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20 1914

Cited 0 times in

중환자실 병원감염 발생 특성 및 위험요인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nalysis of risk factors and characteristics for nosocomial infection in intensive cure unit 
Authors
 진혜영 
Issue Date
2005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

b 중환자실에서는 환자의 중증도 및 각종 침습적 처치의 증가로 병원감염 발생의 위험이 높고, 실제로 일반 병동에 비해 병원감염률도 높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에서 병원감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위험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병원감염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하였다.본 연구는 후향적 조사연구로 2003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 동안 수원 시내 일개 종합병원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총 32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자료수집도구는 문헌고찰을 기초로 연구자가 개발한 조사 기록지와 질병 위중도(APACHE Ⅲ)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조사 기록지는 병원감염 위험요인과 관계가 있는 숙주 요인, 환경 요인, 병원감염 요인 등으로 구성되었다. 병원감염 특성은 병원감염률과 병원감염의 종류 및 분리 균주의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위험요인 분석은 X2-test와 t-test를 이용하여 단변량 분석을 시행하였고 단변량 분석에서 병원감염 발생에 차이를 보인 변수만을 포함시켜 다중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1. 병원감염률은 820 퇴원환자수 동안 132건의 감염이 발생하여 16.09의 병원감염발생률을 나타냈으며, 발생밀도의 개념을 적용하여 9,672 중환자실 연환자일수 동안 132건의 병원감염이 발생하여 13.6의 발생률을 보였다. 중환자실에서 사용하는 삽입기구인 호흡기, 중심정맥관, 유치도뇨관의 사용일수를 고려한 병원감염률은 각각 16.99건, 6.38건, 4.44건 이었다. 주요 감염 발생 부위로는 폐렴, 요로감염, 혈류감염, 피부와 연조직 감염, 소화기계 감염 순이었다. 주요 분리 균주는 Staphylococcus aureus, Candida albicans, Enterococcus faecium, Klebsiella pneumonia, Pseudomonas aeruginosa, Acinetobacter spp. 순이었다.2. 중환자실 병원감염 발생과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16개 변수에 대하여 단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12가지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요인은 진단명, 총 재원일, 중환자실 입실 전 위치, 중환자실 재원일수, 여러 중환자실 이동 경험, 여러 중환자실 이동한 경우 총 중환자실 재원일수, 혈청 알부민, 기저질환 종류, 질병 위중도, 고 영양 수액, 항생제 종류, 침습기구 삽입일 이었다.3. 중환자실 병원감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변량 분석에서 병원감염 발생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에 대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단명, 총재원일, 중환자실 입실 전 위치, 중환자실 재원일수, 질병 위중도, 항생제 종류로 민감도 70.2%, 특이도 84.1%로 78.5%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제시된 병원감염 예방 전략은 병원감염 발생 위험요인을 가진 환자가 중환자실에 입실하는 경우, 입실 초기부터 집중적이고 차별화된 효과적인 감염관리 전략을 제공하여 병원감염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병원감염률을 줄여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 감염발생 위험 환자 사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핵심어 : 중환자실, 병원감염, 병원감염 발생 특성, 병원감염의 위험요인의 분석중환자실에서는 환자의 중증도 및 각종 침습적 처치의 증가로 병원감염 발생의 위험이 높고, 실제로 일반 병동에 비해 병원감염률도 높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에서 병원감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위험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병원감염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하였다.본 연구는 후향적 조사연구로 2003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 동안 수원 시내 일개 종합병원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총 32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자료수집도구는 문헌고찰을 기초로 연구자가 개발한 조사 기록지와 질병 위중도(APACHE Ⅲ)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조사 기록지는 병원감염 위험요인과 관계가 있는 숙주 요인, 환경 요인, 병원감염 요인 등으로 구성되었다. 병원감염 특성은 병원감염률과 병원감염의 종류 및 분리 균주의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위험요인 분석은 X2-test와 t-test를 이용하여 단변량 분석을 시행하였고 단변량 분석에서 병원감염 발생에 차이를 보인 변수만을 포함시켜 다중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1. 병원감염률은 820 퇴원환자수 동안 132건의 감염이 발생하여 16.09의 병원감염발생률을 나타냈으며, 발생밀도의 개념을 적용하여 9,672 중환자실 연환자일수 동안 132건의 병원감염이 발생하여 13.6의 발생률을 보였다. 중환자실에서 사용하는 삽입기구인 호흡기, 중심정맥관, 유치도뇨관의 사용일수를 고려한 병원감염률은 각각 16.99건, 6.38건, 4.44건 이었다. 주요 감염 발생 부위로는 폐렴, 요로감염, 혈류감염, 피부와 연조직 감염, 소화기계 감염 순이었다. 주요 분리 균주는 Staphylococcus aureus, Candida albicans, Enterococcus faecium, Klebsiella pneumonia, Pseudomonas aeruginosa, Acinetobacter spp. 순이었다.2. 중환자실 병원감염 발생과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16개 변수에 대하여 단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12가지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요인은 진단명, 총 재원일, 중환자실 입실 전 위치, 중환자실 재원일수, 여러 중환자실 이동 경험, 여러 중환자실 이동한 경우 총 중환자실 재원일수, 혈청 알부민, 기저질환 종류, 질병 위중도, 고 영양 수액, 항생제 종류, 침습기구 삽입일 이었다.3. 중환자실 병원감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변량 분석에서 병원감염 발생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에 대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단명, 총재원일, 중환자실 입실 전 위치, 중환자실 재원일수, 질병 위중도, 항생제 종류로 민감도 70.2%, 특이도 84.1%로 78.5%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제시된 병원감염 예방 전략은 병원감염 발생 위험요인을 가진 환자가 중환자실에 입실하는 경우, 입실 초기부터 집중적이고 차별화된 효과적인 감염관리 전략을 제공하여 병원감염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병원감염률을 줄여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 감염발생 위험 환자 사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핵심어 : 중환자실, 병원감염, 병원감염 발생 특성, 병원감염의 위험요인의 분석중환자실에서는 환자의 중증도 및 각종 침습적 처치의 증가로 병원감염 발생의 위험이 높고, 실제로 일반 병동에 비해 병원감염률도 높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에서 병원감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위험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병원감염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하였다.본 연구는 후향적 조사연구로 2003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 동안 수원 시내 일개 종합병원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총 32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자료수집도구는 문헌고찰을 기초로 연구자가 개발한 조사 기록지와 질병 위중도(APACHE Ⅲ)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조사 기록지는 병원감염 위험요인과 관계가 있는 숙주 요인, 환경 요인, 병원감염 요인 등으로 구성되었다. 