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0 540

Cited 0 times in

선천성 이상아 어머니를 위한 사회적지지 인터넷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of an internet social support program and its effect on mothers of congenitally abnormal children 
Authors
 이혜진 
Issue Date
2008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선천성 이상아 어머니를 위한 사회적지지 인터넷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로 프로그램 개발, 운영, 효과분석의 3단계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이론적 기틀은 사회적 지지이론(Cobb, 1976)의 완충효과 모형(Moderating effect model)을 기초로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단계는 2007년 12월부터 2008년 2월까지이며 Boling 과 Frick(2002)의 Practical Web development Process 5단계에 따랐다. 1단계는 3세 미만의 선천성 이상아 어머니 3명을 대상으로 요구도 조사, 문헌고찰,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2단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프로그램의 콘텐츠 일치도를 확인하였고, 3, 4단계에서 페이퍼 및 컴퓨터 프토로타입을 작성했으며, 마지막 5단계에 사이트 구축을 하였다. 개발한 사이트 명칭은 이며 사이트 주소는 www.baby.whoismail.net 이다. 프로그램에는 사회적 지지의 유형 중 정보적지지, 정서적지지, 평가적 지지가 포함되었으며, 구체적인 메뉴로는 아기건강마당, 엄마건강마당, 건강질환관리, 게시판, 쉼터, 채팅방 등이 있다.

프로그램 운영단계는 2008년 3월부터 5월까지 8주간 6개 보건소에 등록된 18명의 대상자에게 운영하였으며, 원시실험설계를 토대로 사전과 사후에 역할자신감과 정서도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분석단계는 Donabedian(1999)이 제시한 방법에 따랐으며, 구조적 평가는 회원수, 접속시간, 접속횟수에 대해 조사가 이루어졌고, 과정적 평가는 프로그램 운영평가, 참여도 및 이용률, 만족도 평가가 이루어졌다. 결과적 평가는 역할자신감과 정서를 SPSS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구조적 평가에서 8주 동안 총 방문자수는 221회이며, 1인당 평균 12.3회로 홈페이지를 방문했다. 1회 평균 접속시간은 21.4분이며 주로 주말 밤에 이용하였다. 과정적 평가로는 전화, 문자 메세지, 엽서를 이용해 참여도를 높였고, 자조모임으로 채팅모임을 1회 가졌으며, 홈페이지 메뉴에서 만족도는 게시판의 질문답변방이 가장 높았다. 결과적 평가는 18명의 역할자신감(z=-2.542, P<.05)과 정서(z=-2.203, P<.05)가 긍정적으로 향상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선천성 이상아 어머니를 위한 사회적지지 인터넷 프로그램은 사회적 지지이론을 토대로 개발되었고, 대상자 대부분이 프로그램에 만족하였으며 역할자신감과 정서의 긍정적 변화를 유도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그램은 대상자 접근이 어려운 지역사회 공공기관의 건강관리체계에 확대해 적용될 것을 제안한다.





[영문]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internet-based social support programs for mothers of congenitally abnormal children. The study consists of the three phases, which are those of development, management and the analysis of its effect. Case study results are presented.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thesis is on the moderating effect model of social support theory(Cobb, 1976).

In the first phase, an internet support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practical web development stages proposed by Boling & Frick(2002) which are composed of five stages. The development was made from December 2007 to February 2008. In those period, demands of the program were collected from interviews of three mothers of congenitally abnormal children of ages from one to three. At the same time, literature review and validity of the contents were also examined. In the second stage, The correspondence of the program contents to the social support needed was also examined. In the third and fourth stages, prototype of the social program was prepared in documents and that of computer program was prepared. In the final stage, an internet-based web site was constructed at the homepage . The social support provided by the web site were composed of informational support, emotional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including bulletin board system and chatting service.

In the second phase of management, the internet support program was offered to 18 mothers who raise congenitally abnormal children from March 2008 to May 2008. In those period, tests which were composed of pre-tests and post-test were planned and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maternal confidence and mood.

The last phase of the study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net social support program. The evaluation were performed following the method proposed by Donabedian(1999) which consists of those of structure, process and outcome. Data were analyzed using Wilcoxon signed rank test. The analysis shows that maternal confidence of post-test was improved than that of pre-test with statistically meaningful figure(Z=-2.542, P<.05). The positive mood of post-test was also improved than that of pre-test and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supported(Z=-2.203, P<.05).

In conclusion, it is proved that the internet based social support programs provided accessible and appropriate service to congenitally abnormal children''s moth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use the internet based social support programs in public health system.
Files in This Item:
T01048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29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