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9 494

Cited 0 times in

소음부서 근로자의 선별청력검사로서의 자동화된 변조이음향방사의 유용성

Other Titles
 (The) feasibility of automated Distortion product otoacousic emission (DPOAE) as a screening auditory funtion test of workers un 
Authors
 유신영 
Issue Date
2004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소음성 난청 환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예방이 최우선인 것은 잘 알려진 사실로 본 연구에서는 소음부서 근로자를 대상으로 자동화된 변조이음향방사를 시행하여 소음성 난청의 선별검사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음부서에 근로자 300명을 대상으로 각각 자동화된 변조이음향방사와 순음청각검사를 시행하여 민감도와 특이도를 구하였으며 이중 1년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40명을 대상으로 동일한 검사를 시행하여 검사결과를 비교하였다.

소음성 난청의 주파수 특성을 고려한 경우 자동화된 변조이음향방사의 민감도와 위음성율은 각각 91%, 9%였으며, 근로기간에 따른 청각변화는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하지만 1년 추적 관찰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소음부서 근로자에게 청각 선별 검사로서의 자동화된 변조이음향방사는 소음성 난청의 주파수 특성을 고려하여 양성 판정 기준을 조절 시에 선별검사로서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Object : Automated DPOAE was undertaken on the workers exposed to noisy enviroment to determined the feasibility of noise induced hearing loss as a screening test.

Method :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analyzed by the experiments of both automated DPOAE and Pure tone audiometry conducting on the subject of 300 people work in noisy enviroment. Same experiments were examined and compared the results conducting on the subgroup of 40 workers in whom follow up study were available out of the 300 people.

Results : When considered the attributes of frequncy, sensitivity of automated DPOAE and false positive rate each were 91%, 9%. Pass rete according to the period of service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although 1 year follow up period did not show the change of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 Automated DPOAE appears to be feasible as a screening test when considered the atteributes of frequency and adjusted refer criteria.
Files in This Item:
T00826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07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