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703

Cited 0 times in

심실조기흥분증후군에서 역방향 방실회귀성빈맥의 임상적 및 전기생리학적 특성

Other Titles
 Electrophysiolog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ntidromic reentrant tachycardia in ventricular preexcitation syndrome 
Authors
 최동훈 
Issue Date
1996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심실조기흥분증후군(ventricular preexcitation syndrome or Wolff-Parkinson-White 이하 WPW syndrome이라 약함)의 약 10%미만의 환자에서 우회로를 전향성 전도로로 이용하고 방실결절을 역행성 전도로로 이용하는 역방향 방실회귀성빈맥(antidromic reentrant tac hycardia)을 볼 수가 있다. 이 역방향성 방실회귀성빈맥은 표면 심전도로 심실빈맥과 감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바 이들이 나타내는 전기생리학적 소견 및 임상적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정방향 방실회귀성빈맥과 비교하여 역방향 방실회귀성빈맥의 특성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1986년 12월부터 1995년 4월까지 심실조기흥분증후군으로 진단되어 전기생리학검사 및 우회로 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355명중 전기생리학검사상 역방향 방실회귀성빈맥을 보인 18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1. 역방향 방실회귀성빈맥은 전체 심실조기흥분증후군 환자의 5.l%를 차지했다. 연령 분포는 15세에서 53세로 다양했는데 진단 당시의 평균연령은 28±12세로 정방향 방실회귀성 빈맥의 평균연령 35±15세에 비해서 젊은 연령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2. 대상환자는 남자가 13례, 여자가 5례로 남자 환자가 많았다.

3. 다른 심장 질환을 동반한 경우가 3례 있었는데 2례는 Ebstein's anomaly가 있었고 1례는 승모판 협착증으로 승모판막 치환술을 받았다.

4. 안정시 표면 심전도로 확인된 우회로의 위치는 좌측이 7례(39%), 우측이 9례(50%), 후중격이 1례(5.5%), 전중격이 1례(5.5%)였다.

5. 전기생리학검사상 다발성 우회로를 보인 경우는 18명의 환자에서 7명(38.9%)으로 정방향 방실회귀성빈맥에서의 337명중 20명(5.9%)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6. 전기생리학검사로 확인된 우회로는 다발성 우회로를 보인 환자가 18명중 7명으로 모두 25개의 우회로가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중 좌측이 10례(40%), 우측이 11례(44%), 후중격이 2례(8%), 그리고 전중격이 2례(8%)로 역방향 방실회귀성빈맥에서 우측 우회로(l1/25, 44%)가 정방향의 방실회귀성빈맥의 우측 우회로(98/357, 27.5%)에 비해서 많았고 반대로 후중격 우회로는 역방향 방실회귀성빈맥(2/25, 8%)에서 정방향 방실회귀성빈맥(63/357, 17.6%)보다 적은 소견을 보였다. 다발성 우회로는 우측 우회로가 2례, 전중격 우회로가 2례, 후중격 우회로가 2례, 그리고 좌측 우회로가 1례였다.

7. 자연적으로 발생한 빈맥시의 심전도 소견은 좌각차단형이 11례, 우각차단형이 6례, 그리고 심방세동형이 4례였다.

8. 전기생리학검사상 역방향 방실회귀성빈맥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빈맥이 유발되었는데, 유발된 빈맥의 유형을 살펴보면 정방향 방실회귀성빈맥이 19례, 역방향 방실회귀성 빈맥이 18례 있었는데 이중 7례는 2개의 우회로를 각각 전향전도로와 후향전도로로 이용하는 경우가 있었고, 방실결절회귀성빈맥과 심방세동의 소견을 보인 경우도 각각 3례와 5례 있었다. 이상의 소견으로 보아 역방향 방실회귀성빈맥은 비교적 젊은 나이에 진단되는 방실회귀성빈맥의 하나로 한 개 이상의 다발성 우회로를 이용하는 빈맥이 빈발하는 특징

이 있고 우회로의 빈도에서 정방향 방실회귀성빈맥에 비해서 우측 우회로가 많고 후중격 우회로가 적은 소견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후중격을 우회로 이용하는 경우에도 2례 모두 후중격 우회로를 전향성 전도로로 이용하지 못하고 후향성 전도로로만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Antidromic reentrant tachycardia(ART), in which an accessory atrioventricular pathway is used as the anterograde limb of an atrioventricular reentrant tachycardia, has been documented clinically in less than 10% of patients with the Wolff-Parkinson-White(WPW) syndrome. The wide QRS complex makes the distinction between antidromic AV reentrant tachycardia and ventricular tachycardia somewhat diffic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electrophysiologic characteristics of the antidromic reentrant tachycardia. Between December 1986 and April 1995, 355 patients were referred for evaluation of Wolff-Parkinson-White syndrome, Among them 18(5.1%) patients had preexcited reciprocating tachycardia.

1. The age of the antidromic reentrant tachycardia patients ranged from 15 to 53 years with a mean of 28±12 years which was younger than that in patients with orthodromic reentrant tachycardia(ORT) (p<0.05).

2. There were thirteen male patients, and five females.

3. There were 3 patients with associated heart diseases. Two patients had Ebstein's anomaly and one had mitral stenosis.

4. The locations of accessory pathways(APs) documented on surface ECG were 7 left lateral(39%), 9 right lateral(50%), 1 posteroseptal(5.5%) and 1 anteroseptal area.

5. Multiple bypass tracts documented by electrophysiologic study were found in 7(38.9%) among 18 patients with ART, more common than those with ORT(20/337(5.9%))(p<0.05).

6. Accessory pathways were documented by EPS in 25(10 left lateral, 11 right lateral, 2 posteroseptal and 2 anteroseptal area). ART patients had more right sided AP(l1/25, 44%) than those with ORT(98/357, 27.5%), but ART patients had less posteroseptal AP(2/25, 8%) than those with ORT(63/357, 17.6%).

7. ECG patterns of naturally induced AVRT were LBBB(11 cases), RBBB(6 cases), and atrial fibrillation(4 cases).

8. The types of induced tachycardia in electrophysiologic study were 19 orthodromic reentrant tachycardia, 18 antidromic reentrant tachycardia and among them 7 antidromic reentrant tachycardia using two accessory bypass tracts, 3 AV nodal reentrant tachycardia, and 5 atrial fibrillations.

ART patients were younger and had more multiple bypass tracts than those with ORT. ART patients had less posteroseptal AP than ORT patients and more right sided AP than ORT patients. The posteroseptal AP was used as retrograde limb only.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21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Choi, Dong Hoon(최동훈)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2-2009-9760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32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