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4 759

Cited 0 times in

간경변환자에서 발생한 간세포암의 진단 전 컴퓨터단층촬영 소견분석

Other Titles
 Prior Computed Tomography (CT) features before the diagnosi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n the cirrhotic liver 
Authors
 박철환 
Department
 Dept. of Radiology (영상의학교실) 
Issue Date
2009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목적 : 간경변환자 중, 영상검사로 새로 진단된 간세포암에 대해 진단 전 컴퓨터단층촬영의 소견을 분석하여 간암전병소(pre-existing lesion)가 발견되는 빈도를 알아보고, 다양한 간암전병소의 용적배가시간(volume-doubling time)을 계산하여, 주기적 컴퓨터단층촬영검사의 적정간격을 알아본다.

재료 및 방법 : 2005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간경변증을 주소로 주기적 추적검사를 받던 중 영상검사로 간세포암을 새로 진단받은 환자 중, 진단 시부터 과거로 1년 이내에 다위상 역동적 컴퓨터단층촬영(이하 진단 전 CT)을 시행한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총 102명의 환자에서 140개의 간세포암이 대상 군에 포함되었다(남자:68명, 여자: 34명, 평균연령: 62세). 간경변의 원인은 만성B형간염이 79명, 만성 C형 간염이 15명, 그 외 원인이 8명이었다. 진단 전 CT에서 간세포암과 동일한 해부학적 위치에 간암전병소의 존재유무를 확인하였으며, 병소 존재 시 병소의 조영증강 패턴에 따라 그룹을 나누고 각 그룹별 병소크기와 용적배가시간을 분석하였다.

결과. 59.3%에 해당하는 83개의 간세포 암은 진단 전 CT에서 간암전병소를 보였으며, 모든 병소는 조영증강패턴에 따라 4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지연기 조영배출 없이 동맥기 조영증강만을 보이는 병소(그룹 1)는 58개(41%)였으며 평균 크기는 1.24±0.5cm, 평균 용적배가시간은 153±148일이었다. 동맥기 조영증강 없이 지연기 조영배출만을 보이는 병소(그룹2)는 15개(11%)였으며 평균크기는 1.64±0.75 cm, 평균 배가시간은 190.1±112일이었다. 결절 내 결절 양을 보이는 병소(그룹 3)는 7개(5%)였으며, 내부 결절의 평균크기는 0.7±0.2cm, 평균배가시간은 35±16일이었고, 외부결절의 평균크기는 2.2±1.8cm, 평균배가시간은 338±299일이었다. 동맥기 조영증강과 지연기 조영배출을 보이나 크기가 1cm보다 작은 병소(그룹 4)는 3개(2%)였으며, 평균크기는 0.86±0.05cm, 평균용적배가시간은 36.8±24일 이었다. 동맥기 조영증강을 보이는 군(그룹 1과 그룹 3중 내부결절, 그리고 그룹 4) 과 동맥기 조영증강을 보이지 않는 군(그룹 2, 그리고 그룹 3의 외부결절)으로 구분하였을 때 동맥기 조영증강을 보이는 군이 동맥기 조영증강을 보이지 않는 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크기가 작고 용적배가시간이 짧았다(t-test for independent pair. P=0.014 in size, 0.34 in volume doubling time). 57개의 간세포암(40.7%)은 진단 전 CT에서, 주변 간실질과 구별되는 병소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그룹5), 간세포암의 진단 시 평균크기는 1.53±0.49cm, 평균검사간격은 166.3±94일이었다.

결론: 간경변환자에서 치료가능한 작은 간세포암 발견을 위하여 다위상 역동적 컴퓨터단층촬영을 시행할 때, 6개월 전후 주기의 감시검사가 조기간암 발견에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시검사 중 발견된 병소의 소환검사의 경우도 일반적으로 6개월 전후의 간격이 적절하나, ‘결절 내 결절’ 양 또는 1cm 이하의 동맥기 조영증강, 문맥기/지연기 조영배출을 보이는 병소가 의심될 경우, 6개월보다 짧은 간격의 소환검사가 간세포 암의 조기진단 및 근치적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Purpose: To characterize the earlier les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by analyzing the imaging finding of prior dynamic CT obtained before an imaging diagnosis of newly developed HCC and to determine the optimal follow-up interval of CT examinations for surveillance of high risk patients or recall of indeterminate lesions.

Method: Th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to have newly developed HCCs by the imaging studies and had taken the prior dynamic CT within one year from the diagnosis, were subjected. A total of 140 HCCs were enrolled in 102 patients (68 men, 34 women, 79 B-viral, 15 C-viral, 8-cryptogenic cirrhosis). Three radiologists determined the presence of the focal lesion in the prior CT at the same location of newly diagnosed HCC in conference. If the preexisting lesion was detected, the size, enhancement pattern and volume doubling time were analyzed

Result: Out of 140 newly diagnosed HCCs, 83 HCCs (59.3%) showed preexisting lesions and could b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enhancement pattern. Fifty-eight HCCs showed arterial enhancing nodules without delayed washout (Group 1, mean size: 1.24±0.5cm, mean doubling time: 153±148 days). Fifteen HCCs showed delayed washout nodules without arterial enhancement (Group 2, mean size: 1.64±0.75cm, mean doubling time: 190.1±112days. Seven HCCs showed the nodule in nodule appearance (Group 3). The mean size and mean doubling time of inner nodules were 0.7±0.2cm and 35±16days. The mean size and mean doubling time of outer nodules were 2.2±1.8cm and 338±299days. Three subcentimeter HCCs showed arterial enhancing and subsequent washout appearance (Group 4, mean size: 0.86±0.05cm, mean doubling time: 36.8±24days). The size and the doubling time of arterial enhancing lesions (group 1, inner nodule of group 3 and group 4) were smaller and shorter than nodules without arterial enhancement (group 2 and outer nodules of group 3)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test for independent pair. P=0.014 in size, 0.34 in volume doubling time.) 57 HCCs (40.7%) showed no focal lesion in the prior CT (Group 5). The mean size and mean follow-up interval of these HCCs were 1.53±0.49cm and 166.3±94days.

Conclusion: Before the imaging diagnosis of HCC, prior CT could not delineate any preexisting lesions in about 40% of cases. In spite of the various dynamic CT features of preexisting lesions (60% of cases) with different speed of tumor growth, serial follow-up CT around 6 months would be proper to find most of the treatable HCCs in the cirrhotic liver. But, if lesion with nodule in nodule appearance or subcentemer arterial enhancing/delayed washout is suggested, recall with shorter interval less than 6 months would be proper.
Files in This Item:
T01073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Radiology (영상의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Park, Chul Hwan(박철환)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2-0004-9475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53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