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1 1214

Cited 0 times in

방사선 치료를 받는 두경부 암 환자의 피로와 구강상태의 변화양상

Other Titles
 (The) patterns of radiation induced- fatigue and oral state with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Authors
 송태복 
Issue Date
2005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방사선 치료를 받는 두경부 암 환자의 피로와 구강상태의 변화 양상을 파악 하기 위한 종적 서술 연구로 2004년10월5일부터 동년 12월17일까지 서울시내에 위치한Y대학 부속S병원 방사선과 외래에 내원한 두경부 암 환자 중 치유 목적이고, 화학치료와 병행하지 않으며 연구목적에 동의한 환자를 대상으로 피로와 구강상태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환자 중 최종15명의 대상자에게서 방사선 치료 전부터 치료시작 5주후까지 총 6회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피로 연구도구는 저자의 승인과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Schwartz Cancer Fatigue Scale 6문항을 본 연구의 도구로 사용하였다. 구강상태는 Eiler등(1988)이 개발한 Oral Assessment Guide(OAG)를 이용하여8개 영역(목소리, 연하 입술, 혀, 이하선-타액, 점막, 치육, 치아/의치)을 측정하였으며, 피로와 구강상태모두 방사선 치료 전부터 치료5주후까지 매주1회씩 총6회에 걸쳐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Windows 와 Microsoft Excel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비모수 통계분석법을 이용하였다.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특성에 따른 치료 전 피로와 구강상태의 차이검정은 Mann-Whitney U test와 Kruskal Wallis test를 실시하였고 피로와 구강상태의 변화는Wilcoxon signed rank test로 분석하였다. 주에 따른 피로와 구강상태변화(OAG)의 상관 관계는 Spearman’s rho Correlation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방사선 치료를 받는 두경부 암 환자의 주별 피로감의 중앙값은 6-7-8-14-16-18점으로 방사선 치료시작 2주후부터 3주후에 급격히 증가하여 5주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대부분의 대상자가 방사선 치료4주 이후에는 중등도 이상의 피로를 경험하였다.

2) 방사선 치료를 받는 두경부 암 환자의 주별 구강상태의 중앙값은 9.0-9.0-11.0-12.0-12.0-12.0점으로 방사선 치료 시작 후부터 3주후까지 지속적으로 악화되어 이후5주후까지 구강상태가 호전되지 않고 악화된 상태가 지속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방사선 치료3주 이후에 대부분의 대상자들이 중등도 이상의 구강상태 악화를 경험하였다.

3) 주별 피로와 구강상태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를 통해 방사선 치료전 구강상태 손상정도가 심할수록 2주후 피로감이 더 심하고 2주후의 구강상태는 4주후 피로감에 영향을 미치며 3주후와 4주후에는 피로와 구강상태 악화정도가 모두 심해져 상호 영향을 미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볼 때 방사선 치료를 받는 두경부 암 환자들의 피로감과 구강상태는 2주후부터 4주후까지 급속히 악화된 후5주후 까지도 지속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간호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인지하고 정보를 공유하여 대상자 및 의료진이 이러한 증상악화를 예견하고 대처 할 수 있도록 하며 상태악화를 예방할 수 있는 피로중재와 구강간호 중재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patterns of radiation induced -fatigue and oral state with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5adults who had been in treatment an average of 6weeks. Data was collected from October 5, 2004 to December 17, 2004 .

The measurement tool for fatigue was a which Schwartz Cancer Fatigue Scale6 consisted of 6 questions as 5 point Likert scale developed by Schwartz et al(1998). The measurement tool for oral assessment was an oral assessment guide developed by Eiler et al(1988). To test of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Cronbach’s alpha was used. Cronbach’s alpha for Schwartz Cancer Fatigue Scale6 was 0.77, for oral assessment guide,085.

The collected data analyzed using appropriate statistical methods. General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Fatigue and oral state are analyzed by wilkoxon signed rank test. Spearman’s rho correlation of variance i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attern of radiaton induced-fatigue was demonstrated a sharp rise between 2 weeks & 3 weeks and continued to after 5 weeks.

2. Pattern of radiaton induced-oral state was gradually increased after 2 weeks and continued to after 5 weeks.



Routine clinical assessment and education about the patterns of fatigue and oral state by health professionals can help to understand their pattern of fatigue and oral state change may help them to manage the symptom.
Files in This Item:
T00862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43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