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767

Cited 0 times in

시청각 관심전환요법이 봉합술 시 아동의 통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audiovisual distraction on children's pain during laceration repair 
Authors
 하영옥 
Issue Date
2009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응급실에서 봉합술을 받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아동이 선호하는 시청각 관심전환요법이 아동의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무작위통제실험(Randomized Controlled Trial)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이론적 기틀은 McCaul과 Malott(1984)의 관심전환 모델(Distraction Model)과 Melzack과 Casey(1968)의 관문통제이론(Gate Control Theory)에 근거하여 시청각 관심전환요법의 통증 효과에 대한 개념적 기틀을 도출하였다.

경기도 소재 I 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5cm 미만의 피부나 피하조직 손상으로 인해 봉합술이 요구되는 3세에서 10세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8년 3월 1일부터 9월 14일까지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총 84명으로 G*Power 3.0 version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α=0.05, power =0.8, 그리고 중간효과크기 0.55로 도출되었으며 실험군 42명과 대조군 42명은 SPSS 15.0 프로그램의 무작위 표본추출 방법을 통해 배정되었다.

아동의 감각적 통증은 안면통증척도와 시각적 상사척도로 측정되었고, 정서적 통증은 시각적 상사척도와 LeBaron과 Zeltzer(1984)에 의해 개발된 행동관찰 체크리스트(Procedure Behavior Check List; PBCL)로 측정되었으며, 그리고 생리적 통증은 타액 코티졸 수치로 측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과 AMO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 하였고, 실수와 백분율, test, t-test, ANCOVA, 그리고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시청각 관심전환요법의 효과 모형을 검증하고자 구조 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청각 관심전환요법을 받은 실험군이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통증의 감각적 반응이 유의하게 낮았다(안면통증척도(FPRS) F=`4.515, p=.037; 시각적 상사척도(VAS) F=`14.324, p=.000).

2. 시청각 관심전환요법을 받은 실험군이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통증의 정서적 반응이 유의하게 낮았다(시각적 상사척도(VAS) F=18.534, p=.000; 행동관찰 체크리스트(PBCL) t=4.070, p=.000).

3. 시청각 관심전환요법을 받은 실험군과 받지 않은 대조군의 통증의 생리적 반응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Salivary Cortisol F=.058, p=.810).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시청각 관심전환요법을 받은 실험군이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통증의 감각적, 정서적 반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나 시청각 관심전환요법이 효과적인 중재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타액 코티졸을 통한 통증의 생리적 반응은 실험군과 대조군이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한 효과 모형 검증 결과, 연구 모형은 =20.942, df=20, TLI=.991, CFI=.995, RMSEA=.024로 매우 좋은 적합도로 나타났다. 또한 시청각 관심전환요법은 아동의 자가보고 통증과 보호자가 보고한 아동의 통증과 불안반응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p<.001), 학령전기보다 학령기 아동의 사후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서(p<.01) 시청각 관심전환요법이 학령기 아동의 통증 경감에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청각 관심전환요법은 의사의 처방이나 추가적인 간호 인력의 요구 없이 아동의 흥미를 충분히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응급실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활용도 높은 독자적인 간호중재 방법이라 사료되며 요추천자나 비관혈적 정복술을 받는 아동을 대상으로 시청각 관심전환요법 적용 시 통증 경감에 효과적인지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audiovisual distraction significantly reduces children's pain during laceration repair in the emergency department.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study was derived from the gate control theory by Melzack & Casey(1968) and the distraction model by McCaul & Malott(1984) to reduce children's pain during a laceration repair.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d a power analysis was used to predict sample size. Using the G*power 3.0 software program, a sample of 84 children (42/group) was needed to achieve a power of .80.

The participants were 84 children (age range: 3-10 years) who presented with uncomplicated lacerations at the emergency department, and they were randomiz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standard laceration repair with audiovisual distraction) or the control group (standard laceration repair without audiovisual distraction) by using a randomization tabl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1 2008 to September 14 2008.

The sensory pain response was measured by the Faces Pain Rating Scale (FPRS) and the Visual Analog Scale (VAS) before and after laceration repair. The affective pain response was measured by the Visual Analog Scale before and after laceration repair, and the Procedure Behavior Check List (PBCL) during laceration repair. The physiological pain response was measured by the salivary cortisol level after laceration repair.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15.0 version and Amos 7.0 version, and the data was analyzed for the descriptive statistics by tests, t-tests, ANC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1. The children's sensory pain respons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FPRS; F=`4.515,

p=.037, VAS; F=`14.324, p=.000).

2. The children's affective pain respons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VSA; F=18.534,

p=.000, PBCL; t=4.070, p=.000).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ysiological

pain respons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058, p=.810).

4. The audiovisual distraction was more effective for the school children

than that for the preschool children (p<.01).

In conclusion, it was proved that children who watched audiovisual distraction during laceration repair in an emergency department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sensory and affective pain responses than did a control group. The audiovisual distraction had no effect on the physiological pain response, as measured by the salivary cortisol level.

It is hoped that this intervention study will enable health care providers to better understand the effects of children's invasive procedural pain and they will assist emergency nurses in implementing nonpharmachological intervention for children who suffer invasive procedural pai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69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