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1 784

Cited 0 times in

Mixing ability index를 이용한 한국성인의 저작 능력 평가

Other Titles
 Evaluation of chewing ability of Korean adults using mixing ability index 
Authors
 류정한 
Issue Date
2007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에서는 Sato 등이 저작 능력 평가에 사용했던 MAI(Mixing Ability Index) 방법론을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최초로 적용해 보았다. 기존의 객관적인 저작능력 평가방법으로 이용했던 Dental Prescale System을 이용한 교합력 측정법과 주관적인 저작능력 평가방법의 하나인 식품설문지를 이용한 FAS(food acceptance score)와 비교함으로써 MAI의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MAI와 여러 가지 구강건강지표와의 상관관계도 조사하였으며, MAI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서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1. 150명의 한국 성인 피검자에 의해 저작된 왁스 시편을 Sato 등이 제시한 판별분석 함수에 적용하여 얻어진 한국 성인의 MAI 판별함수는 다음과 같았다.MAI = 7.2×10⁻²×MIX+1.28×10⁻¹×TR+7.47×10⁻¹×LB+7×10⁻³×AH–13.2872. 본 연구에서 저작효율에 따라서 분류한 Good, Medium, Poor의 세 집단의 분포 양상을 조사한 결과, 정규분포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Medium 집단이 Good과 Poor의 집단 사이에 정확히 위치하였다. 또한 한 사람이 3회 반복하여 저작한 왁스 시편 간에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3. 성별에 따른 MAI, 교합력, FAS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합력에서만 남자가 여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4. 연령에 따른 MAI, 교합력, FAS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증가에 따라서 세 가지 지표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60세 이상의 집단이 20-39세 집단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이들 지표들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5. 구치부 치아 상실 수에 따른 MAI, 교합력, FAS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구치부 상실 치아 수가 많아질수록 이들 지표들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의치장착군이 5개 이상 구치부 치아상실 집단에 비해서 MAI 값이 더 높게 나타났다(p<0.05).6. MAI, 교합력, FAS와 성별, 연령, 현재 치아 수, CPI index, DMFT index, 구치부 치아상실 수 및 식품 설문지를 구성하는 30가지 식품들의 FAS점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MAI는 현재치아 수, 구치부 치아상실 수, DMFT, 교합력, FAS와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p<0.05).7. MAI에 영향력이 있는 변수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합력, FAS, 성별, 연령, 현재치아 수, CPI index, DMFT index를 독립변수로 구성하여 단계입력 방식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현재 치아 수, 교합력, FAS의 순서로 MAI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p<0.05).8. 30 가지 식품군의 FAS 점수를 이용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 집단으로 분류되었다(p<0.05).딱딱하고 질긴 음식군 - 땅콩, 당근, 쥐포, 마른오징어 등보통 음식군 - 생선조림, 햄, 어묵, 삶은 닭 등무르고 연한 음식군 - 두부, 국수, 수박, 귤 등이들 3가지 식품군의 교합력 또는 MAI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합력을 종속변수로 하여 구성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딱딱하고 질긴 음식이 교합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한편 MAI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모든 음식군이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단단하고 질긴 음식군이 다른 음식군보다 더 큰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p<0.05).9. 편측저작을 하는 사람의 편측 저작측과 반대 저작측의 MAI 값을 비교한 결과, 편측저작측의 MAI값이 반대 저작측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본 연구결과 저작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로써 MAI가 타당성과 신뢰성을 갖춘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 방법을 활용한다면 보다 쉽고 간단하게 임상에서 보철치료 전후의 환자들의 저작 능력의 평가가 가능하리라 사료되었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는 객관적인 저작능력 지표인 MAI나 교합력과 주관적인 지표인 FAS를 함께 병합한 종합적인 저작 능력을 평가 방법의 개발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In this study, the MAI (mixing ability index) methodology for evaluating the chewing ability developed by Sato et al. was applied to Korean Adults for the first time. The validity of the MAI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data of the Dental Prescale System,which is one of the objective occusal force evaluation systems, and the data of Food Acceptance Score, which is one of the methodologies for evaluating the subjective chewing ability.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I and several Oral health indicators was examined. The results of multivariate analysis for the factors affecting MAI are follows.1. The discriminant function of the MAI obtained from 150 Korean adults wereMAI = 7.2×10⁻²×MIX+1.28×10⁻¹×TR+7.47×10⁻¹×LB+7×10⁻³×AH–13.2872. The chewed wax food was classified into Good, Medium and Poor group by the examiner. The MAI of each group showed a normal distribution and the Medium group was distributed between the Good and Poor group. The reliability of the three chewed wax foods was high.3. The MAI, Occlual Force and FAS were higher in males than females. However, there was only the Occlusal For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4. The MAI, Occlusal Force and FAS decreased with increasing ages.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nly found between those over 60 years of age and those in the range of 20-39 years of age (p<0.05).5. The MAI, Occlusal Force and FAS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loss of molars. In addition, the MAI of the denture-wearing group was higher than in those who had lost more than 5 molars (p<0.05).6. MAI correlated with the Occlusal Force, FAS, ages, teeth present, DMFT index, molar loss. However, the MAI was not associated with gender and CPI index (p<0.05).7. Multiple regression model, which included the variable indicators, revealed the number of teeth present, Occlusal Force and FAS to be independent factors affecting the MAI (p<0.05).8.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FAS on 30 different kinds of food (p<0.05). These foods were classified to 3 groups, hard and tough food, medium food, and soft and tender food.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the hard and tough food to be independent factors affecting the MAI (p<0.05).9. In the unilateral chewing group, the chewing side had a larger MAI than the non-chewing side (p<0.05).These results suggest that Mixing Ability Index is a valid and reliable indicator for evaluating the chewing ability.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MAI can be applied easily before and after a prosthetic treatment to evaluate the chewing ability of patients. However, there is a need for an integrated evaluation system of the chewing ability using Mixing ability Index, Occlusal Force, and Food Acceptance Score.
Files in This Item:
T00964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44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