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성생활 재구성 프로그램이 유방암 치료를 받은 여성의 부부친밀도, 신체상 및 성기능에 미치는 효과

Authors
 전은영 
Issue Date
2008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를 위한 성생활 재구성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성생활 재구성 프로그램이 유방암 치료를 받은 유방암 여성의 부부친밀도, 신체상 및 성기능(성적 흥미, 성적 기능이상, 성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본 연구의 중재 프로그램인 성생활 재구성 프로그램은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작성한 프로그램으로 그 개발과정은 다음과 같다.1. 선행연구와 예비조사 시 수집된 면접자료 분석을 통해 일치되는 개념들을 선별 한 후, Ganz 등(1999)이 제시한 개념적 기틀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기본 개념 으로 결정하였다.2. 프로그램의 구성을 위한 형식과 내용은 선행연구를 근거로 하여 작성하였으며,성 건강 요소인 신체적, 심리적, 관계적 측면이 인지, 인식, 적용의 접근방법을 통해 운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매주 핵심 주제에 따라 중재 내용과 방법 들을 달리하였으며, 회차에 따라 인지, 인식, 적용에 대한 내용을 조절하였다.3. 프로그램의 구성 및 형식과 내용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해 전문가 집단의 검 증과정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성생활 재구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성생활 재구성 프로그램은 1회차‘긴장해소’, 2회차‘문제인식’, 3회차‘노출’, 4회 차‘문제해결’, 5회차‘수용’, 6회차‘재구성’의 주제 하에 도입, 활동, 종 결의 과정으로 매 회 진행되는 1주 1회 약 120분, 총 6주간의 프로그램으로 개 발되었다.본 연구의 대상은 2007년 8월 6일을 기준으로 연구대상자 선정기준 조건에 만족하는 자를 대상으로 무작위 추출한 후, 대상자 편의에 따라 조정하여 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을 대상으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통한 유사실험 연구를 시행하였다. 개발된 성생활 재구성 프로그램의 효과는 부부친밀도, 신체상 및 성기능(성적 흥미, 성적 기능이상, 성만족)으로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χ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로 분석하였으며, 최종분석은 실험군 22명, 대조군 23명이었다.본 연구의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제 1가설: “성생활 재구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보다 부부친밀도가 높아질 것이다”는 지지되지 않았다(p=.29).2. 제 2가설: “성생활 재구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보다 신체상이 긍정적일 것이다”는 지지되지 않았다(p=.12).3. 제 3가설: “성생활 재구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보다 성적 흥미가 많아질 것이다”는 지지되지 않았다(p=.61).4. 제 4가설: “성생활 재구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보다 성적 기능이상이 적어질 것이다”는 지지되지 않았다(p=.38).5. 제 5가설: “성생활 재구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보다 성만족이 높아질 것이다”는 지지되었다(p=.00).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성생활 재구성 프로그램은 유방암 환자의 성기능 중 성만족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성생활 문제를 다루고 재구성할 수 있게 하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으로써 처음 개발되었다는 점에서는 의의가 있다. 그러나 6주의 성생활 재구성 프로그램이 유방암 환자의 부부친밀도, 신체상, 성적 흥미, 성적 기능이상을 높이는 효과로써 기대하기에는 불충분하였다. 이는 변수의 속성과 측정시기의 제한에 따른 것으로 사료되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성생활 재구성 프로그램의 중재효과를 보다 명확히 밝히기 위해서는 변수의 특성에 따른 추후 측정시기 설정, 프로그램 횟수의 조정 및 보다 포괄적인 측정도구의 사용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효과에 대한 근거의 마련으로 임상실무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검증될 때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중재로써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a sexual life reframing program on marital intimacy, body image and sexual function(sexual interest, sexual dysfunction, sexual satisfaction)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A sexual life reframing program was developed from the literature according to the process as follows:Analysis of the literature and interview findings from a preliminary study provided potential concepts for the study, from which the basic concepts of the program were selected, using the conceptual framework by Ganz and colleagues (1999).Next, the context and content for the program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literature, centering on physical, psychological, and relational aspects of sexual health elements delivered through focused approaches on perception, cognition, and application. The proportion of these focused approaches varied by the main theme for the particular session.The sexual life reframing program was subsequently developed following verification of an expert panel. The main themes of the finalized sexual life reframing program were; relaxation of tension (session 1), perception of problems (session 2), exposure (session 3), solving problems (session 4), acceptance (session 5), and reframing (session 6). Each session was divided into introduction, main activity, and conclusion, and the program consisted of six weekly 2-hour sessions.Randomized sampling was done from a list of breast cancer survivors who met the inclusion criteria from a hospital in Seoul, Korea.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n=30) or control (n=30) according to convenience.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pre-post design, and analysis was done for 22 participant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nd 23 from the control. The program effects were measured by marital intimacy, body image, and sexual function (sexual interest, sexual dysfunction, sexual satisfac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2.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and t-test.The results of the effects of the sexual life reframing program were as follows.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variation of the degree of marital intimac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us, the hypothesis "Marital intimacy in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sexual life reframing program will increase more than non-participants" was not supported (t=1.10, p=.29).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riation in body image between the two groups. Thus, the hypothesis "Body image in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sexual life reframing program will be more positive than non-participants" was not supported (t=1.60, p=.12).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riation in sexual interest between the two groups. Thus, the hypothesis "Sexual interest in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sexual life reframing program will increase more than non-participants" was not supported (t=-0.51, p=.61).4.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riation in sexual dysfunc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us, the hypothesis "Sexual dysfunction in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sexual life reframing program will decrease more than non-participants" was not supported (t=-0.90, p=.38).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riation in sexual satisfac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us, the hypothesis "sexual satisfaction in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sexual life reframing program will increase more than in non-participants" was supported (t=3.77, p=.00).In conclusion, the 6- week sexual life reframing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sexual satisfaction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the first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developed to assist Korean breast cancer survivors identify their sexual problems and reframe their sexual life. However, study findings were insufficient in explaining the program as having a direct impact on marital intimacy, body image, sexual interest, and sexual dysfunction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This is most likely due to the nature of many variables requiring consistent intervention over time. In order to better explore the effects of the sexual life reframing program, employing multiple measurements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adjusting program length, and considering the use of alternative measures may be constructiv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71994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06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