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9 805

Cited 0 times in

골반 장기 탈출증 여성에서의 환자군 특성에 따른 MMP-2와 TIMP-2의 발현 정도 변화

Other Titles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2 and tissue inhibitor of matrix metalloproteinase-2 in patients with pelvic org 
Authors
 김민아 
Department
 Dep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산부인과학교실) 
Issue Date
2007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골반 장기 탈출증의 병인론을 연구하기 위하여 콜라젠 대사에 초점을 맞추어 콜라젠 분해 활동에 관여하는 matrix metalloproteinase-2(MMP-2)와 tissue inhibitor of matrix metalloproteinase-2(TIMP-2)의 발현 및 골반 장기 탈출증 여성에서 폐경 후 기간, 호르몬 대체 요법 유무, 골반 장기 탈출증 병기, 연령, 분만력, 체질량 지수 등의 환자군 특성에 따른 MMP-2와 TIMP-2의 발현 정도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2006년 11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 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 4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군은 골반 장기 탈출증으로 자궁 적출술을 시행받은 20명의 여성으로 하였고 대조군은 골반 장기 탈출증을 제외한 다른 양성 질환으로 자궁 적출술을 시행 받은 여성으로, 연구 대상군과 연령, 폐경 상태,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를 짝짓기(matching)한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군과 대조군에서 자궁 천골 인대 조직을 채취하여 quantitative real time RT-PCR을 이용하여 MMP-2와 TIMP-2의 mRNA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고 폐경 후 기간, 호르몬 대체 요법 유무, 골반 장기 탈출증 병기, 연령, 분만력, 체질량 지수 등의 환자군 특성에 따른 MMP-2와 TIMP-2의 발현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연구 결과 골반 장기 탈출증 환자의 자궁 천골 인대 조직에서 MMP-2 mRNA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발현되었고(p = 0.044), MMP-2의 조절인자로 알려진 TIMP-2 mRNA의 경우에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골반 장기 탈출증 환자의 자궁 천골 인대에서 높게 발현되었다 (p = 0.362). 또한 MMP-2와 TIMP-2의 발현과 폐경 후 기간, 호르몬 대체 요법 유무, 골반 장기 탈출증 병기, 연령, 분만력, 체질량 지수 등과 같은 환자군의 특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은 확인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골반 장기 탈출증에 MMP-2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며 증가된 TIMP-2의 발현으로 미루어 TIMP의 작용이 단순히 MMP의 작용을 억제하는 기능 외에 상호작용을 하여 골반 장기 탈출증의 진행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MMP-2와 TIMP-2의 발현은 폐경 후 기간, 호르몬 대체 요법 유무, 골반 장기 탈출증 병기, 연령, 분만력, 체질량 지수 등과 같은 환자군의 특성과 상관성이 없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추후 좀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Objective: The uterosacral ligaments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pelvic support system and connective tissue alterations are thought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elvic organ prolapse(POP).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2(MMP-2) and tissue inhibitor of matrix metalloproteinase-2(TIMP-2) in patients with or without prolapse an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mRNA expression of MMP-2 and TIMP-2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or without POP.Materials and methods: From November 2006 through March 2007, uterosacral ligaments were obtained from 20 women with POP and 20 women without POP. A quantitative real-time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used to analyze the expression of mRNA of MMP-2 and TIMP-2.Results: The MMP-2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esence of POP(p = 0.044). In contrast, the TIMP-2 expression was increased in women with POP, with no statistical difference(p = 0.362).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RNA expression of MMP-2 and TIMP-2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or without POP.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increased MMP-2 and TIMP-2 mRNA expression in uterosacral ligament is associated with POP. TIMP-2 appears to be multifunctional molecule which may, independently of their ability to block MMP activity, modulate POP progression. Correlations did not exist between mRNA expression of MMP-2 and TIMP-2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or without POP.
Files in This Item:
T00983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산부인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Kim, Min A(김민아)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64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