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57 692

Cited 0 times in

계측 및 비계측적 특징을 통한 한국인 젊은층 귓바퀴의 체질인류학적 특징

Other Titles
 Physical anthropologic characteristics of the auricle through the metric and non-metric analysis in Korean young adults 
Authors
 강현주 
Issue Date
2007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정교한 구조를 가진 귓바퀴는 사람의 나이나 성별을 나타내며 얼굴의 특징을 결정짓는 요소가 된다. 귓바퀴의 해부학적 겉모양은 각 개인마다 다를 뿐 아니라, 종족간에도 차이가 있어 체질인류학자들이 종족을 구분할 때나 법의학자들이 시신을 감식하는데 이용되기도 한다. 또한 귀를 재건하는 성형외과 의사들이나 귀를 아름답게 표현하려는 미술가들에게는 정상적인 귀의 기준치가 요구된다. 이미 귀 계측에 관한 연구 결과들이 서양인과 한국인에서 보고된 바 있으나 귀의 위치, 모양 분류 등에 있어서는 더 자세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한국인 귓바퀴의 체질인류학적 특징을 나타내는 기초 자료를 얻고자 18세 이상 39세 이하의 얼굴에 기형이 없는 한국인 대학생 및 일반인 733명 (남자 381명, 여자 352명)을 대상으로 규격화된 옆면 사진을 이용하여 귓바퀴의 계측 (9개 항목)을 시행하고 비계측 특징 (5개 항목)을 조사하였다. 계측항목은 귓바퀴의 세로길이, 귓바퀴의 가로너비, 귓바퀴부착점의 세로길이, 귓바퀴의 최대세로길이, 귓바퀴의 최대가로너비, 귓바퀴부착점의 최대세로길이, 귓바퀴연골의 수직길이, 귓불의 수직길이, 귀구슬의 돌출길이였으며, 비계측항목으로는 귀위점과 귀아래점의 위치, 귀둘레와 귀속둘레의 형태 그리고 귓불의 부착 양상 등을 확인하였다. 한국인 귓바퀴의 계측 결과, 남자가 여자보다 모두 큰 양상이었으며 귓바퀴의 가로너비, 귓불의 수직길이, 귀구슬의 돌출길이를 제외하고는 남녀 유의성이 있었다. 귓바퀴의 비계측적 특징으로 남자는 귀위점이 눈썹 위에 있는 경우와 눈썹과 눈꺼풀 사이에 있는 경우가 비슷하였으나, 여자의 경우에서는 눈썹과 눈꺼풀 사이에 있는 경우가 87.5%로 훨씬 많았다. 귀둘레의 모양은 남자에서 타원형(32.6%)과 사각형(30.5%)이 많았으나, 여자에서는 타원형(32.7%)과 삼각형(33.0%)이 더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저자는 귀재건술에 필요한 정상 귓바퀴의 기준치와 더불어 한국인 귓바퀴의 체질인류학적 특징을 나타내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앞으로 귓바퀴의 돌출정도를 포함한 귓바퀴의 삼차원적 형태 등을 만들어 임상이나 애니메이션과 같은 응용분야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축적할 예정이다.

[영문]The auricle, which has a subtle structure, is an element that conveys signs of age or sex and decides the facial characteristic. The anatomy of the auricle differs in each individual as well as in each race. Therefore the anatomy of the auricle can be useful for physical anthropologist to classify the race of a person or for a forensic anthropologist to identify the body of dead person. Also, a standard measurement of a normal ear is required for plastic surgeons to reconstruct an ear or artists to express the ear. Studies on the auricle of Caucasians and Koreans have been reported. However, further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location and shape of the auricle is necessary.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metric and non-metric characteristics to obtain basic data that display physical anthropologic features. 733 Koreans under 39 years old and over 18 years old were examined. Metric items investigated were the length of the auricle, width of the auricle, morphological width of the ear, physiognomic ear length, physiognomic ear breadth, morphologic ear breadth, length of the ear cartilage, length of the ear lobule, and the height of the tragus. Non-metric items investigated were the location of the ear, shape of the helix and antihelix, and the attaching shape of the lobule. According to the metric results, all measured value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males than females, and there was a sexual difference except the width of the auricle, length of the ear lobule, and the height of the tragus. In non-metric results of the auricle, cases where the superaurale was located at the upper area of the eyebrow line and cases where the superaurale was between the eyebrow line and the upper eyelid showed similar rates among males. However, in 87.5% of the female group, the superaurale was located between the eyebrow line and the upper eyelid. The major shape of the helix were oval type (32.6 %) and quadrilateral type (30.5 %) in males, but oval type (32.7 %) and triangular type (33.0 %) in females. We believe that the data obtained in this study have generated standard measurements for ear reconstruction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that show physical anthropolog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uricle.
Files in This Item:
T00956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37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