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1265

Cited 0 times in

이완요법이 정신질환자의 불안감소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f the effects of relaxation therapy upon the anxiety level of psychiatric inpatients 
Authors
 김정인 
Issue Date
1985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정신질환은 장기치료를 요하며 근본적 치료방법이 미흡하여 완치율이 낮고 증상이 회복된다 하여도 환자의 경제적 자립이 어려우며 또한 정신질환 전문치료기관 및 치료자도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에 있다.

정신질환의 역동적 원인은 불안으로서 불안의 문제를 해결하므로써 정신질환의 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여건하에서 정신질환자를 돕고자 할때 효율적인 간호중재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완요법은 간호원에 의해서 쉽게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짧은 시간내에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할 수 있고 시행하는 데 있어서 특별한 비용이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이며 일단 이 기술을 몸에 익히면 평상시의 불안해소방법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자는 이러한 이완요법을 정신질환의 문제를 해결하는 간호중재기술로써 사용코자 이완요법이 정신질환자의 불안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임상 유사실험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목적은 이완요법이 정신질환자의 불안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은 1985년 1월부터 3월까지 C정신병원에 입원한 정신분열증 환자 129명을 대상으로 연구시기를 달리하여 먼저 대조군 64명을 선정하여 3주간 이완요법을 시행하지 않고 혈압, 맥박, 소변등의 생리적 측정법 및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다음에 실험군 65명을 선정하여 3주간 이완요법을 시행한 후 대조군과 같은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Jacobson이 고안한 이완요법의 방법을 미국의 Biofeedback Institute에서 체크리스트 형태로 매뉴얼화 한 것을 저자가 번역하여 간호원의 목소리로 녹음시킨 테이프를 사용하였으며 불안측정은 Spielberger의 상황, 기질불안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가설검정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두 집단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및 제변수에 대한 유사성을 κ**2 -test와 t-test로 분석하였으며, 이완요법이 정신질환자의 불안감소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기본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전과 후의 혈압, 맥박수, 소변의 나트륨과 칼륨의 비(Na/K), 불안점수의 차이를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이완요법의 효과적인 시기, 이완요법이 주관적 감정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는 paired t-test, 이완요법의 시행횟수와 혈압, 맥박, 주관적 감정점수와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항정신약물에 대한 이완요법의 효과는 paired t-test, 기타 변수들

은 ANOVA,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제변수에 대한 두 집단간의 유사성 검정을 한 결과 두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 이완요법의 효과분석

이완요법이 정신질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가설검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본가설: "이완요법을 받은 실험군의 불안정도는 이완요법을 받지않은 대조군의 불안정도보다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구체적 가설

제1가설: "이완요법을 받은 실험군의 혈압은 이완요법을 받지않은 대조군의 혈압보다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수축기 혈압: t=50.97, df=64, p=.000 이완기 혈압: t=50,37, df =64, p=.000)

제2가설: "이완요법을 받은 실험군의 맥박수는 이완요법을 받지않은 대조군의 맥박수보다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t=2.23, df=64, p=0.29)

제3가설: "이완요법을 받은 실험군의 소변의 나트륨과 칼륨 비(Na**+ /K**+)는 이완요법을 받지않은 대조군의 소변의 나트륨과 칼륨의 비(Na/K)보다 증가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t=-1.55, df=64, p=.32)

제4가설: "이완요법을 받은 실험군의 불안점수는 이완요법을 받지않은 대조군의 불안점수보다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상황불안 t=4.52, df=64, p=.000 기질불안 t=22.87, df=64, p=.000)

2. 이완요법의 효과적인 시기

혈압과 맥박은 실험 제1일부터 제21일까지 3주간 이완요법시행 전과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축기 혈압은 이완요법시행 제12일부터, 이완기 혈압은 제13일부터, 맥박은 제11일부터 특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평균 이완요법 시행 제12일부터 이완요법의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3. 이완요법이 주관적 감정척도에 미치는 영향

이완요법 시행 제21일이 제1일보다 주관적 감정점수가 높아 이완요법에 대한 심리적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이완요법 시행 제12일부터 주관적 감정점수가 현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이완요법의 시행횟수와 혈압, 맥박, 주관적 감정점수와의 관계

이완요법의 시행횟수와 혈압, 맥박수와는 상관성을 주관적 감정점수와는 순상관성을 나타내므로서 이완요법의 시행횟수가 많아지면 혈압, 맥박수는 낮아지고 주관적 감정점수는 높아졌다. (수축기 혈압 r=-.7815 이완기 혈압 r=-.8315 맥박 r=-.6513 주관적 감정점수 r=.8523)

