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a strengthening program for the lower back in elderly women with chronic low back pain
Authors
형희경
Issue Date
2006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요부강화 프로그램이 만성요통 여성노인의 통증, 기능장애, 근력, 근지구력,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요통을 가진 여성노인으로 실험군 16명, 대조군 14명이었다.요부강화 프로그램은 일상생활 속에서의 요통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과 요부안정화 운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험군에게 교육은 주1회, 운동은 주 3회, 총 8주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프로그램 시작 전과 후에 시행되었으며, 통증 측정은Scott & Huskinsson(1979)이 개발한 시각적 상사척도, 요통으로 인한 기능장애 측정은 Fairbank 등(1980)이 개발하고 임현술 등(1998)이 번역·수정한 Oswestry Disability Index, 요부 유연성 측정은 sit-and-reach test, 근력과 근지구력의 측정은 표면 근전도 검사, 생활만족도 측정은 Kozma and Stones(1980)의 도구를 윤 진(1982)이 수정한 노인의 생활만족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제 1가설 : ‘요부강화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통증이 감소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전굴, 후굴, 회전, 좌측굴, 우측굴 모두에서 실험군은 통증이 감소하였고 대조군에서는 증가하였으며,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전굴 U=61.50, p=.03, 후굴 U=46.50, p=.01, 회전 U=48.50, p=.01, 좌측굴 U=56.00, p=.02, 우측굴 U=58.50, p=.03). 따라서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제 2가설 : ‘요부강화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기능장애가 감소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기능장애가 감소하였고 대조군은 약간 증가하였는데,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U=60.50, p=.01). 따라서 제 2가설은 지지되었다.제 3가설 : ‘요부강화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유연성이 증가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좌전굴 유연성이 증가하였으나 실험군의 유연성이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U=4.50, p=.00), 제 3가설은 지지되었다. 제 4가설 : ‘요부강화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근력이 증가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측정 자세와 부위에 따른 16개 실효치 진폭 값 중 11개 값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p<.05), 제 4가설은 지지되었다.제 5가설 : ‘요부강화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근지구력이 증가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측정 자세와 부위에 따른 16개 중앙주파수 값 모두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따라서 제 5가설은 기각되었다.제 6가설 : ‘요부강화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생활만족도가 증가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생활만족도가 증가하였고 대조군은 감소하였는데,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U=14.00, p=.00). 따라서 제 6가설은 지지되었다.이상에서 본 요부강화 프로그램은 만성요통을 가진 여성 노인의 통증과 기능장애를 감소시키고 유연성, 근력, 생활만족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요부강화 프로그램은 간호사들이 만성요통이 있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중재가 될 것이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a strengthening program for the lower back in elderly women with chronic low back pain. It was hypothesized that a program to strengthen the lower back would result in decreased pain and disability, and increased flexibility,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and life satisfaction.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6 elderly women and the control group, 14 elderly women, all of whom had experienced low back pain for at least 12 weeks. Before and after the study, all of the women were given questionnaires on pain, dis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and were tested with the sit-and-reach test for flexibility and the surface electromyography for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 The strengthening program for the lower back included education on pain management in daily living and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s. For an 8 week period, exercises were done 3 days a week and one day education was also given.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1. Pain and disability score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p<.05).2. Flexibility, lumbar muscle strength, life satisfaction scor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p<.05).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endurance between the two groups(p>.05).In conclusion, low back pain and disability can be relieved, and flexibility, muscle strength, and life satisfaction increased through a program to strengthen the lower back. It is suggested that a program to strengthen the lower back would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women with low back p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