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4 754

Cited 0 times in

한국인 손 벌레근육의 형태 및 신경분포 변이

Other Titles
 Variations of lumbrical muscle and its nerve innervation in hands of Koreans 
Authors
 허미선 
Issue Date
2006
Description
의과학과/석사
Abstract
[한글]벌레근육의 신경분포는 둘째와 셋째 손가락 벌레근에 정중신경이, 넷째와 다섯째 손가락 벌레근에는 자신경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손에서 자신경 얕은가지에서 정중신경으로의 교통가지 이후에 정중신경에서 나온 가지가 넷째 손가락 벌레근에 흔하게 분포한다. 넷째 손가락 벌레근에 분포하는 신경가지의 기원은 신경다발의 분리로 확인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벌레근육의 다양한 형태변이를 관찰하고 벌레근육에 분포하는 신경다발을 분리하여 벌레근육의 정확한 신경분포를 밝히기 위함이다.한국 성인 시신 45구의 손 70쪽을 사용하였다. 신경다발의 분리가 필요한 경우는 벌레근육과 분포신경을 함께 떼어내 0.1M Guanidine hydrochloride 용액에 일주일 담근 후 초음파세척기로 한 시간 동안 처리하여 결합조직을 부드럽게 하였다. 신경다발 분리는 수술현미경 하에서 하였다.벌레근육은 근육 모양에 따라 크게 3가지로 구분하고 벌레근육이 닿는 부위에 따라 10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벌레근육의 근육 모양은 크게 둘째와 셋째 손가락 벌레근이 반깃근육이고 넷째와 다섯째 손가락 벌레근이 깃근육인 경우, 둘째 손가락 벌레근은 반깃근육이고 셋째, 넷째, 다섯째 손가락 벌레근은 깃근육인 경우, 벌레근 4개 중 벌레근이 하나라도 없는 경우로 구분하였다. 둘째와 셋째 손가락 벌레근이 반깃근육이고 넷째와 다섯째 손가락 벌레근이 깃근육인 경우, 벌레근 4개가 모두 해당 손가락의 노쪽에 닿는 유형은 40.0%, 넷째 손가락 벌레근, 다섯째 손가락 벌레근이 두 가닥으로 나뉘어져 닿는 유형은 각각 12.9%, 14.3%였다. 넷째와 다섯째 손가락 벌레근이 모두 두 가닥으로 나뉘어져 닿는 유형은 2.9%였다. 둘째 손가락 벌레근은 반깃근육이고 셋째, 넷째, 다섯째 손가락 벌레근은 깃근육인 경우, 벌레근 4개가 모두 해당 손가락의 노쪽에 닿는 유형은 14.3%, 넷째 손가락 벌레근, 다섯째 손가락 벌레근이 두 가닥으로 나뉘어져 닿는 유형은 각각 5.7%, 4.3%였다. 벌레근 4개 중 벌레근이 하나라도 없는 경우는 2.9%였다. 굽힘근지지띠 아래모서리에서 벌레근 이는곳까지의 평균거리는 둘째, 셋째, 넷째, 다섯째 손가락 벌레근의 경우 각각 +1.8 mm, -1.4 mm, +5.1 mm, +11.2 mm였다. 벌레근육의 신경분포는 정중신경과 자신경의 분포 또는 이중신경분포에 따라 7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둘째와 셋째 손가락 벌레근에 정중신경이, 넷째와 다섯째 손가락 벌레근에 자신경이 분포하는 유형은 26.0%에서만 나타났다. 일반적인 유형은 둘째와 셋째 손가락 벌레근에 정중신경이 분포하고, 넷째 손가락 벌레근에 정중신경과 자신경의 이중신경분포를, 다섯째 손가락 벌레근에 자신경이 분포하는 경우로 60.0%였다. 벌레근육의 이중신경분포는 둘째, 셋째, 넷째 손가락 벌레근에서 나타났다. 벌레근육의 이중신경분포 빈도는 68.0%였으며, 넷째 손가락 벌레근의 이중신경분포 빈도는 64.0%였다. 손에서 자신경 얕은가지에서 정중신경으로의 교통가지 이후에 정중신경에서 나온 가지가 넷째 손가락 벌레근 앞면에 분포하는 경우는 19쪽(38.0%)이었다. 이 교통가지의 신경다발을 분리한 결과, 교통가지에서 유래한 자신경 다발이 정중신경과 함께 넷째 손가락 벌레근 앞면에 분포하는 경우는 9쪽(18.0%)이었고, 자신경 다발이 모두 고유바닥쪽손가락신경이 되고 정중신경이 넷째 손가락 벌레근 앞면에 분포하는 경우는 10쪽(20.0%)이었다. 자신경 얕은가지가 넷째 손가락 벌레근에 분포하는 경우는 모두 자신경 깊은가지가 분포하였다. 벌레근육에 분포하는 자신경은 주로 깊은가지에서 일어났다. 자신경 얕은가지와 자신경 깊은가지가 동시에 벌레근육에 분포하는 경우는 다섯째 손가락 벌레근에 5쪽(10.0%), 넷째 손가락 벌레근에 10쪽(20.0%)이었다. 전기진단에서 셋째 손가락 벌레근은 손목굴증후군의 예후를 판단하는 데 중요하게 사용되며 둘째와 셋째 손가락 벌레근은 근육피판수술에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벌레근육의 신경분포 변이에 대한 자료는 전기진단과 근육피판수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The first and second lumbricals have been described to be innervated by the median nerve, and the third and fourth lumbricals by the ulnar nerve in the anatomy literatures. However, the 3rd lumbrical muscle was frequently observed to be innervated by a branch arising from the median nerve distal to the joining site of the ulnar nerve branch to median nerve.