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6 1163

Cited 0 times in

근로자 절주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effect of a reducing alcohol intervention program for workers 
Authors
 김금이 
Issue Date
2006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범이론적 모델을 적용하여 근로자 절주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중재 프로그램 개발, 중재 프로그램의 적용 및 평가의 세단계로 진행되었다.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는 2005년 4월 1일부터 2005년 4월 30일까지 한 달간 거제지역 조선 제조 산업장의 근로자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일반적 특성, 현재 보유한 질환, 음주관련 특성, 음주행위 변화단계 및 변화과정, 자기 효능감, 음주의 의사결정균형을 포함하였다. 결과는 기술통계와 x2-test 및 ANOVA,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중재 프로그램은 기초조사의 결과와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프로그램의 기본틀을 작성하였으며, 변화과정, 자기 효능감, 의사결정균형을 주요 중재 전략으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 내용은 전문가 5인에게 의뢰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교육 자료의 내용 및 진행절차는 근로자 5인과 산업 간호사 3인에게 의뢰하여 추가로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개발된 절주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는 단일군 전후시차설계이며 유사실험 연구이다. 2006년 4월 6일부터 6월 22일 사이에 거제지역 조선 산업장 사무직 근로자 16명을 대상으로 연구자와 해당 산업장 보건관리자인 산업 간호사에 의하여 1주 이내에 2회씩, 1회당 20분간, 9주간 18회 시행되었다. 중재는 개별상담과 집단토론 및 보건교육 방법으로 진행되었고, 3주일 간격으로 대상자의 음주행위 변화단계점수를 측정하였고 그에 적합한 전략과 교육 자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중재 프로그램 전후 측정한 내용은 변화단계, 변화과정, 자기 효능감, 음주의 의사결정균형, 음주량, 임상검사인 ALT, AST, GGT,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FBS, B.P. BMI를 포함하였다. 결과는 기술통계와 중재시기별 차이의 Paired-test 및 Repeated Measured ANOVA로 분석하였다.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기초 조사의 연구 대상자의 특성에서 성별분포는 남자가 95.4%, 여자가 4.6%였다. 연령별 분포는 29세 이하가 56.5%로 가장 많았다. 교육수준은 고졸이 57.4%로 가장 많았고, 결혼상태는 미혼이 60.6%이며, 동거형태는 가족과의 동거가 64.8%로 높았고, 근무부서는 현장기술직이 96.8%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2) 연구 대상자의 음주회수는 1주에 1-2회가 40.7%로 가장 높았고, 음주하는 술의 종류에서는 소주가 74.5%로 가장 많았다. 술을 마실 때 한 좌석에서 연속으로 마시는 술잔의 회수 6-10잔이 47.7%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8.98잔 이었다.현재 절주를 시도한 대상자 중 절주이유로는 건강이 좋지 않아서가 45.5%로 가장 높았고, 절주를 실패한 이유로 대인관계유지를 위해 음주를 해야 할 것 같다가 47.0%, 의지력이 약해서가 22.0% 순으로 높았다. 절주를 실천하는 성공적 전략으로 여기는 것은 자신과의 약속을 지켜야 한다가 55.3%로 가장 높았다.3) 대상자의 음주행위 변화단계는, 계획전 단계, 계획단계에 77.5%가 치중되어 있었다.4) 대상자의 음주행위 변화단계에 따른 변화과정은 계획전 단계에서 준비단계로 이행할수록 변화과정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3), 인지 변화과정은 계획단계에서 유의하게 높았고(p=.004), 행위 변화과정은 유지 및 실행단계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11).변화과정의 점수는 평균 3.04이며, 평균보다 높은 개념은 자기해방, 돕는 관계, 자기재평가, 역조건화, 사회적 자유 순이었고, 평균보다 낮은 개념은 자극관리, 극적위안, 의식고양, 환경재평가, 우발가능성 순이었다.음주행위 변화단계에 따른 변화과정 각 개념별 차이분석에서, 자극관리는 계획단계에서 준비단계로 갈수록 높았고, 변화단계별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003), 사회적 자유 점수는 계획단계에서 가장 높았고, 변화단계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20). 환경재평가 점수는 준비단계에서 가장 높았으며, 변화단계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8), 인지 변화과정은 계획단계에서 가장 높았고, 변화단계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4), 행위 변화과정은 준비단계에 가장 높았고, 변화단계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011).자기 효능감의 점수는 평균 2.94이며, 초기 변화단계에서 후기 변화단계로 이행할수록 증가하였고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35). 