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elf-management program for subjects with metabolic syndrome in rural areas
Authors
현사생
Issue Date
2009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 자가관리 프로그램이 농촌지역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대사관련 지표와 자기효능감, 자가관리 이행,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중재방법 별 효과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된 실험연구이다. C도에 속한 5개의 보건진료소에서 기초 자료와 사전검사를 거쳐 확인된 대사증후군 대상자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98명을 무작위 할당법으로 직접대면 관리군과 전화 관리군, 대조군에 각각 배정하였으며, 12주간 건강계약과 교육, 운동과 식이, 자가관리 기록으로 구성된 자가관리 프로그램을 중재받았고, 최종검사에 참여한 사람은 직접관리군 38명, 전화 관리군 33명, 대조군 20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08년 8월 5일부터 2008년 10월 25일까지였다.
측정변수는 대사관련 지표인 체중과 혈압, 복부둘레, 체질량 지수, 공복혈당,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체지방량과 자기효능감, 자가관리 이행, 삶의 질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Window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행위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세 집단 간의 동질성은 F-test 또는 χ2-test로 검정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는 repeated measures ANCOVA로 검정하였으며, 직접대면 관리군과 전화 관리군, 대조군 간의 효과 차이에 대한 가설 검정은 One way ANOVA(사후 검정법은 Tukey)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모든 통계의 유의 수준은 p<0.05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프로그램 중재 후, 대사 관련 지표에서, 중재를 받은 직접대면 관리군과 전화 관리군이 대조군에 비해 체중(p=0.001)과 복부둘레(p=0.001)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중성지방과 공복혈당,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저밀도 콜레스테롤과 체질량 지수는 직접대면 관리군과 전화 관리군이 대조군에 비해 더 감소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는 않았다. 중재제공 방법에 따라서는 직접대면 관리군과 전화 관리군 간에 체중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0).
2. 프로그램 중재 후, 자기효능감은 세군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제공 방법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946).
3. 프로그램 중재 후, 자가관리 이행은 직접대면 관리군에서 25.4점, 전화 관리군에서 24점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에서는 4.9점이 증가하여 각 군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0). 중재제공 방법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4. 프로그램 중재 후, 삶의 질은 신체영역에서 세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008), 정신영역에서의 세 군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335). 중재제공 방법에 따라서는 신체영역, 정신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12주간의 대사증후군 자가관리 프로그램 후 실험군은 대사관련 지표에서 체중과 복부둘레가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 자가관리 이행이 증가하였으며 삶의 질이 부분적으로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중재제공 방법별 비교를 통해서 살펴본 것처럼 직접대면 관리방법이 가장 효과적이었지만, 전화 관리방법도 대조군과 비교해 볼 때 대사지표 개선의 효과가 일부 확인된 만큼, 농어촌 지역과 같이 대상자를 관리하기 위한 인력이나 여건이 충분하지 못할 때 전화를 통한 관리만으로도 대사증후군 지표의 개선효과를 어느 정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대사증후군 자가관리 프로그램이 지역사회의 일차 보건의료기관에서 예방적 프로그램으로서의 효율적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겠다.
[영문]This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programs for subjects with metabolic syndrome in rural areas on metabolic indices, self-efficacy, self-management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were conveniently recruited at five healthcare centers in the C Province. Ninety-eight subjects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wo experiment groups - face-to-face management group and phone management group - and one control group. Final subjects included in the face-to-face management group were 38, 33 subjects included in the phone management group, and 20 subjects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self-management program consisted of health contract, education, exercise and diet, and self-management records.
The period of this research was 12 weeks from August 5, 2008 to October 25, 2008. For the first four weeks, the experiment groups were arranged to visit the healthcare centers once a week and the face-to-face management group continued to visit the centers once a week for the rest of the period whereas the phone management group was managed by phone once a week. The control group received self-management materials, dumbbell, and pedometers.
Outcome variables were metabolic indices , including body weight, blood pressure, waist measurement, BMI, fasting blood glucose,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triglyceride, body fat. Other variables included were self-efficacy, self-management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The data were analysed with SPSS 12.0 Window Program.
The following we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The experiment groups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body weight (p=0.001) and waist circumference (p=0.00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ir triglyceride, fasting glucose,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low-density cholesterol, and BMI also reduced mo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for the management metho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eights between the face-to-face management group and the phone management group (p=0.000).
2. Self-efficacy improved for all three group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ace-to-face management group and the phone management group were found (p=0.946).
3. Self-management performan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p to 25.4 points in the face-to-face management group, 24 points the phone management group, and 4.9 points in the control group (p=0.000).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ce-to-face management group and the phone management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4. Although quality of lif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hysical dimension (p=0.008),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 mental dimension (p=.335).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and the mental areas in relation to the management methods.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12-week self-management program improves most of their metabolic indices self-management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in rural subjects with metabolic syndrome. The study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face-to-face contact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The telephone contact was also effective in some of metabolic indices such as body weight. Community health care professionals should utilize effective self-management program to manage metabolic syndrome, and to prevent cardiovascular complication in this pop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