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343

Cited 0 times in

한국인에 있어서 담췌관 합류부위의 형태

Other Titles
 (The) pancreaticobiliary ductal union system in orean 
Authors
 이진헌 
Issue Date
1998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담췌관의 합류부위는 담관과 췌관이 만나서 공통관(common channel)을 이루어 십이지장으로 개구되는 형태와 공통관을 이루지 않고 각각 따로 개구되는 분리관(separate opening)의 형태로 나눌 수 있다. 공통관의 길이가 길 경우 담관낭종, 담낭암 및 담석으로 인한 급성췌장염 등이 잘 동반되며, 분리관의 형태인 경우는 알콜에 의한 만성췌장염의 빈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합류부위의 형태는 이러한 질환의 병인론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저자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서 1992년 1월 1일부

터 1997년 12월 31일까지 5년간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을 시행받은 3234예 중 담관과 췌관의 합류부와 십이지장으로의 개구부가 확실히 조영되어 그 길이의 측정 및 형태의 판별이 가능한 307예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54.3(16-85)세였고, 성별은 남자가 156명이었으며 여자는 151명이었다(남: 여=1.03:1).

2. 환자의 병명은 담낭담석 79예(25.7%), 담관담석 70예(22.8%), 담관염 63예(20.5%), 담관암 28예(9.1%), 담낭염 27예(8,8%), 만성췌장염 23예(7.5%), 급성췌장염 20예(6.5%), 췌장암 18예(5.9%), 선천성 담관낭종 11예(3.6%), 담낭암 9예(2.9%) 및 기타 34예(11.1%

)였다.

3. 담췌관 합류부위의 형태는 공통관이 227예(73.9%)였고, 분리관이 80예(26.1%)였으며 각각의 성비는 차이가 없었다(남: 여, 0.99:1 vs 1.16:1,p=0.60).

4. 공통관을 보이는 경우 그 길이는 4.2±3.8 mm 였고, 남자와 여자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4.1±3.4 man vs 4.3±4.1 mm, p=0.84). 공통관의 형태 중 그 길이가 8 mm 이상 되는 경우는 25예(11.0%)였고 15 mm를 초과하는 담췌관 합류이상은 5예(2.2%)였

다.

5. 선천성 담관낭종은 공통관의 길이가 8 mm 이상인 경우 7예(28.0%)가 동반되어 짧은 경우의 2예(1.0%)에 비해 동반빈도가 높았고(p=0.001), 담관낭종이 있는 경우 공통관의 길이가 담관낭종이 없는 경우에 비해 길었다(12.7±7.0 mm vs 2.8±3.2 mm, p=0.001).

6. 공통관의 길이가 8 mm 이상일 때 담낭암의 빈도는 2예(8.0%)이고, 짧은 경우 빈도는 6예(3.0%)로 공통관의 길이가 긴 경우 담낭암이 호발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다(p=0.198). 그러나 담낭암이 있던 증례에서 공통관의 길이는 5.5±6.7 mm로 담낭암이 없는 경우의 3.0±3.6 mm보다 길었다(p=0.042).

7. 담석췌장염에서 공통관의 길이는 6.2±3.6 mm로 담석췌장염이 없는 경우의 4.1±3.8 mm보다 긴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다(p=0.185). 공통관의 길이가 8 mm 이상인 경우 담석췌장염의 빈도는 2예(8.0%)이고, 짧은 경우의 빈도는 5예(2.5%)로 공통

관의 길이가 긴 경우 담석췌장염이 호발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다(p=0.173).

8. 총 35예의 만성췌장염에서 알콜성 만성췌장염은 17예였으며 이중 9예(4.0%)는 공통관이 있었고, 8예는(11.1%)는 분리관의 형태를 보였다(p=0.042).

이상의 결과로 한국인에서의 담췌관 합류부위의 형태는 공통관이 73.9%였고, 분리관은 26.1%였으며 공통관을 보이는 경우 그 길이는 4.2±3.8mm였다. 공통관의 형태 중 그 길이가 8 mm이상 되는 예는 11.0%였고 15mm를 초과하는 예(담췌관 합류이상)는 2.2%였다. 공통관의 길이가 8 mm이상 되는 경우 선천성 담관낭종의 빈도는 증가하였다. 동시에 담낭암과 담석췌장염의 빈도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다. 분리관의 형태에서는 알콜성 만성췌장염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영문]

The anatomy of the distal ends of the common bile duct and the main pancreatic duct has received attention because of its

importance in pancreaticobiliary disese. The two ducts open in the duodenum either separately or via a common channel. But there was no basic data about the pancreaticobiliary ductal union system in Korea. In this study all cases with ERCP were

reviewed for recent 5 years(1992.1.1-1996.12.31). Among 3234 cases, 307 cas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ecause of its clear

identification of pancreaticobiliary ductal system. The results areas follows.

1.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54.3 years with male 156 cases and female 151 cases(M: F=1.03:1).

2. The diseases of the cases are gallbladder stone 25.7%, bile duct stone 22.8%, cholangitis 20.5%, bile duct cancer 9.1%,

cholecystitis 8.8%, chronic pancreatitis 7.5%, and others 30.1%, respectively.

3. The common channel was found in 73.9% of the cases and 26.1% separate openings for the two duct.

4. The length of the common channel was 4.2±3.8 mm, and 11% of the cases exceed 8 mm. The anomalous pancreaticobiliary

dutal union(APBDU) was found in 2.2%.

5. The incidence of congenital choledochal cyst was increased with the longer common channel length( ≥8 mm). The gallbladder cancer and gall stone induced pancreatitis show increased frequency with longer common channel, but no significant statistical results were found.

6. In the separate opening type, the incidence of alcohol induced chronic pancreatitis was increased.

In conclusion, the common channel was noted in 73.9% and 26.1% with separate opening type. The length of the common channel

was 4.2 3.8 mm. There were mutual relationships between pancreaticobiliary ductal union system and pancreaticobiliary disease in Korea.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818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Lee, Jin Hyon(이진헌)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68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