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6 693

Cited 0 times in

지속적 근력 운동자에서 운동량 감소가 인슐린 저항성 및 당뇨병 치료 경과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detraining on insulin resistance and progress of type 2 diabetes mellitus in persistent strength 
Authors
 김경민 
Department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배경 : 최근 증가하고 있는 제 2형 당뇨병의 병인 기전은 인슐린 저항성과 췌장 베타세포의 인슐린 분비 장애로 알려져 있다. 운동을 통한 인슐린 저항성 개선에 대한 연구는 지속되어 왔으나 운동의 중단이 인슐린 저항성 및 당뇨병 경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는 과거 2년 이상 지속적인 근력 운동을 했던 환자에서 운동의 중단이 인슐린 저항성 및 당뇨병의 치료 경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최근 10년간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에서 제 2형 당뇨병을 진단받은 환자들 중 2년 이상의 지속적인 근력 운동의 과거력이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단 당시와 치료 1년 및 2년 추적 관찰 기간 동안의 신체계측 및 혈청학적 검사 결과들을 나이, 비만도 짝짓기를 통해 선정된 대조군의 결과와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 총 8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지속적 근력 운동의 과거력이 있는 운동군(N=33)과 운동의 과거력이 없는 대조군(N=53)을 비교한 결과, 운동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식후 2시간 C-peptide 수치가 증가되어 있고,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수치가 감소되어 있는 것 이외에 진단 당시 다른 임상적 양상이나 혈청학적 검사들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치료 기간에 따른 당화 혈색소의 감소와 공복시 및 식후 2시간 혈당의 감소가 대조군에 비해 운동군에서 적게 나타났으나, 두 군간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공복 인슐린 및 식후 2시간 인슐린의 변화 양상에도 두 군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인슐린 저항성 지표인 HOMA-IR의 경우 대조군의 경우 추적 관찰 2년 후 감소 경향(3.38 vs. 2.41, P <0.05)을 보여 인슐린 저항성의 개선을 보여주고 있으나 운동군의 경우 추적 관찰 2년 후 오히려 HOMA-IR 수치의 증가(3.71 vs. 4.66, P <0.05)를 보였고, 2년 후 운동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HOMA-IR 수치가 높았다. 지방간에 대한 간접 지표로 사용된 혈청 간 효소 수치의 경우, 혈중 ALT 수치가, 대조군에서는 치료 기간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운동군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여 2년 후 대조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54.81±39.0 vs. 32.46±17.69, P <0.05).

결론 : 운동의 중단은 당뇨병의 치료 경과에 있어서 혈당 강하 및 인슐린 저항성 개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된다. 따라서 대사에 미치는 운동의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운동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근력 운동의 과거력이 있는 당뇨병 환자들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식사, 약물 요법뿐 만 아니라 운동 요법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Background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ong-term detraining on insulin resistance and progress of diabetes in athletes who were given persistent strength training previously.

Methods : Thirty three newly diagnosed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with previous persistent strength training and 53 of age- and body mass index- matched untrained diabetic subjects were enrolled. Anthropometric parameters and serum metabolic variabl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at the time of diagnosis, after 1 year and 2 year of treatment with oral hypoglycemic agents.

Results :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metabolic parameters at baseline except for the higher postprandial 2 hour C-peptide level and the lower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the trained group. The improvement of HbA1c, fasting glucose and postprandial 2 hour glucose levels after 1 and 2 year of treatment were much better in untrained group than trained group,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level of HOMA-IR was increased after 2 year in the trained group (3.71 vs. 4.66, P <0.05), but was decreased in the untrained group (3.38 vs. 2.41, P <0.05). Therefore after 2 year, the level HOMA-I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rained group than untrained group. The untrained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evel of liver enzymes, particularly the serum alanine transferase, 2 years after the treatment, however the trained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increase in that enzyme.

Conclusions : Detraining resulted in insulin resistance and affected unfavorably in type 2 diabetes treatment and progress. Persistently trained subject did not seem to take advantage of their physical activity when they stopped exercise. Accordingly continuing physical exercise is required to maintain the favorable metabolic effects of exercise. Moreover, exercise should be combined with the medical therapy for successful treatment of diabetes in trained subjects.
Files in This Item:
T01033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Kim, Kyung Min(김경민)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13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