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17 1294

Cited 0 times in

환자 시뮬레이터 (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imulation educational program using a 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 
Authors
 함영림 
Issue Date
2009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간호과정을 기반으로 하여 환자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단계와 효과를 평가하는 단계로 진행되었으며, 환자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서 성인간호학 영역 중 2학년은 호흡기능 장애, 소화기능 장애를 가진 대상자와 3학년은 순환기능 장애, 신경기능 장애를 가진 대상자에 대한 4가지의 시나리오 개발 영역을 선정하고 교육목표, 시나리오 구성, 시뮬레이션 흐름도 작성, 학생용과 교수용 지침서 및 간호과정 작성을 하였다.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효과 평가를 위한 단계로 개발된 프로그램이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력,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 설계를 시행하였다. 중재 기간은 2009년 3월부터 5월까지이며, 연구대상은 J시에 소재하고 있는 D대학의 2, 3학년 간호학생으로 실험군 2학년 23명, 3학년 22명과 대조군 2학년 22명, 3학년 22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군에게는 환자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2개의 시나리오를 적용하고, 대조군은 시뮬레이션의 일반적 형태인 사례 연구를 2가지 적용한 후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력, 학업성취도에 대한 설문지를 통해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χ2 검정, Mann-Whitney U 검정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환자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은 2학년은 천식, 췌장염을 가진 대상자와 3학년은 심근 경색증, 뇌졸중을 가진 대상자에 대한 4가지 영역의 시나리오 개발, 교육목표 설정, 시뮬레이션 흐름도 작성, 지침서 및 간호과정 작성을 거쳐 학습 과정으로 개발되었다.2. 가설 검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환자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사례 연구를 한 대조군보다 비판적 사고성향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2, 3학년 모두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높아 가설 1은 지지되었다. 또한 비판적 사고성향의 하위영역 중, 2학년은 ‘지적열정/호기심’(U=105.5, p=.01), ‘객관성’(U=106.5, p=.01) 영역에서 3학년은 ‘지적열정/호기심’(U=120.0, p=.01), ‘신중성’(U=125.0, p=.01), ‘객관성’(U=127.5, p=.01) 영역에서 실험군의 점수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므로 비판적 사고성향의 7가지 하부 항목에서는 일부만 지지되었다.2) 제 2가설: “환자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사례 연구를 한 대조군보다 문제해결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2, 3학년 모두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높아 가설 2는 지지되었다.3) 제 3가설: “환자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사례 연구를 한 대조군보다 문제해결형 지식의 학업성취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2, 3학년 모두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점수가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가설 3은 기각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간호과정이 기반된 환자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은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환자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개발시 간호과정을 적용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추후 환자 시뮬레이터의 적극적 활용 및 중재 효과를 다양하게 입증하는 종단적 연구가 수행될 것을 제언한다.





[영문]
Files in This Item:
T01123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04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