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1937

Cited 0 times in

말기 폐암환자 및 가족의 호스피스 요구도

Other Titles
 Analysis of hospice care needs of patients with terminal lung cancer and their families 
Authors
 조경미 
Issue Date
2006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폐암은 암으로 인한 사망원인 1위이며, 사망률 1위의 심각한 질환으로, 조기발견이 어렵고 쉽게 전이되는 경향 때문에 생존률이 매우 저조하고 생존기간 동안 폐암환자는 질병으로 인한 고통, 치료의 부작용과 재발 가능성, 불확실한 결과로 인해 많은 어려운 일들에 부딪혀야 하며 대부분은 완치가 아닌 증상완화와 생존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보존요법으로 치료를 받으며 임종에 직면하게 된다.호스피스는 임종 환자가 가장 두려워하는 외롭고 소외되고 버려진 상태에서 죽어가는 일이 없도록 돌봄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써, 말기 폐암환자들이 남은 생애를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고 편안한 임종을 위한 호스피스간호 제공은 의미 있는 일이다.본 연구는 말기 폐암환자 및 가족의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 및 요구를 파악하여 그들의 간호요구를 충족시켜주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2006년 4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서울 소재 3차 의료기관인 Y대학 S병원에서 말기 폐암으로 진단받은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 취지를 설명하고 연구 참여 의사를 밝힌 환자 및 가족에게 본 연구자가 직접 설문지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말기 폐암환자의 인지와 관련된 특성에서 호스피스에 대하여 들어본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20명(55.6%), 처음 들어본 대상자는 16명(44.4%)이었으며, 대상자는 모두 호스피스를 받은 경험이 없었다. “호스피스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의 질문에 전체 대상자 36명(100%)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호스피스를 권유받는다면 동의하겠느냐는 질문에 30명(83.3%)의 대상자가 ‘그렇다’고 답하였고, ”호스피스에 대한 정보를 누구로부터 받고 싶은가“의 질문에 ‘간호사’ 28명(77.8%), ‘의사’ 8명(22.2%)으로 나타났으며 말기 폐암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 인지 및 필요성 차이에서 연령, 직업, 학력, 월수입, 거주형태(p<.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2. 말기 폐암환자의 호스피스 요구도는 각 항목이 4점 만점이며 영역별 평균은 ‘전체 호스피스 요구도’ 3.54점, ‘신체요구’ 3.54점, ‘정서요구’ 3.57점, ‘영적요구’ 3.57점, ‘가족지지’ 3.50점으로 나타났고 하위영역 중에서는 통증(3.84점)과 호흡곤란(3.83점)이 높게 나타났다.3. 말기 폐암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 인지 및 필요성 차이에서 연령(p<.05), 직업(p<.001), 학력(p<.001), 월수입(p<.001), 거주형태(p<.01), 주 간호자와의 관계(p<.01), 환자의 가장 고통스러운 증세(p<.01), 진단시기(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호스피스 요구도 차이에서 성별 및 연령에 따른 호스피스 요구도는 ‘정서요구’(p<.01), ‘가족지지’(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직업에 따른 호스피스 요구도는 ‘신체요구(p<.01), ’가족지지‘(p<.001), ’전체 호스피스 요구도‘(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4. 말기 폐암환자 가족의 호스피스 인지와 관련된 특성에서 ‘호스피스에 대하여 들어본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50명(61%), 처음 들어본 대상자는 32명(39%)이었으며, ‘호스피스간호를 권유받는다면 동의하겠느냐’는 질문에 50명(61%)의 대상자가 ‘그렇다’고 답하였고, ‘호스피스간호에 대한 정보를 누구로부터 받고 싶느냐’는 질문에 ‘간호사’ 46명(56.1%), ‘의사’ 24명(29.3%)으로 나타났다.5. 말기 폐암환자 가족의 호스피스 요구도는 각 항목이 4점 만점이며 ‘전체 호스피스 요구도’ 3.45점 ‘신체요구’ 3.35점, ‘정서요구’ 3.69점, ‘영적요구’ 3.53점, ‘가족지지’ 3.56점으로 나타났고, 하위영역의 평균에서 ‘불안’, ‘속마음이야기’가 3.72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통증’ 3.70점, ‘영양’ 3.65점, ‘호흡곤란’과 ‘우울’이 3.6점으로 높게 나타났다.6. 말기 폐암환자 및 가족의 호스피스 요구도 차이는 ‘신체요구’에서 환자의 요구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p<.05)한 차이를 보였고, 호스피스의 필요성은 환자 36명(100%), 가족 64명(78%)으로 통계적으로 유의(p<.001)하였다.결론적으로 말기 폐암환자의 호스피스 요구도가 가족보다 높았으며 특히 ‘신체요구’에서 환자의 호스피스 요구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젊고, 학력수준이 높으며,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도가 높고, 호스피스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호스피스 요구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의 호스피스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인지도를 높이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Lung cancer has become a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and mortality, and as it is also difficult to detect in the early stage so patients suffer from side effects, possibility of recurrence, and uncertain results. Many of these patients are not completely cured but are receiving palliative care to extend their lives and help them prepare for death.For these patients, nursing care in 'Hospice Programs' is not given to have the patients face death in a lonely and deserted state, but is provided to promote a positive and comfortable death.