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5 1122

Cited 0 times in

정기 산전검사와 자궁동맥 도플러 혈류검사를 통한 중증 전자간증의 예측

Other Titles
 Prediction of severe preeclampsia with routine antenatal care and uterine artery doppler velocimetry 
Authors
 임승철 
Issue Date
2009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목적: 정기적 산전검사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통하여 중증 전자간증의 발생과 관련 있는 인자를 파악하고 이 요인들의 상대 위험도를 평가하여 중증 전자간증 발생 예측의 유용성을 평가한다.

연구방법: 2003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에서 임신 제1삼분기부터 정기적인 산전진찰을 받고 분만한 876명의 단태임신 산모를 대상으로 환자의 의무기록, 진단검사의학적 검사 결과 그리고 초음파검사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내과적 질환, 다태임신, 전자간증 이외의 산과적 합병증이 있는 환자는 제외하였고 태아기형이 확인된 경우도 제외하였다. 산과력, 임신 제1삼분기의 혈청화학적 검사, 임신 제2삼분기의 기형아 선별을 위한 삼중표지자검사, 임신 제2삼분기의 자궁동맥 도플러 혈류 검사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876명의 산모 중에서 38명이 중증 전자간증으로 진단되었다 (4.3%). 정상군과 중증 전자간증군사이에서 일변량 분석을 통하여 산모의 나이, 체질량지수, 중심동맥압, 산모혈청의 화학적검사(BUN, 크리아티닌, 요산), 삼중 표지자 검사 중 알파태아단백, 사람융모생식샘자극호르몬 그리고 자궁동맥 도플러 검사가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이들 위험인자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이전 임신에서의 전자간증 발생의 기왕력이 가장 높은 위험도를 보였다 (OR 67.0, 95% CI 18.8-238.3). 다음으로 비정상 자궁동맥 도플러(OR 7.9, 95% CI 2.8-22.4), 알파태아단백(OR 6.8, 95% CI 1.9-24.6), 사람융모생식샘자극호르몬(OR 3.0, 95% CI 1.3-7.0)의 순서였다. 체질량지수와 평균동맥압 그리고 요산의 증가도 중증 전자간증의 발생에 있어 위험인자로 작용하였다.

결론: 정기 산전검사에서 전자간증의 기왕력이 가장 높은 위험도를 보였다. 비정상 자궁동맥 도플러 혈류 검사와 기형아 선별을 위한 삼중표지자 검사 중 알파태아단백, 사람융모생식샘자극호르몬의 증가는 중증 전자간증을 예측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체질량지수의 증가, 평균동맥압의 상승, 혈중 요산의 증가가 중증 전자간증 예측 인자가 될 수 있다.



[영문]Objective: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and relative risk for preeclampsia from data obtained through routine antenatal care

Methods: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876 pregnant women who received continuous routine antenatal care and delivered at Yonsei University Health System from Jan. 2003 to Dec. 2007.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laboratory data and ultrasonographic findings. Pregnancies with multiple gestation, congenital anomaly, and abnormal placentation were excluded.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by chi-square,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by SPSS (ver. 14.0).

Results: Thirty eight women were diagnosed with severe preeclampsia among the 876 women in the study group. Age, body mass index (BMI), mean arterial pressure, maternal serum chemistry (BUN, creatinine and uric acid),13 AFP, hCG, and abnormal artery Doppler velocimetr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preeclamtic group and normal group according to the univariate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evaluate risk factors for severe preeclampsia. Prior history of preeclampsia was the strongest risk factor (OR 67.0, 95% CI 18.8-238.3). Abnormal uterine artery Doppler was the second highest risk factor (OR 7.9, 95% CI 2.8-22.4) followed by AFP(OR 6.8, 95% CI 1.9-24.6) and hCG (OR 3.0, 95% CI 1.3-7.0). BMI and mean arterial pressure were risk factors for severe preeclapmsia

Conclusion: Elevated level of AFP, hCG and abnormal uterine artery Doppler velocimetry could be used as risk factors for severe preeclampsia. BMI and MAP were also significant risk factors. Overall, the most powerful risk factors for preeclampsia was prior history of preeclampsia in multiparity.
Files in This Item:
T01083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산부인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Lim, Seung Chul(임승철)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64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