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1402

Cited 0 times in

담낭 결석의 구성 성분 예측을 위한 편광 현미경을 이용한 담낭담즙 미세결석 검사의 유용성

Other Titles
 Usefulness of microscopic bile examination for prediction for gallstone composition 
Authors
 이기명 
Issue Date
1996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담석증은 담도계 질환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 개복 또는 복강경을 이용한 담낭 절제술이 기본적인 치료법이나 최근 다양한 비수술적 치료법이 시행되고 있다. 비수술적 치료에서 담석의 구성 성분은 치료의 성패를 좌우하는 요인이므로 담석의 성분 예측을 위하여 맡은 노력이 있어 왔다.

최근 시행되는 비수술적인 치료중 mono-octanoin 또는 MTBE(methyl-tert-butyl-ether) 등과 같은 담석 용해제를 담낭내 주입하므로서 담석을 제거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위해서는 경피경간적으로 도관의 유치가 필요한데 이때 얻을 수 있는 담즙내의 미세결석을 관찰하여 결석의 구성 성분을 예측할 수 있다면 보다 우수한 치료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1995년 4월 1일부터 1995년 9월 30일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 병원에서 담낭 결석으로 수술받은 환자중 담석과 담즙 모두 획득 가능하였던 2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의 성별 분포는 남자 9명, 여자 15명으로 평균 연령은 55.1세였고 21예는

복강경을 이용하여, 3예는 개복을 통하여 담낭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담석은 적외선 흡수 분광법을 이용하여 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 구분하였다. 담즙은 원심 분리하여 침전물내의 미세결석을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미세결석의 종류와 수를 구분하여 담석 성분과 담즙내 미세결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담석내 콜레스테롤 성분을 측정하여 콜레스테롤 성분이 70% 이상인 경우 콜레스테롤석, 20-70%인 경우 혼합석, 20% 이하인 경우를 색소석으로 구분하였을때 콜레스테롤 담석은 6예, 혼합석 6예, 색소석 12예 였다.

2. 원심분리한 담즙을 편광현미경하에서 관찰하여 각 미세결석의 수를 absent, few(<10/slide), moderate(2-10/high power field), abundant(>1/high power field)로 구분하여 담석의 종류와 관계를 알아보았다.

가. Cholesterol monohydrate crystal(CMC)과 담석 성분과의 관계를 보았을 때, CMC가 absent인 10예와 few인 2예에서는 색소성 담석이었고 moderate인 1예는 혼합석, abundant 11예중 6예는 콜레스테롤석 5예는 혼합석이었다.

나. Calcium carbonate microgspherolith(CCM)와 담석 성분과의 관계에서 absent인 15예중 5예는 콜레스테롤석, 6예는 혼합석, 4예는 색소석이었고 few인 2예는 각각 콜레스테롤석과 색소석이었고,moderate인 1예와 abundant 6예는 모두 색소석이었다.

다. Calcium bilirubinate granule(CBG)과 담석 성분과의 관계에서 absent인 7예중 2예는 콜레스테롤석, 2예는 혼합석, 3예는 색소석이었고 few인 7예중 2예는 콜레스테롤석, 4예는 혼합석, 1예는 색소석이었고 moderate 4예중 2예는 콜레스테롤석, 2예는 색소석이었으며 abundant 6예는 모두 색소석이었다.

이상의 결과 담즙내 CMC이 많을수록 콜레스테롤석일 가능성이 높았고 CCM은 콜레스테롤석을 예측하기 위한 민감한 지표였다. 반면 CCM과 CBG은 색소석을 예측하는데 있어 의미가 있었으며 abundant 정도로 다량 존재하는 경우는 색소성 담석일 가능성이 높았다. 따라서 담낭담즙내의 미세결석은 담석의 종류를 예측하는 유용한 지표로 생각되어 비수술적 치료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담낭담즙내 미세결석 검사의 유용성이 기대된다.



[영문]

According to chemical composition, gallstone can be classified as cholesterol, mixed, and pigment stones. The nonsurgical management of gallstone is effective for only cholesterol stone. So, prediction of gallstone type is essential for successful nonsurgical management. For prediction of gallstone composition,

radiologic method and microscopic bile examination were used. Microscopic examination of gallbaldder bile was known to be effective predictor for gallstone type, especially cholesterol stone in western countries. But gallstone type is different between western and oriental pop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microscopic bile microcrystal in Korea.

This study reviewed the 24 cases of patients who were performed cholecystectomy due to gallstone from April 1995 to September 1995. We analyse gallstone cholesterol content by infrared spectrophotometer and bile microcrystal by polarized microscopie. We assess the effectiveness of microscopic bile examination

for gallstone type estimation.

1. Among 24 patients, 9 were male and 15 were female, and their mean age was 55.1 years.

2. 21 patients experienced cholecystectomy by peritoneoscope and 3 patients did under explolapa.

3. 24 gallstones could be classified as 6 cholesterol, 6 mixed, and 12pigment stones.

4.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CMC for diagnosis of cholesterol stone were 100% and 55.6%, respectively.

5. CCM and CBG were not effective predictor of gallstone type. But, when CCM or CBG were present abundantly, the gallstone were highly suggestive of pigment stone.

In conclusion, CMC is sensitive predictor for cholesterol gallstone but less specific predictor. The reason for this difference is that mixed stone was relatively common in oriental population. CCM and CBG were less sensitive predictor for pigment stone but they present abundantly, this finding is highly suggestive of pigment ston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300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Lee, Kee Myung(이기명)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18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