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Effects of home-based, stage-matched exercise and diet intervention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uthors
 김수현 
Issue Date
2008
Description
Dept. of Nursing/박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Prochaska & DiClemente (1983)의 범이론모형(Transtheoretical model, TTM)에 근거하여 개발한 가정기반의 단계 맞춤형 운동 및 식이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한 무작위 통제 실험설계 연구이다. 국내의 일개 암 전문기관에서 치료를 종료한 유방암 생존자 중 대상자 선정기준에 부합한 총 45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할당하여 실험군 23명, 대조군 22명에게 8주간의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07년 7월 1일부터 11월 16일까지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로는 연구자가 개발한 운동 및 식이 행위 변화단계, 주당 에너지 소비량(Ainsworth et al., 1993), 국제 신체활동 설문지(Craig et al., 2003), 식사의 질(Oh et al., 2003), 건강관련 삶의 질(Ware & Sherbourne, 1992), 간이형 피로 측정도구(Mendoza et al., 1999), 그리고 불안 및 우울 도구(Zigmond & Snaith, 1983)가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χ2-test,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제 1가설, “가정기반의 단계 맞춤형 운동 및 식이 중재프로그램에 참여한 군 (이하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보다 운동 및 식이 변화단계가 긍정적 방향으로 더 이동할 것이다.”는 두 군 간의 운동 행위 변화단계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지지되었다(각각 χ2 = 9.944, p = .014과 χ2 = 25.325, p < .001).2. 제 2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신체활동량이 더 증가할 것이다.”는 두 군 간의 신체활동량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지지되었다(t = 3.591, p = .001).3. 제 3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식사의 질이 더 향상될 것이다.”는 두 군 간에 식사의 질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기각되었다(t = 1.798, p = .081). 그러나 일부 영양소의 경우 실험군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는데, 즉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단백질과 칼슘의 섭취가 더 증가하였다(각각 t = 2.638, p =.013과 t = 3.106, p = .004).4. 제 4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건강관련 삶의 질이 더 향상될 것이다.”는 정신적 영역에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t = 2.353, p = .025).5. 제 5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피로가 더 감소될 것이다.”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기각되었다(t = -.044, p = .965).6. 제 6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불안이 더 감소할 것이다.”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기각되었다(t = -.161, p = .873).7. 제 7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우울이 더 감소할 것이다.”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기각되었다(t = -1.047, p = .303).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TTM에 근거한 8주간의 가정기반의 단계 맞춤형 운동 및 식이 중재 프로그램은 유방암 생존자의 운동 및 식이 행위에 대한 동기부여 및 준비도에 영향을 미쳐 운동 및 식이 행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신체활동량과 일부 영양소 섭취를 향상시켰으며, 정신적 영역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체적 영역의 건강관련 삶의 질, 피로, 불안과 우울에서는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추후에 더욱 명확한 연구결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수의 생존자를 대상으로 8주 이상의 장기간의 중재를 실시하여 반복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영문]

The present study wa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in Korea, identifying the effects of an 8-week home-based, stage-matched exercise and diet intervention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TTM). A total of 45 women who had completed cancer treatment at the National Cancer Center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combined exercise and diet intervention group (n = 23) or the wait-list control group (n = 22).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ly 1 to November 16, 2007.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behavioral outcome measures such as change of stage for exercise and diet, energy expenditure in aerobic exercise (Ainsworth et al., 1993),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Craig et al., 2003), and the Diet Quality Index (Oh et al., 2003), and psychosocial outcome measures such as the Medical Outcome Study Short-Form 36 (Ware & Sherbourne, 1992), the Brief Fatigue Inventory (Mendoza et al., 1999), and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Zigmond & Snaith, 1983). Descriptive statistics, χ2 test, independent t-test with SPSS/Win 12.0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1. Hypothesis 1, that “Survivors of a group participating in a home-based, stage-matched exercise and diet program (hereinafter called the ‘intervention group’) will show a more advanced stage of change for exercise and diet compared to survivors i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χ2 = 9.944, p = .014 and χ2 = 25.325, p < .001, respectively).2. Hypothesis 2, that “the intervention group will show a higher physical activity leve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 = 3.591, p = .001).3. Hypothesis 3, that “the intervention group will show higher diet qual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t = 1.798, p = .081). However, some specific nutrients showed improvement in the intervention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namely protein (t = 2.638, p =.013) and calcium (t = 3.106, p = .004).4. Hypothesis 4, that “the intervention group will show a bette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leve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as partially supported. The mental domain of HRQOL in the intervention group improved compared to control group (t = 2.353, p = .025).5. Hypothesis 5, that “the intervention group will show a lower fatigue leve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t = -.044, p = .965).6. Hypothesis 6, that “the intervention group will show less anxie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t = -.161, p = .873).7. Hypothesis 7, that “the intervention group will show less depress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t = -1.047, p = .303).In conclusion, an 8-week home-based, stage-matched lifestyle intervention based on the TTM was found to improve stage of change for exercise and diet, physical activity, and mental health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However, it did not appear to have a favorable effect on participants’ measures for the physical domain of HRQOL, or for fatigue, anxiety or depression. Future studies should incorporate larger sample sizes and longer interventions, in an effort to examine definite effect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91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