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spice care needs in patients with terminal lung cancer and familie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nursing needs.Data collection was done between ApriI and June, 2006. The participants were 36 patients with terminal lung cancer and 83 members of their families. Means, SD, t-test and χ²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SPSS 12.0 for Windows was employed.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1. There were 20(55.6%) patients who had heard of hospice' care and 16(44.4%) who had not, and none had experienced hospice care.All 36 (100%) patients answered that ‘hospice is a necessity'. To the question, 'if you were introduced hospice care, would you accept it?" 30 (83.3%) answered 'yes', and for, 'from whom did you get information about hospice?', the answers were, 'nurse' 28 (77.8%), 'doctor' 8 (22.8%).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job, education, income and residency in knowledge about, and felt need for hospice care by these patients (p<.01).2. On the hospice care needs scale, the patients had the following mean scores (total possible 4), for the domains, 'total hospice needs', 3.54, 'physical needs', 3.54, 'emotional needs', 3.57, 'spiritual needs,' 3.57, and for 'family support', 3.50 and of the individual items, 'pain' at 3.84, and 'dyspnea' at 3.83, had the highest scores.3. For patients recognition of hospice care and its necess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following, age (p<.05), employment (p<.001), education (p<.001), income (p<.001), residency (p<.01), main care giver (p<.01), most distressing symptom (p<.01) and period since diagnosis (p<.001). Also hospice needs according to sex and ag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emotional needs' (p<.01), 'family support' (p<.001) and according to employment, 'physical needs' (p<.01), 'family support' (p<.001), and 'total hospice needs' (p<.05).4. Of the families 50 (61%) had heard of hospice but 32 (39%) had no knowledge of hospice. To the question "If hospice care was recommended would you accept it?" 50 (61%) answered 'yes'. Of those who had heard about hospice, 46 (56.1%) reported hearing about from a 'nurse' and 24 (29.3%) from a 'doctor'.5. The means scores for family members (total possible 4), were for the domains 'total hospice needs', 3.45, 'physical needs', 3.35, 'emotional needs', 3.69, 'spiritual needs', 3.53, and 'family support' 3.56. For individual items 'anxiety' and 'heart to heart talk' were highest at 3.72, followed by 'pain', 3.70, 'nutrition', 3.65, 'dyspnea', and 'depression' 3.6.6. In 'Hospice needs', there was a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s patients had higher physical needs' scores (p<.05) than their families, and for 'necessity of hospice', 100% (36) of patients agreed but only 78% (64) of families agreed.In conclusion, 'Hospice needs' were reported higher by patients with terminal lung cancer than their families. Particularly for the domain of 'physical needs', patient's reported need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1). Also younger patients, those with higher education and income, and with more knowledge of hospice, recognized the need for hospice care. To promote the growth of hospice care in Korea, there is a need to develop specific methods for recognition and revitalization
Files in This Item:
T00950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31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