의사결정균형의 음주로 인한 이익의 점수 평균은 2.99, 음주로 인한 손실의 점수 평균은 2.74, 이익과 손실의 차이는 0.26으로 전반적으로 음주의 손실보다 음주의 이익에 대한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음주의 이익에 대한 평균점수는 계획전 단계에서 준비단계로 갈수록 음주의 이익이 감소하였으며, 음주의 손실은 계획전 단계에서 준비단계와 실행 및 유지단계로 갈수록 음주의 손실이 증가하였고, 음주의 이익과 손실의 차이는 계획전 단계에서 준비단계로 갈수록 감소하였다.2, 개발된 근로자의 절주 중재 프로그램은 변화단계별 변화과정, 자기 효능감, 의사결정균형의 구체적인 중재 전략을 포함하고 있다.3. 개발된 절주 중재프로그램 효과 평가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절주 중재 대상자의 특성에서 연령별 분포는 40대가 62.5%였고, 교육수준은 4년 대졸이상 68.8%, 결혼상태는 기혼이 100.0%, 근무경력 21년 이상은 50.0%이었으며, 선호하는 주된 술 종류는 소주가 93.8%, 음주빈도는 주 1~2회가 43.8%, 주3~4회가 37.5%였고, 보유 질환명은 알코올성 지방간이 11명으로 가장 많았고, 과체중 5명, 당뇨 4명, 고혈압 4명, 고지혈증 3명이었다.2) 연구가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가설 1. ‘절주 중재 프로그램 적용 전보다 적용 후에 대상자의 음주행위는 초기 변화단계에서 후기 변화단계로의 이동이 있을 것이다’는 중재 실시 전보다 중재 실시 후에 음주행위 변화단계의 유의한 증가 차이(t=-5.295, p=.000)를 보여 지지되었다.가설 2. ‘절주 중재 프로그램 적용 전보다 적용 후에 대상자의 음주행위 변화과정(인지 변화과정, 행위 변화과정)이 증가될 것이다’는 중재 실시 전보다 중재 실시 후에 변화과정(t=-4.067, p=.001), 인지 변화과정(t=-3.841, p=.002), 행위 변화과정(t=-3.406, p=.004)이 각각 유의한 증가 차이를 보여 지지되었다.가설 3. ‘절주 중재 프로그램 적용 전보다 적용 후에 대상자의 음주행위의 자기 효능감이 증가될 것이다’는 중재 실시 전보다 중재 실시 후에 자기 효능감의 유의한 증가 차이(t=-2.460, p=.027)를 보여 지지되었다. 가설 4. ‘절주 중재 프로그램 적용 전보다 적용 후에 대상자의 음주 의사결정균형 중 음주 이익이 감소될 것이다’는 중재 실시 전보다 중재 실시 후에 음주 이익의 유의한 감소 차이를 보이지 않아 지지되지 못하였다.가설 5. ‘절주 중재 프로그램 적용 전보다 적용 후에 대상자의 음주 의사결정균형 중 음주 손실이 증가될 것이다’는 중재 실시 전보다 중재 실시 후에 음주 손실의 유의한 증가 차이를 보이지 않아 지지되지 못하였다.가설 6. ‘절주 중재 프로그램 적용 전보다 적용 후에 대상자의 음주 의사결정균형 중 음주이익과 음주손실의 차이가 감소될 것이다’는 중재 실시 전보다 중재 실시 후에 음주이익과 음주손실 차이의 유의한 감소 차이(t=3.006, p=.009)를 보여 지지되었다.가설7. ‘절주 중재 프로그램 적용 전보다 적용 후에 대상자의 1회 음주량 및 주별 음주량이 감소할 것이다’는 중재 실시 전보다 중재 실시 후에 1회 음주량의 유의한 감소 차이(t=3.994, p=.001>와 주별 음주량의 유의한 감소 차이(t=3.734, p=.002)를 보여 지지되었다.가설8. ‘절주 중재 프로그램 적용 전보다 적용 후에 임상검사 수치가 감소할 것이다’는 중재 실시 전보다 중재 실시 후에 간 기능수치, 혈중지질 수치, 혈압수치 수치, 체질량 지수의 유의한 감소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혈당수치는 유의한 감소 차이(F=3.684, p=.002)를 보여 지지되지 못하였다.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근로자의 과음행위 특성을 반영하여 범이론적 모델을 토대로 개발된 본 연구의 근로자 절주 중재 프로그램은 산업장 근로자의 음주행위가 절주를 위한 초기 변화단계에서 후기 변화단계로 이행되게 하였고, 변화과정, 인지 변화과정, 행위 변화과정, 자기 효능감을 증가하게 했으며, 의사결정균형 중 음주의 이익과 손실의 차이와 1회 음주량과 주별 음주량은 감소하게 했으며, 공복시 혈당은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절주를 위한 음주행위의 중재 프로그램은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음주 분야의 절주 중재에 범이론적 모델의 실무 실용성이 검증되었으므로, 지역사회간호사가 실무현장에서 과음자의 절주행위를 촉진하기 위한 기존의 집단적 보건교육 보다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 중재 전략인 대상자의 음주행위 변화단계에 기초를 두고, 변화과정 증진, 자기효능감 촉진, 음주의 이익과 손실의 차이를 최소화 하고 대상자의 인지적 측면 뿐 아니라 객관적 측면인 생리적 변화를 회환기전으로 활용하는 개인상담 방법을 적극 활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절주 실천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영문]A program to effectively reduce alcohol consumption of workers was developed and evaluated in this study. Three phases, basic data collection,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were used.Basic data collection was done in April 2005. The questionnaires include general characteristics, disease, drinking behavior, process of change, self-efficacy and decisional balance corresponding to the drinking behavior change based on a Transtheoretical Model in 216 shipping metal workers in K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χ2 -test, one-way ANOVA and Peason