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0 465

Cited 0 times in

비만한 폐경전 여성에서 체중감량이 내피세포기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moderate weight reduction on endothelial function in obese premenopausal women 
Authors
 김세화 
Department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Issue Date
2005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제2형 당뇨병, 이상지혈증, 고혈압 및 비만환자에서 내피세포 기능이상이 동반되어 있으며, 내피세포 기능이상은 죽상경화증의 초기병변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특히 비만에서 내피세포 기능 이상의 정확한 기전은 아직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한 폐경전 여성에서 기저체중의 10% 이상을 감량시켰을 때 내피세포 기능변화와 아디포사이토카인, 염증표지자 및 혈중 지질농도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보고자 하였다.

대상군은 모두 폐경전 여성이었으며, 비비만군(대조군), 비만군 및 당뇨군으로 나누어 신체계측, 혈청학적 검사 및 내피세포기능 평가를 하였으며, 비만군에서는 3-6개월간의 체중감량 후 기저검사를 재시행하였다. 내피세포 의존성 및 비의존성 혈관확장반응은 상완동맥에서 각각 과혈류 유발과 니트로글리세린 0.6mg 설하 투여에 의한 혈관확장 반응으로 측정하였다.

내피세포의존성 혈관확장 반응은 대조군에(12.4%) 비해 비만군(6.7%) 및 당뇨군에서(6.0%) 의미있게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p<0.005). 내피세포 비의존성 혈관확장반응도 대조군에(19.7%) 비해 비만군(13.3%) 및 당뇨군(12.8%)에서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p<0.01). 비만군에서 체중감량후 체질량지수 3.2kg/m2(p<0.001), 허리둘레 9cm(p<0.001), 복부피하 지방면적 73.7cm2(p<0.001) 감소되었다. 혈청 지질 중에서는 중성지방만이 52mg/ml 감소하여 의미있는 변화를 보였으나, 아디포넥틴, 레지스틴, 고감수성 C-반응성 단백질등은 의미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내피세포의존성 혈관확장반응은 기저평균 4.9%에서 체중감량 후 12.3%로 증가되어 의미있는 호전을 나타냈으나(p=0.021), 내피세포비의존성 혈관확장 반응은 12.9%에서 체중감량후 14.7%로 의미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p=0.208). 또한 내피세포의존성 혈관확장반응의 증가와 중성지방, 고감수성 C-반응성 단백질 및 아디포넥틴 등의 변화와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비만하거나 제2형 당뇨병을 가진 여성이 정상체중을 가진 여성보다 내피세포의존성 및 비의존성 혈관확장 반응이 감소되어 있으며, 비만한 여성에서 기저체중의 10% 이상 감량은 내피세포의존성 혈관확장 반응을 의미있게 호전시켰으나, 내피세포기능 변화와 아디포넥틴, 염증표지자 및 중성지방의 변화간의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영문]Endothelial dysfunction, a pathologic feature of obesity, predicts the occurr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We compared endothelial function in obese, non-obese and type 2 diabetic women, and also investigated the effect of moderate weight reduction on endothelial function in obese premenopausal women. Endothelium-dependent and indepen- dent vasodilation were investigated by flow-mediated vasodilation and sublingual spray of sodium nitroprusside. Body composition, serum lipid, and serum adipocytokine(adiponectin, resistin)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weight reduction. Weight reduction was obtained by caloric restriction, aerobic exercise and antiobesity medication(Sibutra- mine 10mg/day or Orlistat 360mg/day).



Endothelium-dependent and independent vasodilation were lower in obese and type 2 diabetic group than control group(p<0.005, p<0.01, respectively). After weight redu- ction, a significant reduction in body mass index(from 30.5±5.6 to 27.3±5.3kg/m2, p<0.001) and in waist circumference(from 95.5±11.4 to 88±11.8cm, p<0.001) were observed in obese group. Weight reduction was also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 increase in endothelium-dependent vasodilation(from 4.9% to 12.3%, p<0.05). Endothlium-inde- pendent vasodilation did not change after weight loss. Serum concentration of adipo- nectin, resistin and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fter weight reduction. Serum triglyceride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136±82.1 to 84±36.8 mg/dL(p<0.05). However, the decrease in serum triglyceride did not correlate significantly with the improvement in endothelium-dependent vasodilation(r= -0.256, p= 0.625).



Our data illustrate that weight reduction improves endothelial function in obese premenopausal women. This improvement can''t be explained by the change of serum adipocytokine, inflammatory marker and lipid profiles.
Files in This Item:
T00848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Kim, Se Hwa(김세화)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29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