병원감염 특성은 병원감염률과 병원감염의 종류 및 분리 균주의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위험요인 분석은 X2-test와 t-test를 이용하여 단변량 분석을 시행하였고 단변량 분석에서 병원감염 발생에 차이를 보인 변수만을 포함시켜 다중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1. 병원감염률은 820 퇴원환자수 동안 132건의 감염이 발생하여 16.09의 병원감염발생률을 나타냈으며, 발생밀도의 개념을 적용하여 9,672 중환자실 연환자일수 동안 132건의 병원감염이 발생하여 13.6의 발생률을 보였다. 중환자실에서 사용하는 삽입기구인 호흡기, 중심정맥관, 유치도뇨관의 사용일수를 고려한 병원감염률은 각각 16.99건, 6.38건, 4.44건 이었다. 주요 감염 발생 부위로는 폐렴, 요로감염, 혈류감염, 피부와 연조직 감염, 소화기계 감염 순이었다. 주요 분리 균주는 Staphylococcus aureus, Candida albicans, Enterococcus faecium, Klebsiella pneumonia, Pseudomonas aeruginosa, Acinetobacter spp. 순이었다.2. 중환자실 병원감염 발생과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16개 변수에 대하여 단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12가지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요인은 진단명, 총 재원일, 중환자실 입실 전 위치, 중환자실 재원일수, 여러 중환자실 이동 경험, 여러 중환자실 이동한 경우 총 중환자실 재원일수, 혈청 알부민, 기저질환 종류, 질병 위중도, 고 영양 수액, 항생제 종류, 침습기구 삽입일 이었다.3. 중환자실 병원감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변량 분석에서 병원감염 발생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에 대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단명, 총재원일, 중환자실 입실 전 위치, 중환자실 재원일수, 질병 위중도, 항생제 종류로 민감도 70.2%, 특이도 84.1%로 78.5%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제시된 병원감염 예방 전략은 병원감염 발생 위험요인을 가진 환자가 중환자실에 입실하는 경우, 입실 초기부터 집중적이고 차별화된 효과적인 감염관리 전략을 제공하여 병원감염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병원감염률을 줄여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 감염발생 위험 환자 사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The risk to exposure to nosocomial infection is high in the ICU(Intensive Care Unit) due to the severity of disease and increasing invasive treatments or procedures. In fact, the hospital infection rate in the ICU is higher than in the general war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vent nosocomial infection and provide effective nursing skill, by analyzing significant risk factors.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321 adult patients who admitted to the medical ICU of one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between January1 and December 31 in 2003.The tool for collecting data , which was based on other reference, and APACHE Ⅲ(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Ⅲ) was developed by a researcher. The tool consisted of host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and causes of hospital infection, which relate to the risk factors of hospital infection. The characteristics of hospital infection include the rate and types of nosocomial infection as well as isolated strain.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 11.5). Risk factors were analyzed by univariate analysis with X2-test and t-test. As a result of univariate analysis, variations that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were analyzed by multivariate analysis via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est.The results were as follows:1. The incidence rate was 16.09% (132 of 820 patients who were discharged from the ICU). The incidence density rate was 13.6% (132 of 9,672 patients) ;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ICU between January1 and December 31 in 2003. The incidence rate according to the period of applying medical devices such as ventilator, central venous catheter, indwelling catheter at 16.99%, 6.38%, and 4.44% respectively. The major sites which caused nosocomial infection were pneumonia, urinary track infection,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 and gastrointestinal infection ordered by frequency. The isolated strains were Staphlylococcus aureus, Candida albicans, Enterococcus faecium, Klebsiella pneumonia, Pseudomonas aeruginosa, Acinetobacter spp. ordered by frequency.2. Univariate analysis was used to reveal the factors of the nosocomial infection in the ICU. 16 variations were analysed and 12 variation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factors of the nosocomial infection were as follows: diagnosis, total admission day, the ward before admitted to the ICU, admission day in ICU, the experience of referring to different ICU, albumin, the types of underline diseases, the severity of diseases, TPN(Total Parenteral Nutrition), antibiotics and the period of application of the invasive devices.3. Multiple logistic regressions were used to analyze tha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analysis revealed factors of nosocomial infection in the ICU using univariat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diagnosis, total admission day, the ward before admitted to the ICU, the severity of disease, antibiotics. The results had a sensitivity of 72.0%, specificity of 88.9%, validity of 81.9%.The strategies of preventing nosocomial infection based on this study are : patients who have a latent opportunity to get nosocomial infection will be provided effective, intensive and discriminate nursing care. This will prevent the nosocomial infection, help decrease the incidence rate in the hospital and contribute to qualified nursing and develop the assessment tool for high-risk patients.
Files in This Item:
T00891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72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