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78 1032

Cited 0 times in

식품 섭취 설문지를 이용한 저작능력평가와 Dental Prescale을 이용한 교합력 간의 상관관계

Other Titles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chewing ability using food questionnaire and occlusal force us 
Authors
 조영균 
Issue Date
2006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에서는 식품 섭취 설문지를 바탕으로 성인의 저작 능력을 평가하고 여기에 Dental Prescale System을 이용하여 교합력이라는 객관적 수치와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개인 치과의원에 내원한 19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고안된 식품 섭취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고 이를 섭취 가능 정도에 따라 점수화하여 식품섭취지수를 얻어 내었다. 또한 Dental Prescale System을 이용하여 객관적인 방법으로 교합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작능력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인 평가와의 관련성을 평가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제 환자 치료에 있어서 저작 능력 평가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식품 설문지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1. 연구 대상자는 총 198명이었으며 Dental Prescale을 이용하여 측정한 전체 평균 교합력(N)은 445.0 N이었다. 남자는 총 97명이었고 평균 교합력은 456.7 N이었다. 여자는 총 101명이었으며 평균 교합력은 433.7 N이었다. 성별에 따른 t-검정 결과 교합력의 차이는 없었다. 연령대가 증가함에 따라 교합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p<0.05), 구치부 치아의 상실이 증가할수록 교합력 또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2. 전체 연구 대상자의 식품 섭취 지수의 평균값은 4.68이었다. 남자는 4.62이었으며 여자는 4.74이었다. 남녀 간 식품 섭취 지수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연령대가 증가함에 따라 식품 섭취 지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p<0.05), 구치부 치아의 상실이 증가함에 따라 식품 섭취 지수 또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의치를 장착한 집단이 5개 이상의 치아 상실 군 보다 높은 식품 섭취 지수를 나타냈다.3. 전체 식품 섭취 지수와 교합력 간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p<0.05). 30 가지의 식품 중 섭취 지수와 교합력 간의 피어슨 상관계수가 높은 음식은 마른 오징어, 쥐포, 생 당근, 전병(센베이) 과자 순이었으며, 이에 비해 두부, 국수, 귤, 수박 등은 피어슨 상관계수가 낮은 편이었다.4. 30 가지 식품들의 식품 섭취 지수를 이용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시행하여 3개의 식품군으로 나누었다. 첫 번째 군은 단단한 경도의 식품으로 쥐포, 당근, 마른 오징어, 땅콩, 단무지, 찹쌀떡, 바게트, 단감, 불고기, 캬라멜, 전병(센베이) 과자, 갈비찜, 우엉조림, 깍두기, 사과로 이루어진 군이다. 두 번째 군은 중간 경도의 식품으로 참외, 오이소박이, 수박, 국수, 귤, 배추김치, 삼겹살, 찐 감자로 이루어진 군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무른 식품군으로 햄, 두부, 생선 조림, 삶은 닭, 어묵, 밥, 양갱으로 이루어졌다.5. 3개 군 중 어느 군이 교합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중 쥐포, 당근, 마른 오징어, 땅콩, 단무지, 찹쌀떡, 바게트, 단감, 불고기, 캬라멜, 전병(센베이) 과자, 갈비찜, 우엉조림, 깍두기, 사과로 이루어진 첫 번째 군만이 교합력과 관련이 있었고(p<0.01), 다른 두 개의 군은 유의할만한 관련은 없었다.6. 성별, 나이, 우식경험영구치지수(DMFT index), 지역사회치주지수(CPI index), 치열 상태 분류, 잔존 치아 수, 3개의 식품군 등의 요인이 교합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성별, 우식경험영구치지수(DMFT index), 치열 상태 분류, 쥐포, 당근, 마른 오징어 등이 속한 단단한 식품군만이 교합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다른 요인들은 교합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상의 연구 결과 식품 섭취 설문지를 이용하여 얻은 주관적인 정보인 식품 섭취 지수와 Dental Prescale을 이용해서 객관적으로 측정된 교합력 간에는 상관성이 있었으며, 그 중 몇몇 식품으로 이루어진 군이 보다 밀접하게 교합력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나이가 증가하고 치아의 수가 감소함에 따라 교합력과 음식 섭취 지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ive recognition degree regarding mastication and objective numerical value by measuring occlusal force using Dental Prescale System. The questionnaire devised for patient was assigned scores of between 1 and 5 for 30 different kinds of food. Data were obtained by a questionnaire and standardized oral health examinations. Also occlusal force was measured by using Dental Prescale Sys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1. Subject of investigation was total 198 people and the whole average occlusal force(N) was 448.0 N. The man were total 97 people and 456.7 N in average occlusal force(N), the woman were total 101 people and 433.7 N. As increasing age group, the occlusal force seems the tendency which it diminishes. It also diminishes as decreasing the number of present posterior teeth.2. The average in food acceptance score of the whole research subject was 4.68. The man were 4.62, women were 4.74.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exes in food acceptance score(p<0.05). As increasing age group, it shows a tendency to decrease in food acceptance score(p<0.05). As increasing loss of the posterior teeth, It also has a tendency to decrease in food acceptance ability score. But food acceptance ability score of the group equipped removable denture was higher than another one which has loss of posterior teeth over 5.3.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cclusal force and food acceptance score(p<0.05). Pearson correlation which was high(over 0.5) was a dried cuttlefish, a dried filefish. but Bean curd, the noodles, the orange and the watermelon are lower in comparison with them.4. Using food acceptance score of 30 different kinds of food,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30 different kinds of food were divided into 3 groups. Among the 3 groups, the group which are composed of a dried cuttlefish, a dried filefish, a raw carrot , the peanut, pickled radish, the sweat rice cake, baguette , the hard persimmon , grilled beef, caramel, sembae cookies, steamed short ribs, a hard-boiled burdock, cubed white radish kimchi , apple is signficantly related to occlusal force(p<0.01).5.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as carried out for examining the effect of occlusal force in the DMFT index and CPI index, remained tooth figures, the sex, loss of posterior teeth, divided 3 food groups and the age. Only the DMFT index, the sex, loss of posterior teeth, the group which are composed of a dried cuttlefish, a dried filefish, a raw carrot, the peanut, pickled radish, the sweat rice cake, baguette, the hard persimmon, grilled beef, caramel, sembae cookies, steamed short ribs dish, a hard-boiled burdock, cubed white radish kimchi , appl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cclusal force(p<0.05).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food acceptance score was correlated with occlusal force in adults. Particularly, some kinds of hard food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occlusal force. Also occlusal force was related with other oral condition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chewing ability using food questionnaire with occlusal force in adults is useful indicator for evaluating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planning high-quality dental treatment.
Files in This Item:
T00951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32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