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46 3205

Cited 0 times in

자기효능증진 프로그램이 신규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조직사회화 결과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ng program on the new staff nurse's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 
Authors
 부은희 
Issue Date
2006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병원에 입사한 신규간호사는 낯선 환경으로 인하여 현실충격과 낮은 자기효능감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므로 간호조직은 조직내부자로 긍정적으로 적응하도록 네트워크 세대인 신규간호사를 보다 더 이해하며, 이들의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직사회화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간호단위에 배치되어 교육훈련을 시작하는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 및 조직적응에 도움을 주고자 시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연구이다. 연구절차는 프로그램개발 준비, 프로그램개발, 프로그램평가의 3단계로 진행되었다.1단계인 프로그램개발 준비단계에서는 2005년 4월20일부터 4월25일까지 경기도 소재의 연구대상병원에서 신규간호사에게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훈련 환경을 파악하였다. 간호사가 지각하고 있는 자기효능감과 조직사회화 결과변수인 직무만족도, 과업숙련도와 조직몰입도에 대해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2단계, 프로그램개발 단계에는 Hackett와 Betz(1981) 설명모형을 근거로 낮은 신규간호사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하여 Bandura(1977)의 네 가지 자기효능 정보원과 조직사회화 내용을 연계하였다. 네 가지 정보원 중 성취경험은 신규간호사가 우선적으로 습득해야 할 과제이면서 연구대상 병원에서 교육하고 있는 기본간호행위 및 간호단위 실무지침 내용을 교육기간별로 세분화하여 달성하도록 하였다. 간호역량별 행동지표는 장금성(2000)이 제시한 초보간호사 행동지표를 연구대상 병원상황에 맞게 보완하여, 전문가 그룹에서 타당성을 확인한 후 달성하도록 하였다. 그 밖에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 정서적 각성은 Feldman(1977)의 제시한 조직사회화 모형 중 조우단계에서 긍정적인 적응을 유도하기 위한 개인과 조직의 지지적인 역할을 통하여 경험하도록 프로그램 활동을 구성하였다. 개발 프로그램의 초안인 예비 프로그램은 2005년 6월부터 12월까지 임의로 배치된 실험군 11명에게 중재하면서, 대조군 11명과 동시에 반복적으로 자료 수집하여 효과를 분석한 후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3단계 프로그램평가 단계에서는 2006년 2월부터 3월까지 2개월간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실험으로 설계하여 실험군 12명과 대조군 11명에서 각각 프로그램 시작 전, 2개월, 4개월 후에 반복적으로 자료 수집하여 프로그램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프로그램개발 준비단계에서 76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프리셉터 지도 하에 교육을 받은 기간이 4주이하였다고 71%가 응답하였으며, 15.1%만이 프리셉터 역할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2. 세 가지 가설검증을 통하여 예비프로그램과 최종프로그램 효과평가를 하였다.- 제1가설 : ‘자기효능감이 높은 간호사는 조직사회화 결과가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에서 2005년도 신규간호사는 프리셉터 교육기간인 2개월째와 혼자서 적응 을 하는 기간인 6개월째에 모두 높은 자기효능감을 지각하는 간호사일수록 조 직사회화결과 변수 중 조직몰입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 상관관계를 보여 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2006년도 신규간호사는 프리셉터 교육기간인 2개월째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 (r=.408, p=.038), 과업숙련도(r=.390, p=.049), 조직몰입도(r=.747, p=.000)와 정상 관관계가 있으면서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나 가설은 지지되었다.- 제2가설 : ‘자기효능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신규간호사들은 프로그램에 참여 하지 않은 신규간호사들보다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자기효능감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예비 프로그램에서는 기각된 반면, 최종프로그램 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F=4.279, p=.050), 측정시기별로 집단 내에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F=8.555, p=.008)가 있었고, 측정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 있어 각 집단의 시기에 따른 ‘자기 효능감’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F=12.549, p=.002) 가설은 지지되었다.- 제3가설 : ‘자기효능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신규간호사들은 프로그램에 참여 하지 않은 신규간호사들보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조직사회화 결과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최종 프로그램에서는 실험군에서는 대조군과 비 교하여 상승되고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가설은 기각되었다.프로그램의 직접적인 효과인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해 예비프로그램은 Bandura(1977)가 제시한 네 가지 정보원에 근거하여 개발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던 경력간호사 7명과 신규간호사 7명을 별도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프로그램 관련한 사항을 보완하고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최종 프로그램에서는 간호단위 활동 중심으로 프리셉터와의 상호관계에 중점을 두어 직무교육을 하면서, 3회 집단모임과 교육을 실시하였다. 예비프로그램과는 다르게 추가로 프리셉터에게 집단모임과 교육을 2회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기효능감 증진 효과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조직사회화 변수에서도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승되고 있는 효과를 나타냈다.본 연구결과, 역동적인 병원환경에서 초기 사회화 과정에 있는 신규간호사 대상의 자기효능증진 프로그램은 Bandura(1977)의 네 가지 정보원을 제공하는 프로그램만으로는 효과가 제한적이므로, 조직사회화의 상호작용주의적 관점에서 프리셉터가 신규간호사에게 긍정적은 영향을 줄 수 있도록 추가로 중재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사회화 대상인 신규간호사 자기효능감 증진 효과가 있음을 실증하고 있다.

[영문]When the newcomer join the hospital, they may experience reality shock at circumstances of the new organization. Therefor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actics are needed to minimize the difficulties for newcomer from reality shock and help guide easy adjustment as insider of organization.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elf-Efficacy promoting program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developed.The theoretical framework was derived basically from Bandura's Self-Efficacy theory and Feldman's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Model.This research was performed one of the general hospital in Kyung-kido. The final program developed three step. First, the survey was carried out newcomer's education and training circumstances. Second, the pilot program developed and evaluated this program's effect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research design. And developed the final program. Third, the effect of final program evaluated.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factor analysis, reliability, repeated measure ANOVA, paired t-test with SPSS program for Window 12.0.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ew staff nurse's perceived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ask adap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it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e seventy one percent of newcomer was educated with preceptor less than four week. The fifteen percent of nurse experienced preceptor role.Second, The effect of preliminary program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 After focus group interview, final program developed. The final program was divided two group. The preceptor group had meeting twice, based on vicarious experiences, emotional arousal and verbal persuasion. The preceptee had meeting third, based on vicarious experiences, emotional arousal and verbal persuasion. The preceptor educated the preceptee during two month based self-efficacy information source. Third, The effect of finial program was significant improvement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between intervention group and control group(F=4.279, p=.050).In conclusion, When the preceptor group added intervention. The newcomer's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improvement. Because of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teract newcomer's personal factor and preceptor's organizational situation factor. This point contribute to extend Bandura's theory(1977) i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spect.
Files in This Item:
T00937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18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