Correlation by SPSS/WIN program.Program development from the review of the basic data and literature was guided by the Transtheoretical Model was composed of strategies to increase the process of change, the self-efficacy, and the Cons for drinking, and to decrease the Pros for drinking and alcohol consumption in each stage of change.Evaluation of the program was done from April 6 to June 22, 2006. The intervention program is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ith repeated measuring by quasi-experimental study. Sixteen white collar male workers participated. In the beginning, the subjects were in the precontemplation stage(50%) and the contemplation stage(50%). Interventions were done personally or a group twice a week for 9 weeks.1. Workers who participated in the basic data collection were divided in four stages of drinking behaviors: 38.9% in precontemplation stage, 35.6% in contemplation stage, 17.6% in preparation stage and 7.9% in action and maintenance stage. The frequencies of drinking were significantly deceased as the workers progressed through each stage. Helping relationships and Self reevaluation were identified as the main processes of change in all stages. Self liberation, Counter conditioning, Helping relationship, Self reevaluation, Dramatic relief and Social liberation were used higher than average. The self-efficacy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workers progressed through each stage. The Pros for drinking was the highest in the precontemplation stage and the Cons for drinking was the highest in the preparation.2. The results of the intervention program are as follows :1) The scores of each stage of change in post-tes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ose in pretest.2) The scores of process(cognitive and behavioral) of change in post-tes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ose in pretest.3) The score of self-efficacy of change in post-tes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in pretest.4) The score of Pros for drinking in post-test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in pretest. 5) The score of Cons for drinking in post-test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in pretest.6) The score of Pros-Cons for drinking in post-tes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in pretest.7) The consumption of alcohol a week and a day in post-tes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in pretest.8) The levels in ALT, AST, GGT,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B.P. and BMI in post-test were not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in pretest, but the level of FB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in pretest.In conclusion, The above result has informed us that a stage-based reducing alcohol intervention program for worker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stages of change, process of change(cognitive and behavioral) and self-efficacy, and decreasing Pros-Cons for drinking, alcohol consumption and FBS, and it also has value as an effective means of nursing for workers.
Files in This Item:
T00927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08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