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0 1294

Cited 0 times in

삼차신경초종의 수술적 치료

Other Titles
 (The) surgical management of trigeminal schwannomas 
Authors
 황교준 
Issue Date
2007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삼차신경초종은 생물학적 양성종양으로 전적출시 완치가 가능한 질환이나 성장양상이 복잡하고 발생부위의 해부학적 어려움으로 그 동안 여러 방법의 수술적 방법들이 기술되어 왔다. 최근들어 이 종양의 적출에 두개저 수술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나 고식적 수술법에 비해 종양의 적출정도, 재발율, 수술결과 및 신경학적 기능의 보존에 있어서 우수성이 입증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수술적 치료를 받은 삼차신경초종 환자들의 결과를 분석하여 두 술식을 통계적으로 비교하였다.1980년부터 2006년까지 세브란스 병원에서 수술적 치료를 받은 22명의 환자와 같은 기간 발표된 문헌에서 얻은 15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원에서 수술받은 환자(제1군)는 모두 두개저 방법으로 수술을 받았으며 문헌에서 얻은 환자는 74명(제2군)이 고식적 술식을, 77명(제3군)이 두개저 술식을 받았다. 제1군과 2군을 통계적으로 비교한 후 이 결과를 제2군과 3군 비교결과와 대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절제정도와 재발율, 수술결과에 있어 고식적 방법에 비해 두개저 방법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이견이 있는 C형 종양의 경우 절제정도와 수술결과 모두에서 두개저 술식이 우수한 성적을 보였다(p<0.05). 수술 후 발생한 영구적 합병증의 경우에서는 두 술식 간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아 두개저 수술로 인한 합병증 발생정도가 고식적인 방법 보다 높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개저 술식의 경우 상대적으로 합병증 정도가 양호하여 수술결과가 우수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영문]

The trigeminal schwannoma is benign biologically so, total resection can make a complete recovery but, because of the complexity of growth pattern and surgical anatomy, a variety of surgical approaches have been reported. The aim of this article is a statistical analysis of conventional and skull base approaches.We obtained the clinical and surgical data of 22 patients(group 1) who underwent the surgical removal of trigeminal schwannomas between 1980 and 2006 at Severance Hospital. The skull base approach was used for all of them. And we also found 151 patients from the review of papers reported during same period which can be analysed statistically. 74(group 2) of the patients were operated on through the conventional and 77(group 3) through skull base approaches.After the comparison of group 1 with 2 statistically, we contrasted this results with them of group 2 and 3. We found out the following results. The skull base approach is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approach for tumor resection and surgical results (p<0.05), and in case of the type C where is no overall agreement, same results were observed (p<0.05). The permanent neurological deficits following skull base approaches did not exceed those following conventional approaches in the statistical comparison.
Files in This Item:
T01007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87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