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grounded Theory Appoach to the Recovery Process in adolescents with substance abuse
Authors
현명선
Issue Date
1997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청소년의 물질남용은 사회문화적인 요소와 결부된 네트웍에서 일어나며 회복과정 또한 사회적인 요인 뿐만 아니라 개인내적인 요인 등 여러가지 변수가 복합되어 있는 현상이다. 청소년의 회복과정에 대해 학자마다 다양한 관점을 가지고 있는바, 청소년의 회복과정과 관계가 있는 요인등에 대한 규명이 다양하여 명확한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요인들간의 관계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물질사용 장애 청소년들이 회복과정을 거치면서 한 경험이 무엇인지 탐구 및 서술, 분석하여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Strauss & Corbin(1990)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을 적응하였다.
본 연구에 앞서 이론적 민감성을 높이기 위해서 약물에 중독된 청소년과 면담한 결과 그들은 '자기 존재의 쇠락감'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기간은 1996년 1월 29일 부터 10월 3일 까지 였으며, 연구대상자는 본드, 가스, 러미나, 대마초 등의 물질을 남용한 청소년으로 총 9명(남자 7명, 여자 2명)이었다. 자료는 수집 직후 분석을 하였으며, 자료는 수집과 동시에 분석을 하였으며, 분석한 결과 도출된 개념은 '감각적인 스릴 추구', '욕망에 대한 즉각적인 충족 추구' 등 56가지였으며, 범주는 '즉각적인 쾌락추구', '중독성향' 등 25가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핵심범주는 '자기존재의 새롭게 태어남'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에 따른 과정을 분석한 결과 그들은 '자기존재를 잃어버린 상태'에서 입원하여 자기성찰, 자기직시, 자기노출, 친밀한 관계경험, 약물남용 실체의 발견, 대체 등의 전략이 중재적 변수의 영향을 받아 '자기존재가 새롭게 태어나는 상태'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존재의) 잃어버림->되돌아 봄->드러남->채움-> 새롭게 태어남 등의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 모든 대상자들이 직면하
고 있는 기본적인 사회적 문제는 '자기존재의 상실'이었으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본적인 사회적 과정은 '자기존재의 새롭게 태어남'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각 전략 및 경과 범주간에 있을 수 있는 관계를 기반으로 해서 8개의 가설적 관계 진술문을 진술하였으며, 이러한 가설적 관계 진술문을 근거자료와 지속적으로 비교해 보면서 범주간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관계에 대해 확인한 결과 3가지 유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개의 가설을 도출할 수 있었다.
1. 중압감과 가족으로부터의 일탈정도가 심하고 부모가 심리적으로 부재한 경우는 자기직시, 자기노출, 친밀한 관계 경험, 대체등을 통해서 '자기존재의 새롭게 태어남'은 이루어지며 화해, 해방감, 현실적인 홀로서기를 향한 자기투쟁, 희망적인 상태로 된다.
2. 가족으로부터의 일탈정도가 심하고 부모가 심리적으로 부재한 경우는 자기성찰, 자기노출, 약물남용 실체의 발견 등을 통해서 '자기존재의 새롭게 태어남'은 이루어지며 보편적인 규범추구, 현실적인 홀로서기를 향한 자기투쟁, 희망적인 상태로 된다.
3-1. 중압감과 가족으로부터의 일탈정도가 약하나 부모가 심리적으로 부재한 경우는 자기직시, 약물남용 실체의 발견 등을 통해서 '자기존재의 새롭게 태어남'은 이루어지며 보편적인 규범추구, 사회화, 현실적인 홀로서기를 향한 자기투쟁을 하게 된다.
3-2. 중압감과 가족으로부터의 일탈정도가 약하나 부모가 심리적으로 부재한 경우는 자기성찰, 자기직시, 친밀한 관계 경험 등을 통해서 '자기존재의 새롭게 태어남'은 이루어지며 화해, 해방감을 가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약물로부터 단절됨과 항복은 의미있는 중재변수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자기존재의 새롭게 태어남'의 과정은 시간에 따른 간호중재의 개발을 위한 하나의 기틀을 제공해 주며, 위에서 제시한 가설은 회복과정에 속해 있는 개념과 개념 간의 관계에 대해서 파악하도록 해줄 것이다.
[영문]
Drug abuse in adolescents occurs whin their socio-cultural network(context), therefore it cannot be dealt with without considering the social-cultural aspects. Thus, the recovery process in drug abuse is related to multivariate complex phenomena. Even though there are various opinions and views about major factors affecting the recovery process, identification and validation of those factors has not been sufficiently clarified. Also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is not been clarifi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substantive theory about the recovery process in adolescents with substance abuse after exploring, describing, and analyzing the experience of the recovery process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the Grounded Theory Method developed by Strauss & Corbin(1990) which is useful in exposing and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the recovery process, and in gaining a new perspective in this area.
An interview with addicted adolescent was conductd to impove the theoretical sensitivity. In this interview, adolescents with drug abuse were found to be experiencing a self-annihilation.
The study was perpormed from January, 29, 1996 to October 3, 1996. the sample consist of nine adolescents, seven male and two female, who were using substances such as Bond, Gas, Rumila, and Marihuana before admissio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performed simultaneously.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were 56 kinds of concepts including sensible thrill pursuit and prompt satisfaction pursuit of one's desire, and that there were 25 kinds of categories like prompt pleasure pursuit, addictive tendency etc. The term " Becoming newly born in self-existence" was the core category in this study. Adolescents with substance abuse were hospitalized in a state of lost self-existence, and they recovered toward "Becoming newly born in self-existence" using such strategies as self introspection, self confrontation, self disclosure, intimate relationship experience, self-recognition, and substitution under the influence of mediating variables. The analysis of the recovery process over time revealed that adolescents with substance abose experienced the following processes, loss of self-existence, and newly born self-existence in that order. And the basic social problem which all subjects were facing in this study indicates 'the loss of self-existence' and the basic social precess which they were using to solve this problem indicates 'becoming newly born in self-existence'.
Seven hypothetical statements were derived from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re category and the other categories. The statements were validated by going back to the data. As a result, three types were observed and four hypotheses were derived from the validation.
1. Under the condition of severe psychological weight, the breaking away from family, and the psychological absence of the parents, "Becoming newly born in self-existence" proceeds through self-confrontation, self disclosure, intimate relationship experience, substitution toward reconciliation, emancipation, self-striving for realistic independence, and hope.
2. Under the condition of severe breaking away from family, and the psychological absence of the parent, "Becoming newly born in self-existence" proceeds through self introspection, self disclosure, and discovery of the drug abuse toward the conventional norm pirsuit, self-striving for realistic indepence, and hope.
3-1. Under the condition of the mild psychological weight, breaking away from family, and the psychological absence of the parents, "Becoming newly born in self-existence" proceeds through self introspection, and intimate relationship experience, toward the conventional norm pursuit, socialization, and self-striving
for realistic indepence.
3-2. Under condition of the mild psychological weight, breaking away from family, and the psychological absence of the parents, "Becoming newly born in self-existence" proceeds through self introspection, self-confrontation, intimate relationship experience, toward reconciliation and emancipation. Also in this
process, being broken from the drug and surrendering is significant intervening variables.
It is expected that the "Becoming newly born in self-existence" process will provide a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the nursing interventions over time, and the suggested hypotheses make it possible to understand statements among concepts about the recovery process adolescents with sustance ab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