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1 494

Cited 0 times in

Association of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K469E polymorphism with preeclampsia in Korean population

Other Titles
 제 1형 세포간부착분자(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의 K469E 유전자 다형성과 전자간증 
Authors
 권한성 
Department
 Dep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산부인과학교실) 
Issue Date
2009
Description
Dept. of Medicine/석사
Abstract
[한글]목적: 혈관 내피의 기능 부전은 전자간증의 중요한 발병기전이며 이러한 혈관 내피 기능 부전이 발생시키는 원인 중 임신 조직에 대한 모체의 과도한 염증 반응이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제 1형 세포간부착분자는 백혈구 등의 염증 관련 세포가 혈관 내피로 이동 및 부착하는데 관여한다. 임신 시에는 혈관 내피뿐만 아니라 영양막세포 등에 과발현하여 모체의 면역학적 인지와 거부 반응을 일으켜 영양막 세포가 자궁내 나선 동맥 (spiral artery)로 침습해 들어가는 것을 제한하며 이러한 과정 통해 전자간증을 유발할 수 있다. 제 1형 부착분자의 유전자 다형성은 여러가지 염증 관련 질환과 자가 면역 질환의 발생 위험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 1형 세포간부착분자의 유전자 다형성이 한국인의 전자간증 발생과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42명의 전자간증 산모과 138명의 정상 혈압이며 2회 이상 정상 만삭 분만을 한 산모를 각각 대상군과 대조군으로 하였고, 유전자 다형성은 직접염기서열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대상군 및 대조군의 유전자형과 대립유전자의 발생 빈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제 1형 세포간부착분자의 K469E 유전자형은 한국인 전자간증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학상 유의한 분포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각 대립유전자의 발생 빈도 역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KK/KE/EE (%) 대조군 45.7/44.2/10.1, 전자간증군 59.5/23.8/16.7, p>0.05), (K allele (%) 대조군 67.8 , 전자간증군 71.4, p= 0.62) 이러한 경향은 중증 전자간증 산모를 대상군으로 하였을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KK/KE/EE (%) 대조군 45.7/44.2/10.1, 중증 전자간증군 59.3/29.6/11.1, p=0.36), (K allele (%) 대조군 67.8, 중증 전자간증군 74.1, p= 0.45)

결론: 한국인 전자간증군에서 제 1형 세포간부착분자의 K 대립유전자 및 KK 유전자형의 발생 빈도가 대조군에 비해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은 없었다.



[영문]Objective: Endothelial dysfunction is considered to be central in the pathogenesis of preeclampsia. An excessive maternal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to pregnancy has been proposed to be responsible for endothelial dysfunction. The ICAM-1 molecule is functionally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adhesion of leukocytes to the endothelium as well as leukocyte migration, in other words, that expression could stimulate maternal immunological recognition and rejection reactions, and result in disrupted trophoblast trafficking and thereby cause incomplete placentation leading to preeclampsia. In this case-control study, we will examine whether the distribution of genotypic and allelic frequencies of ICAM-1 K469 of Korean women with preeclampsia are different from those of control group.

Materials and Methods: The ICAM-1 K469E polymorphism was genotyped using sequencing analysis in 42 women with preeclampsia and 138 normotensive controls who had delivered at least two normal term babies.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whole blood sample. After gene amplification by PCR and purification, direct sequencing reaction method was used to detect a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Results: The distribution of genotype frequencies and the frequency of the K469 allele of the preeclampsia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ntrols. (KK/KE/EE (%) control 45.7/44.2/10.1 vs preeclampsia 59.5/23.8/16.7, p>0.05), (K allele (%) control 67.8 vs preeclampsia 71.4, p= 0.62) A similar trend was observed between the severe preeclampsia patients and the controls. (KK/KE/EE (%) control 45.7/44.2/10.1 vs severe preeclampsia 59.3/29.6/11.1, p=0.36), (K allele (%) control 67.8 vs severe preeclampsia 74.1, p= 0.45)

Conclusions: The frequencies of the KK genotype and the K allele were higher in the preeclampsia group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iles in This Item:
T01063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산부인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Kwon, Han Sung(권한성)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44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