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830

Cited 0 times in

임부 성생활의 질 측정도구 개발

Other Titles
 (A) measure of multidimensional quality of sexual life in pregnant women 
Authors
 양은영 
Issue Date
2009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임부 성생활의 질을 포괄적이며 다차원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을 위한 방법론적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진행되었다.

우선 성관련 도구와 문헌에 관한 고찰, 그리고 임부와의 면대면 인터뷰를 통해 성생활의 질 개념과 11개의 구성요인을 확인하고 각 요인을 측정할 수 있는 236개의 초기문항을 수집하였다. 이들 문항에 대한 임부와 전문가 집단의 안면/내용타당도 검정을 거쳐 예비조사 도구를 작성하였다. 예비조사 도구는 3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문항에 대한 만족도와 중요도를 6점 척도를 사용하여 동시에 그리고 별도로 평가하도록 고안되었다. 지시사항과 문항의 이해도, 문항의 배열 그리고 만족도/중요도 형식의 적절성을 검정하기 위해 실제로 38명의 임부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 자료에 대한 KMO 측정치 검정과 Bartlett's test를 실시한 후 요인분석을 한 결과 4개의 요인, 즉 ‘성적 자긍심’ 요인 (5문항), ‘성적 기능’ 요인 (5문항), ‘성생활에 관한 염려’ 요인 (4문항) 그리고 ‘남편과의 성적 친밀성’ 요인 (2문항)이 확인되었다. 이들 16개 문항으로 구성된 전체 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수치가 .914였으며, FⅠ은 .821, FⅡ는 .860, FⅢ은 .811로 대단히 만족스러운 수준이었다. 그러나 FⅣ ‘부부간의 성적 친밀성’ 요인은 alpha 수치가 .576이었으며 두 문항만이 적재되어 있어 이 요인을 강화하기 위하여 전문가 집단의 내용타당도 평가에 따라 세 문항을 추가시켰다. 19개 문항으로 구성된 측정도구를 202명의 임부에게 실시하고 요인분석, 신뢰도, 준거/판별타당도 검정의 단계를 거쳐 최종적인 임부 성생활의 질 척도를 완성하였다.

최종도구는 19개의 문항과 4개의 독립된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문항에 대한 만족도와 중요도를 6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각 문항은 그 만족도와 중요도를 동시에 평가하게 됨으로 모든 문항이 중립적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채점방법에 있어 중요도를 만족도에 반영시키게 된다. 요인분석에 대한 자료의 적합성을 KMO 측정치와 Bartlett's test로 확인한 후 Kaiser 기준과 scree test, 그리고 varimax rotation을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한 결과 예비조사와 거의 일치된 요인구조를 보여주었다. 추출된 네 요인은 의미도 명확할 뿐만 아니라 전체 변량의 73.04%를 설명하고 있어 척도의 대표성을 보여주었다. 요인별로는 ‘성적 기능’에 관한 요인이 5문항, ‘부부간의 성적 친밀성’ 요인이 6문항, ‘성적 자긍심’ 요인이 4문항 그리고 ‘임신 중 성생활에 대한 염려’ 요인이 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전체 척도의 신뢰도 (alpha=.899)는 매우 만족스러운 수준이며 네 요인의 alpha 계수도 .689-.949로 나타났다. 준거타당도 검정은 문혜숙의 결혼 만족도 척도를 사용, r=.474 (p<.001)의 상관계수를 얻었다. 또 다른 준거타당도 검정은 남편과의 갈등 점수를 사용, r=-.254 (p<.001)의 상관계수를 얻었다. 이러한 수치는 개발 초기 단계에서는 만족스러운 수준이라 간주되지만 추후 연구에서 표본규모를 확대하여 보다 강화된 검정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판별타당도 검정은 Walker, Sechrist & Pender의 대인관계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상관계수는 r=-.046 (p>.05, not sig.)으로서 거의 완전한 판별타당도를 보여 주었다. 요인별 타당도는 추후 연구에서 보다 강화된 검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측정도구의 특징은 19개 문항의 점수를 모두 종합한 전체적인 성생활의 질을 사정할 수도 있으며 4개의 요인별 특성에 따라 해당되는 문항의 점수만을 종합하여 개별적 요인에 대한 성생활의 질을 평가할 수 있다. 본 측정도구의 개발은 임부 성생활의 질에 관한 간호이론, 간호연구, 특히 구체적인 간호계획/중재 프로그램 개발 등 간호실무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multidimensional measure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sexual life in pregnant women (QoSLPW) and describes its derivation, characteristics, factorial structure and several applications. Reasons for developing the measure include the lack of such tools for pregnant women and the heavy emphasis on the functional aspect of sexual life during pregnancy in many tools. There were four stages in development of the measure. The first stage was devoted to interviewing pregnant women and literature review about the concept and factor structure of QoSLPW. A total of 21 pregnant women were interviewed and more than 200 literatures were reviewed. The second stage was to select appropriate items for the measure from the initial 236-item pool based on their face/content validity by six professionals with nursing background and to subsequently validate them by interviewing pregnant women. At this stage the number of items for preliminary QoSLPW measure was reduced to 30 items. In the third stage the preliminary measure was administered to 38 pregnant women for individual item analysis, factor analyses and reliability testing. Consequently the measure was reduced to 16 items loaded on the meaningful four-factor structure and yielded a very high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914. However the fourth factor, 'Sexual Intimacy' was found to have only two items loaded and its alpha was relatively low (alpha=.576) compared to the other three factors (.811-.860). To strengthen the meaningfulness of the fourth factor and to improve its reliability, three items were added to the measure with a thorough evaluation of their face/content validity by three professionals. In the fourth stage, the final form of QoSLPW measure consisting of 19 items was administered to 202 pregnant women resid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s, with the goal of exploring the underlying factor structure and testing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collected data satisfied KMO and Bartlett's tests and the measure was found to have four clearly defined factors accounting for 73.04% of the total variance. The factors were FⅠ, 'Sexual Function' with 5 items (alpha=.949), FⅡ, 'Sexual Intimacy with Husband' with 6 items (alpha=.894), FⅢ, 'Sexual Self-esteem' with 4 items (alpha=.854) and FⅣ, 'Worries about Sexual Life during Pregnancy' with 4 items (alpha=.689).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alpha) for the total measure was .899. Discriminant validity was also shown to be very satisfactory (r=-.046, not sig) with Walker, Sechrist & Pender's Human Relation scale, however the criterion related validity with Moon's Marital Happiness scale was just satisfactory with r=.474 (p<.001). The QoSLPW measure includes 19 items and is designed as a self-report tool. Each item is measured in terms of its satisfaction and importance using 6-point Likert scale respectively. The scoring can be performed for the total QoSLPW or for the individual factors as subscales. It is expected that the QoSLPW measure will definitely contribute toward theoretical development in the field of QoSLPW, encourage various research into the dynamics of QoSLPW and facilitate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maternal nursing.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57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