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243

Cited 0 times in

유방암 환자의 림프부종 발생 예측요인

Other Titles
 Predictors of breast cancer lymphedema 
Authors
 박진희 
Issue Date
2005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유방절제술 후 발생하는 림프부종은 유방암 생존자들의 삶의 질을 위협하는 고통스러우며 심각한 문제로 일단 발생하면 완치하기 어려우므로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에서 림프부종의 위험요인을 선행연구와 문헌을 통하여 선정하여 림프부종의 발생률과 예측요인을 규명한 조사연구이다.연구대상자는 유방절제술을 받은 유방암 환자를 표적모집단으로 수도권 소재 종합병원 2곳의 일반외과에서 유방절제술을 받은 여성을 근접 모집단으로 편의 추출한 총 450명이었다.림프부종 발생 여부는 상지 6곳의 팔둘레를 줄자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한 부위 이상에서 환측이 건측에 비해 2cm 이상 차이가 크게 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측정변수로는 문헌과 선행연구에서 제시되고 있는 림프부종의 위험요인을 질병관련요인, 치료관련 요인, 신체적 요인 및 행동․사회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질병관련 요인은 병기, 종양의 크기, 림프절 침범 정도를 조사하였다. 치료관련 요인은 수술방법, 수술후 경과기간, 액와림프절 절제 여부, 보조적 방사선치료 여부 및 액와부 방사선치료 여부, 보조적 항암화학요법 여부, 호르몬요법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신체적 요인으로는 유방암 진단시 연령, 체질량 지수, 이환상지의 우성여부, 당뇨와 고혈압과 같은 질병력이 포함되었다. 행동․사회적 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지, 운동습관, 림프부종 교육 여부, 림프부종 예방행위 이행이 포함되었다.본 연구의 자료수집기간은 2004년 10월부터 2005년 5월까지이었으며, 연구자가 외래를 방문하여 연구에 대해 설명하고 줄자를 이용하여 림프부종 발생여부를 확인한 후 설문지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1.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1. 대상자 450명에서 림프부종이 발생한 대상자는 112명으로 24.9%의 발생률을 보였으며 림프부종 호발부위는 상완골 외상과 상방 7cm와 하방 10cm 부위이었다. 림프부종 중등도를 보면, 림프부종이 발생한 대상자 총 112명 중 림프부종 1기는 86명(76.8%)이었으며 림프부종 2기는 26명(23.2%)이었다.2. 질병관련 요인, 치료관련 요인, 신체적 요인 및 행동·사회적 요인 중 림프부종 발생률의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병기, 종양의 크기, 림프절 침범 정도, 수술방법, 액와림프절 절제 여부, 방사선치료 여부, 액와부 방사선치료 여부, 항암화학요법 여부, 체질량 지수, 상지감각의 변화, 운동습관, 림프부종 교육 여부 및 림프부종 예방행위 이행이었다.3. 유방암 환자에서 림프부종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상호간의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의 결과를 볼 수 있는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림프부종 발생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인 변수는 병기, 수술방법, 액와림프절 절제 여부, 액와부 방사선치료 여부, 체질량 지수, 운동습관, 림프부종 교육 여부, 림프부종 예방행위 이행으로 나타났다.4.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림프부종 중등도를 1기, 2기로 구분하여 중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병기, 체질량 지수, 림프부종 예방행위 이행정도가 지지되었다.림프부종은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을 위협하는 간호문제로 아직까지 림프부종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림프부종의 측정법, 측정시기, 추후관찰 기간, 림프부종의 고위험군 및 림프부종의 조기증상 등에 대한 계속적인 코호트 연구를 통해 림프부종을 조기진단하고 예방하기 위한 전략이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이들 전략의 효과성을 증명하는 실험연구와 중재프로그램을 통해 림프부종 발생률을 낮추고 림프부종으로 인해 위협받는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을 증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incidence of lymphedema and to identify predictors of lymphedema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undergoing mastectomy.This study examined the following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lymphedema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 disease-related factors such as disease stage, T-stage, and N-stage, treatment-related factors such as types of surgery, duration after surgery, receipt of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radiotherpy, axillary radiotherapy, chemotherapy, and hormonal therapy, physiological factors such as age at diagnosis, body mass index, surgery ipsilateral to handedness, sensation change in arm, range of motion in shoulder, and comorbidity(hypertension and diabetes), and behavioral/social factors such as social support, formal education of lymphedema, level of exercise, and self-care activities to prevent lymphedema.450 women with breast cancer receiving mastectomy were recruited from two out-patient breast clinics of large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Korea from October in 2004 to May in 2005. Lymphedema was defined by circumferential measurement. Difference of greater than 2cm between the affected arm and normal arm were considered to be lymphedema.A descriptive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and data was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d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 11.5 programme.The results were as follows;1. Lymphedema developed in 118(24.9%) of the 450 patients. The severity was stage I in 86(76.8%) and stage Ⅱ in 26(23.2%).2. Through chi-square test, disease stage, T-stage, N-stage, types of surgery, receipt of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radiotherapy, axillary radiotherapy, chemotherapy, body mass index, sensation change in arm, formal education of lymphedema, level of exercise, and self-care activities to prevent lymphedema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incidence of lymphedema.3. 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a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of lymphedema if women were with higher staging, had modified radical mastectomy, had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received axillary radiotherapy and were body mass index greater than 25. A significantly decreased risk of lymphedema was found on women who exercised regularly, received education about lymphedema and had performed self-activities to prevent lymphedema.4. Stage, BMI and self-care activities to prevent lymphedema were the predictors to discriminate the severity of lymphedema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Lymphedema is recognized as an unpleasant and uncomfortable consequence of breast cancer-related treatment. Patients should be advised of the risk lymphedema and educated to detect its symptoms. So, nursing care should focus on patient education that emphasizes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lymphedema and self-care activities for preventio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59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