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1 367

Cited 0 times in

근치적 치료가 가능한 간세포암종에서 치료 방법에 따른 장기 성적

Other Titles
 Analysis of survival according to treatment method in the hepatocellular carcinoma(HCC) with curable status 
Authors
 이근호 
Issue Date
2007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간세포암종의 다양한 치료법들 중 수술적 절제 혹은 간이식만이 완치 목적의 치료로서 장기 생존이 가능하다고 인정되었으나, 병기가 낮거나 크기가 작고 간기능이 좋은 경우 간동맥 화학색전술 혹은 고주파 열치료, 알코올 주입술, 경피적 홀뮴 주입술과 같은 경피적 국소 치료에서도 장기 생존을 보이는 경우가 흔히 관찰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치료 성적을 직접적으로 수술적 절제와 비교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간세포암종 환자들에서 수술적 절제와 간동맥 화학색전술 및 경피적 홀뮴 주입술의 장기 생존율을 직접 비교하여 예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1997년부터 2003년 사이에 TNM 병기가 I 혹은 II인 간세포암종을 진단받은 177명의 환자들을 수술군, 간동맥 화학색전술군, 경피적 홀뮴 주입술군으로 나누어, 동일한 JIS score에서 세 가지 치료법의 무병 생존 기간, 전체 생존율을 구하여 치료 성적을 비교하였다. 완전 관해를 이룬 환자들 중 JIS score 0점인 경우 수술군, 간동맥 화학색전술군, 경피적 홀뮴 주입술군의 무병 생존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각각 30.2개월, 23.1개월, 27.5개월이었고 Kaplan Meier curve 상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이는 차이는 없었으며(P = 0.4), JIS score 1점인 경우 각각 41.1개월, 22.8개월, 21.5개월이었고 Kaplan Meier curve 상 수술군의 무병 생존율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 < 0.0001). 전체 환자들 중에서 JIS score 0점인 경우 수술군의 1년, 3년, 5년 생존율이 100%, 88.9%, 88.9%이었고, 간동맥 화학색전술군에서는 100%, 77.8%, 55.6%이었으며, 경피적 홀뮴 주입술군에서는 100%, 66.7%, 58.3%이었다. 그러나, Kaplan Meier curve 상 세 군 간에 전체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다(P = 0.34). JIS score 1점인 경우 수술군의 1년, 3년, 5년 생존율이 96.4%, 92.9%, 91.1%이었고, 간동맥 화학색전술군에서는 83.7%, 61.2%, 46.9%이었으며, 경피적 홀뮴 주입술군에서는 85.7%, 46.4%, 32.1%로 나와 수술군의 5년 생존율이 다른 두 군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Kaplan Meier curve 상에서도 수술군의 전체 생존율이 다른 두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 < 0.0001).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JIS score 0점인 경우, 다시 말해 단일 간세포암종의 크기가 2cm 이하이면서 혈관 침윤이 없으며, 간기능이 Child-Pugh A인 경우 간동맥 화학색전술이나 경피적 홀뮴 주입술이 수술적 절제와 차이 없는 결과를 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JIS score 1점인 경우 수술군의 무병 생존율과 전체 생존율이 모두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가장 높은 것으로 나와, 수술적 치료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핵심되는 말: 간세포암종, 병기, 생존율, 재발율, 수술, 색전술

[영문]In recent years, many HCC patients with low TNM stage or small tumor size and excellent liver function exhibit long term survival after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TACE) or percutaneous injection treatment. However, there are few reports comparing the survival of TACE or percutaneous injection treatment with that of surgical resection. This study tried to measure the long term survival duration of the HCC patients receiving surgical resection, TACE or percutaneous holmium injection therapy(PHIT) and to compare them. Between 1997 and 2003, the newly diagnosed HCC patients with TNM stage I or II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surgery group, TACE group and PHIT group. The results were analyzed among the patients with the same JIS score. In case of JIS score 0, the mean follow-up time of disease-free survival of the patients achieving complete remission in surgery group, TACE group and PHIT group were 30.2, 23.1 and 27.5 months, respectively.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ree groups on the Kaplan Meier curve(P = 0.4). In case of JIS score 1, the mean follow-up time of disease-free survival were 41.1, 22.8 and 21.5 months with the same order. The disease-free survival rate of the surgery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ACE group or PHIT group with statistical importance on the Kaplan Meier curve(P < 0.0001). In case of JIS score 0, the mean follow-up time of overall survival of all the patients in surgery group, TACE group and PHIT group were 48.2, 51.3 and 58.7 months, respectively.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ree groups on the Kaplan Meier curve(P = 0.34). In case of JIS score 1, the mean follow-up time of overall survival were 48.4, 50.8 and 38.7 months with the same order. The overall survival rate of the surgery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ACE group or PHIT group with statistical importance on the Kaplan Meier curve(P < 0.0001). According to these results, in case of JIS score 0, in other words, in the patients with single HCC less than 2 cm without vascular invasion and liver function of Child-Pugh A, TACE or PHIT have long term survival comparable to surgical resection. In case of JIS score 1, the surgery group had the best results, thus surgical resection should be considered at first.Key words: carcinoma, hepatocellular; survival analysis
Files in This Item:
T00971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Lee, Keun Ho(이근호)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52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