5. 항정신약물에 대한 이완요법의 효과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실험 3주후의 Chlorpromazine의 1일 사용량은 실험전의 사용량에 비해 감소하였다. (실험군 t=5.83, df=64, p=.000 대조군 t=3.42, df=63, p=.001)

6. 인구사회학적 제특성과 질병의 제특성과의 관계

부모가 없는 환자가 부모가 있는 환자나 편부모를 가진 환자보다 입원횟수가 많았다. (F=6.706, df=128, p=.002). 연령이 높을수록 입원횟수가 많았으며 입원경과일도 많았다. (입원횟수 r=.2921, p=.016, 입원경과일 r=.1880, p=.001)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이완요법은 정신질환의 가장 중요한 병리적 요소인 불안의 문제를 생리적 및 심리적으로 해결하여 줄 수 있기 때문에 정신질환의 증상을 경감시키므로서 정신질환의 치료 및 예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 또한 이완요법은 횟수를 거듭할 수록 충분한 이완수준에 들어갈 수 있고 일단 그 기술을 습득하면 자기치료의 방법으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치료 및 재발이 잦은 정신질환자에게는 바람직한 간호중재라고 할 수 있다.



[영문]

There are several problems which have an influence on psychiatric illness. First, due to the lack of developed treatment methods, a longer treatment period is required and the complete recovery rate is very low. Second, even though the patient recovered it is very difficult to get a job due to the social stigma of psychiatric illness. Third, it is widely understood that a psychiatric patient can easily break the homeostasis of a family. Fourth, there is a great shortage of psychiatric hospitals and therapists.

Since it is realized that anxiety is dynamic source of psychiatric illness, Psychiatric symptoms should be controlled by implementation of measures to control anxiety.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methods is essential.

The researcher carried out a clinical quasi experiment in older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applied relaxation therapy as a nursing intervention method for psychiatric patients.

The researcher assumed some advantages of the relaxation therapy, for instance, relaxation therapy can be easily utilized by a nurse, by applying the relaxation therapy, a nurse can treat more patients within a limited time, it should be an economical method, for the treatment cost is relatively low, and it is possible to apply it personally as a self stress control meas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relaxation therapy for psychiatric in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9 psychiatric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at C psychiatric hospital, they,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perio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control group next to experiment at group.

The researcher taught Jacobson's relaxation therapy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while using relaxation therapy for three weeks. data was collected by means of physiological methods, and by questionnaires from January to march, 1985.

The measurement tool employed by the researcher was Spielberger's state and trait anxiety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the κ**2 -test and the t-test in order to test the similarity between the two groups. The paired t-test was used to test a hypothesis regarding the effects of relaxation therapy upon the anxiety level of the psychiatric inpatient. The paired t-tests, Pearson correlation and ANOVA were used in order to clarify effects of other variables related to relaxation therapy.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ther variable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tatistically.

1.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relaxation therapy upon the anxiety level of psychiatric inpatients was as follows:

The main hypothesis that the anxiety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was given relaxation therapy would be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who was not given relaxation therapy was supported.

The sub-hypothesis

1) The first sub-hypothesis that the degree of the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was given relaxation therapy would be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who was not given relaxation therapy was supported.

2) The second sub-hypothesis that the heart rate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was given relaxation therapy would be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who was not given relaxation therapy was supported.

3) The third sub-hypothesis that the urinary sodium and potassium ratio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was given relaxation therapy would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who was not given relaxation therapy was supported.

4) The fourth sub-hypothesis that the state and trait anxiety scale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was relaxation therapy would be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who was not given relaxation therapy was supported.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 relaxation therapy and the post-relaxation therapy in the blood pressure, pulse rate from the first day to the twentieth day. The relaxation therapy specially showed a high effectiveness from the 12th day.

3. The influence of relaxation therapy on the self reported emotional scale was hightened especially from the 12th day.

4.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relaxation therapy and selected variables such as blood pressure, pulse rate and self reported emotional scale was positive.

5. In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amount of chlorpromazine dosage per day was decreased after three weeks of the experiment.

6.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sease were as follows:

1)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istence of parent and frequency of admission to the psychiatric hospital was positive.

2)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ge and the frequency of admission and hospitalized period was positive.

From these results, it is obvious that relaxation therapy should be one of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methods used for psychiatric patients in terms of controlling the degree of anxiet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athological factor of psychiatric illness. Besides, this relaxation therapy could decrease psychiatric symptoms and reduce the dosage of antipsychotic drugs.

In conclusion, relaxation therapy should be one of the most desirable nursing interventions for psychiatric patients who require long periods of continuous treatment at a psychiatric hospital.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743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48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