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nerve innervations of the lumbrical muscle by identifying the origin of the nerve fascicles innervating the muscles. Seventy hands of Korean adult cadavers were used. In the cases that the ulnar nerve was anastomosed with the median nerve before entering the 3rd lumbricals, the muscles and nerves were removed and immersed in guanidine hydrochloride solution (0.1mol/L) for 1 week. Then the nerve fascicles were separated and traced up under a surgical microscope. The lumbrical muscles were classified into 3 types based on their shapes, and also into 10 types based on their insertion sites. In the cases that the first and second lumbricals were unipenniform, and the third and fourth were bipenniform, all lumbricals inserted on the radial side of the corresponding fingers in 40.0%, the third inserted in split on 3rd and 4th digits in 12.9%, and the fourth inserted in split on 4th and 5th digits in 14.3%. In the cases that the first lumbrical was unipenniform, and the second, third, fourth were bipenniform, all lumbricals inserted on the radial side of the corresponding fingers in 14.3%, the third inserted in split on 3rd and 4th digits in 5.7%, the fourth inserted in split on 4th and 5th digits in 4.3%. The lumbricals were not found in 2.9%. The average distances from the distal border of the flexor retinaculum to the origin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umbricals were +1.8 mm, -1.4 mm, +5.1 mm, and +11.2 mm, respectively. The nerve innervation of the lumbrical muscle was classified into seven types. The most common type (60.0%) was that the first and second lumbricals were innervated by the median nerve, and the third by both the median and ulnar nerves, and the fourth by the ulnar nerve. The second most common type (26.0%) was that the first and second lumbricals were innervated by the median nerve, and the third and fourth by the ulnar nerve. The dual innervation of at least one lumbrical muscle was observed in 34 out of 50 specimens (68.0%), and the dual innervation of the 3rd lumbrical was most frequently observed (64.0%). In 19 specimens (38.0%), the 3rd lumbrical muscle was innervated by a branch arising from the median nerve distal to the joining site of the ulnar nerve branch to the median nerve. When separating and tracing up the nerve fascicles from the median nerve, the fascicles contained the components from the median and ulnar nerves in 9 cases, and the median nerve component in 10 cases. In these cases, the 3rd lumbricals were all innervated by the deep branch of the ulnar nerve. The ulnar nerve innervated the lumbricals generally through its deep branch. However, both the superficial and deep branches of the ulnar nerve innervated the fourth lumbrical in 5 cases and the third in 10 cases.
Files in This Item:
T00924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05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