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37 1590

Cited 0 times in

입원 호흡재활 프로그램이 만성 폐질환자의 호흡곤란, 운동능력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Effects of an inpatient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on dyspnea, exercise capacity, and health relate 
Authors
 이창관 
Issue Date
2005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입원 호흡재활 프로그램이 호흡곤란, 운동능력,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로 진행되었다. 대상자는 2004년 1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서울 소재 S병원 호흡기내과 병동에서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만성 폐질환자 중 대상자 선정 기준에 적합한 실험군 23명, 대조군 19명이었다.실험처치인 입원 호흡재활 프로그램은 상하지 운동훈련과 호흡 재훈련, 호흡근 훈련, 교육과 이완요법, 전화방문으로 구성된 입원기간 호흡 재활 프로그램과 이를 가정에서 지속하는 가정 호흡재활 프로그램을 병합한 것으로, 입원기간 중에는 실험군에만 4일동안 제공되었으며, 대조군에는 퇴원 시에 교육하여, 두 군 모두 가정에서 4주간의 가정 호흡재활 훈련을 지속하도록 하였다.자료 수집은 사전, 퇴원 시, 실험처치가 종료되는 시점인 퇴원 후 4주에 시행되었으며, 호흡곤란은 6분 걷기 직후에 Modified Borg scale을 이용하여 대상자가 자가 보고한 값으로, 운동능력은 기능적 운동능력의 지표인 6분 걷기검사로 측정하였으며, 건강관련 삶의 질은 사전과 퇴원 후 4주에 Guyatt 등(1987)에 의해 개발된 Chronic Respiratory Disease Questionaire(CRQ)로 조사하였다.수집된 자료는 SAS 9.1 ver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제 1가설 : '입원 호흡재활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호흡곤란이 감소될 것이다.'를 검증하기 위해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한 결과 두 군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F=6.58, p=.01), 시간 경과에 따른 두 군 간에 차이는 없었으며(F=.14, p=.87), 실험처치에 대한 그룹과 시간경과 간의 상호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나(F=2.05, p=.14), 제 1가설은 기각되었다.제 2가설 : '입원 호흡재활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운동능력이 증가할 것이다'를 검증하기 위해 이를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한 결과, 두 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F=1.56, p=.22), 시간 경과에 따른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F=27.57, p=.00), 실험처치에 대하여 그룹과 시간경과 간의 상호작용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F=13.82, p=.00), 6분 걷기거리의 변화가 두 군 간에 다른 것으로 나타나 제 2가설은 지지되었다. 사후검정을 실시한 결과, 실험군의 경우에는 사전과 퇴원 시(평균차 98.87미터, p=.00), 사전과 퇴원 4주 후(평균차 155.65미터, p<.00), 그리고 퇴원 시와 퇴원 4주후(평균차 56.78미터, p<.00)에서 두 시점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대조군은 각 시점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각각 p=1.00, p=.12, p=.07).제 3가설: '입원 호흡재활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건강관련 삶의 질이 증가할 것이다'는 두 군 간에 건강관련 삶의 질의 전 영역, 즉 호흡(p=.01), 정서(p<.00), 피로(p<.00), 조절(p<.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제 3가설은 지지되었다.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입원 호흡재활 프로그램은 질환이 악화되어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만성 폐질환자의 호흡곤란을 감소시키고, 운동능력을 증가시키며,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며 따라서 만성 폐질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간호중재로 생각되어진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 the effects of an inpatient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on dyspnea, exercise capaci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inpatients with severe chronic lung disease. This quasi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a respiratory inpatient unit of an hospital in Seoul from November, 2004 to June, 2005. Twenty three pati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nineteen to the control group. The inpatient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was composed of upper and lower extrimity exercise, breathing retraining, inspiratory muscle training, education, relaxation, and telephone visit. The inpatient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was carried out 4 sessions inpatient based and 4 weeks home based after discharge. The control group was given home 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at discharge time. The outcome measures were Borg score after 6min walking distance(6MWD), 6MWD, and Chronic Respiratory Disease Quainnaire(CRQ).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AS 9.1 version.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1.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yspnea level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F=6.58, p= .014). But there i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ime sequence(F=.14, p=.869),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sequence(F=2.05, p=.14). Thus, hypothesis 1 is rejected.2. There i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ercise capacity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F=.16, p=.22). Bu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ime sequence(F=27.57, p=.00),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sequence(F=13.82, p=.00). Thus, Hypothesis 2 is accepted. The results of post tes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etween pretest and discharge time(p=.00), between pretest and 4weeks after discharge time(p<.00), between discharge time and 4weeks after discharge time(p<.00) only in experimental group.3.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o thus hypothesis 3 is accepted.In conclusion, inpatient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may be an useful intervention to reduce dyspnea, increase exercise capacit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ly, this program could be adequately utilized for chronic lung disease.
Files in This Item:
T00887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68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