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6 472

Cited 0 times in

두부 정모 방사선 사진과 computed tomography에서의 횡적 계측치의 연관성

Other Titles
 Transverse measurements and their correlations in the posteroanterior cephalometry and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Authors
 김나연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두개 악안면 기형환자의 총체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상 하악골의 횡적 부조화의 진단을 위한 횡적 평가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3차원 영상인 전산화 단층 촬영 (Computed tomography, CT)를 이용함으로써 기존의 횡적 분석방법에서 2차원 영상인 두부 정모 방사선 사진(posteroanterior cephalometric radiograph, PA)를 이용할 때 생기는 상의 중첩이나 왜곡 등의 문제의 해결이 가능하며, 영상의 재구성을 통해 보다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으나 아직까지 횡적 분석에 있어서 접근성 높은 진단 자료로는 PA가 일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PA상의 횡적 계측치와 3차원 영상인 CT에서의 계측치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CT상에서만 계측이 가능한 치조골 폭경에 대한 예측 가능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연세 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 환자 중에서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으로 진단 받고, 악교정 수술 예정인 성인 남녀 40명 (남자 25명, 여자 15명; 평균 연령 22세 8개월)의 PA와 CT의 횡적 계측치를 측정, 비교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1. CT와 PA상의 계측치간 비교시 하악의 intercanine width 항목을 제외하고는 모든 계측치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있었다. 2. PA상의 maxillary width (J-J)는 PA및 CT상의 상악 횡적 계측치와 높은 연관성을 보였으나, PA상의 mandibular width(Ag-Ag)는 CT상의 하악의 치조골 폭경과 상관관계가 없었다.3. CT상의 치조골 폭경을 반영할 수 있는 PA상의 계측치 존재 여부를 알아 본 결과 CT상의 상악 견치 부위의 alveolar bone width (U3a- U3a) 및 하악 제 1대구치의 alveolar bone width (L6a- L6a) 을 반영할 수 있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PA상의 계측치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CT상의 하악 견치 부위 alveolar bone width (L3a- L3a)는 PA상 하악의 intercanine width (L3-L3), CT상의 상악 제1대구치 부위 alveolar bone width (U6a- U6a)는 PA상의 maxillary width (J-J) 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PA상의 maxillary width (J-J)는 상악과 관련된 횡적 계측치와 높은 연관성이 있으며, PA상의 하악의 intercanine width (L3-L3) 는 하악 견치부의 치조골 폭경을, PA상의 maxillary width (J-J)는 상악 제 1대구치 부위의 치조골 폭경을 예측하는데 유용하여 횡적 분석의 진단자 료로 임상적 의미가 있음을 시사 하였다.





[영문]

To establish precise treatment plan, transverse analysis is very important. In these days, reducing distortions of images and magnification errors could be possible by using 3-dimensional CT images. And using 3-dimensional reconstruction programs could acquire more informations. But clinically, PA is more usual and simpler material for transverse analysis than 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dding the measurements about the width of alveolar bone to pre-existed transverse analysis and finding the difference and relationship in transverse measurements between 2-dimensional Posteroanterior cephalography and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CT).The subjectives were 40 adult patients (male:25, female:15, mean age:22Y 8M) who were given a diagnosis of skeletal Cl Ⅲ malocclusion in Yonsi Uinversity Hospital and scheduled for orthognathic surge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1. All measurements except intercanine width of Mn (L3-L3) are different between PA and CT.2. Maxillary width (J-J) in PA had correlation with all kinds of transverse measurements in PA and CT.But, mandibular width (Ag-Ag) in PA did not correlate with any kinds of transverse measurements in CT about alveolar bone width.3. There were no measurements that could predict alveolar bone width of maxillary canine (U3a-U3a) and mandibular 1st molar (L6a-L6a) area.Alveolar bone width of Mn canine (L3a-L3a) in CT correlate with intercanine width of mandible (L3-L3) in PA.Alveolar bone width of Mx 1st molar (U6a-U6a) in CT correlate with maxillary width (J-J) in PA.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maxillary width (J-J) of PA had high correlationship with all kinds of transverse measurements of maxilla, whrereas mandibular width (Ag-Ag) in PA did not have correlationships with transverse width of mandible. And intercanine width of Manible (L3-L3) in PA could predict the alveolar bone width of mandibular canine area, intermolar width of maxillary 1st molar (Um-Um) in PA could predict the alveolar bone width of maxillary 1st molar.
Files in This Item:
T01009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89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