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531

Cited 0 times in

어머니 역할 실습교육이 어머니됨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Effects of maternal role practice education on becoming a mother 
Authors
 채현주 
Issue Date
2008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어머니 역할 실습교육이 산욕 초기 산모의 어머니됨(돌보기 자신감, 모아애착, 어머니 정체성)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어머니 역할 실습교육은 모유수유, 모아애착증진, 아기목욕 및 아기건강관리에 대한 설명, 시범, 실습으로 구성된 개별교육으로, 14일간의 산후조리원 재원 기간 동안 재원 1-7일에 모유수유, 8-9일에 모아애착증진, 10-12일에 아기목욕, 13-14일에 아기건강관리에 대해 교육 및 추가교육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구대상은 2007년 11월 30일부터 2008년 4월 11일까지 대전광역시 소재 A 산후조리원에 재원한 산모 중 대상자 선정 기준에 부합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산모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7년 11월 30일부터 12월 17일까지 입실한 산모는 실험군(26명)으로, 2008년 2월 18일부터 3월 28일까지 입실한 산모는 대조군(28명)으로 임의 할당하였다.

연구절차는 산후조리원 입실시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실험군 산모에게는 어머니 역할 실습교육을 적용하였고 대조군 산모에게는 산후조리원에서 제공되고 있는 기존의 교육만을 적용하였다. 사후조사는 산후조리원 퇴실시 실시하였으며, 연구효과의 확산을 막기 위해 실험군 자료 수집 후 대조군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돌보기 자신감은 Pharis(1978)의 Self Confidence Scale을 이은숙(1987)이 번안한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모아애착은 Muller(1994)의 Maternal Attachment Inventory를 한규은(2001)이 번안하여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어머니 정체성은 Walker(1977)가 발전시킨 SD Self(Myself as Mother)를 고효정(1995)이 번안한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였으며, 기술적 통계, x²-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 가설 : “어머니 역할 실습교육을 받은 실험군과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은 산후조리원 입·퇴실시 돌보기 자신감의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돌보기 자신감이 유의하게 많이 증가하여(t=-3.306, p=.002) 지지되었다.

2. 제 2가설 : “어머니 역할 실습교육을 받은 실험군과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은 산후조리원 입·퇴실시 모아애착의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모아애착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 기각되었다.

3. 제 3가설 : “어머니 역할 실습교육을 받은 실험군과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은 산후조리원 입·퇴실시 어머니 정체성의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어머니 정체성이 유의하게 많이 증가하여(t=-2.156, p=.036) 지지되었다.

4. 교육 만족도 관련 추가 분석 결과 어머니 역할 실습교육을 받은 실험군이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육아교육 만족도(t=-.394, p=.020)와 모유수유 교육 만족도(t=-2.454, p=.018)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어머니 역할 실습교육은 산욕 초기 산모의 돌보기 자신감과 어머니 정체성을 증가시키며 교육 만족도를 높여주는 효과적인 중재임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산후조리원에 재원 중인 산욕 초기 산모를 대상으로 어머니 역할 실습교육의 효과를 검증하여 어머니 역할 교육이 실습교육으로 실시되어야 하는 근거를 제공하였고, 산후조리원에서 실시할 수 있는 어머니 역할 교육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어머니 역할 교육은 산모의 직접적인 실습교육 위주로 실시할 것을 제언한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ternal role practice education for parturient women early in the postpartum period on becoming a mother(self-confidence in caring for infant, maternal attachment, and maternal identity). A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was used.

Maternal role practice education was given individually and consisted of explanations, demonstrations and practice in breast feeding, maternal attachment, bathing an infant and infant health care. For 14 days during admission to a Sanhujoriwon(postpartum care center), the women received education on breast feeding on days 1 to 7, on maternal attachment on days 8 and 9, on bathing an infant on days 10 to 12, and on infant health care on days 13 and 14.

The participants were 54 parturient women admitted at a Sanhujoriwon in Daejeon City. Women admitted from November 30 to December 31, 2007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 group(26) and women admitted from February 18 to April 11, 2008, to the control group(28).

After a pre-test at admissi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the maternal role practice education, while the control group was given routine education only. The post-test was done at discharge.

Research tools were the Pharis' Self Confidence Scale(1978) translated by Lee(1987), Muller' Maternal Attachment Inventory(1994) translated and modified by Han(2001), and Walker' Semantic Differential(SD) on Self(Myself as Mother) (1977) translated and modified by Kyo(1995).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Mann-Whitney U test with SPSS WIN Ver 12.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elf-confidence in caring for their infants(t=-3.306, p=.002) and maternal identity(t=-2.156, p=.036)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2.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ernal attach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3. For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leve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or education on caring for their infants (t=-.394, p=.020) and breast feeding (t=-2.454, p=.018).

In conclusion, maternal role practice education for parturient women was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increase self-confidence in caring for their infants, in maternal identity and in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provide guidelines for maternal role education, and suggest that practice education be used in maternal role education.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7279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34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