에서 본도구와 McGill 삶의 질 측정 도구 및 단순 삶의 질측정 항목에 의하여 측정되어진 각각의 세 값의 상관 관계는 차이가 없었다.

본 도구의 정상인, 급성기 질환, 말기 암 환자들간의 각 항목별 점수는 몇 개의 특정 항목만 제외하고는 정상인, 급성기 질환자, 말기 암 환자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 차이는 특히 10개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나타나, McGill 삶의 질 측정 도구에 비하여 기존의 질병과 관련된 삶의 질 측정 도구가 갖는 제한점인 일반성의 결여를 극복하는 것으로, McGill 삶의 질 측정 도구 보다 판별력(Discriminant power)이 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급성 질환자와 말기 암 환자 두 군간의 항목의 다름을 비교해 본 결과, 본 도구와 McGill 도구는 모두 각각 4개의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본 도구가 McGill 측정 도구와 마찬가지로 특별히 말기암 환자들의 삶의 질에 영향하는 문제들을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velop an instrument to be used for measuring, recording, and analysing the situation of patients with terminal illness and which can be easily understood by Hospice Nurse working with terminally ill patients, and also to provide and to validate basic data to help hospice patients attain a better quality of life.

So developing this instrument, the researcher first estabilished a conceptual framework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especially qualitative studies with terminally ill patients, and hospice nurse conference records.

Development of the scale was conducted using a method in which 23 items were assessed by subject self report using linear analogue scales. The subjects were 50 healthy persons, 50 persons with acute illness and 50 persons with terminal illness, residing in four metropolitan area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July 1 to October 20, 1997.This instrument consisted of 23 items with 3 different forms, observed assessment scale, self - report scale and semi - structured interview which validates the self - report scale and simultaneously the observed assessment scale.

This instrument covered 4 factors of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 (1)physical symtoms, (2) family & economic burden, (3) emotinality and (4)spirituality, Each item had a possible score of 10.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tested with Cronbach's alpha, Validity was evaluated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of this scale, McGill Quality of Life Questionnare scores and the Simple Quality of Life scale.

Two separate runs of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predict scores on the Simple Quality of Life measurement using the following :(1) Each item on the instrument was entered as a separate variable,(2) Each item on McGill Quality of Life measurement as a separate variable

Futher validation was obtained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strument subscores and McGill Quality of Life measurement subscore for convergence of this scale.

Examination of the discriminant power of the instrument was done using Repeated Measure ANOVA tes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for the quality of life was 0.811(Cronbach alpha ) physical symtoms 0.484, emotionality 0.741, spirituality 0.547 and family and socioeconomics 0.847.

2 This instrument had high correlation with the McGill Quality of Life measurement ( r = 0.768, r = 0.702 ) whereas it had a low correlation with Simple Quality of Life measurement in the healthy and acute stage groups( r = 0.478, r = 0.383 ).

In the terminally Ⅲ group, the instrument had correlations with both the McGill Quality of Life measurement and the Simple Quality of Life measurement.( r = 0.582, r = 0.630 )

3 Multiple regression of individual items on the Simple Quality of Life scores accounted for 62% of the varience in the SQOL. whereas, the McGill Quality of Life measurment scores accounted for 43%.

4 Each correlation collected from the three groups had the same patterns of variations especially but the instrument that developed in this study had higher discriminant power than that of the McGill Quality of Life measurement.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05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74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