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3329

Cited 0 times in

간세포암환자에서 간절제술후 재발된 간암의 치료 및 예후

Other Titles
 (The) prognosis and effect of treatment modalities on recurrent hepatocellular carcinoma after curative resection 
Authors
 이찬희 
Issue Date
1995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우리나라에서 간세포암은 간종양중 가장 흔한 것으로 최근 종양표지자, 복부초음파, 복부전산화단충촬영등의 여러 진단방법이 발전함에 따라 직경 1cm 미만의 크기가 작은 간세포암도 진단가능한 단계에 까지 왔다.

원발성 간암의 치료는 절제술이 가장 이상적이며 직경이 2cm 미만으로 피막을 가진 종양인 경우는 수술후 5년 생존률이 78%로 보고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암의 완전절제후 사망환자의 56%는 간세포암의 재발에 의한 것이며 대부분은 문맥계를 통한 간내전이에 의한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간세포암의 절제율은 아직까지 낮은 편이며 종양절제 후단기결과와 장기적인 예후 역시 불량한 편이다. 절제 가능한 간세포암 환자에서 예후가 불량한 주된 이유는 수술후의 재발이다. 따라서 재발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과 재발후 치료의 발전이 간암의 장기적인 예후를 향상시키는데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절제술을 시행한 간세포암 환자에서 재발과 관련된 인자들에 대해서는 여러보고가 있으나, 재발 후의 치료방법과 그 효과 및 예후에 대하여는 보고된 바가 드물어 간세포암 환자중 간절제술후 재발된 간암의 치료방법과 예후에 관하여 연구하여 간절제술후 재발의

방지를 위한 방법과 재발된 간암의 이상적인 치료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1987년 1월부터 1994년 10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에서 간세포암으로 간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56명과 1990년 1월부터 1994년 10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촌세브란스병원에서 간세포암으로 간절제술을 시행받은 149명(총 205명)중에서 병리조직학적으로 간세포암이 확진되어, 근치적 간절제술후 추적관찰중 재발이 확인되었고, 치료효과 판정에 필요한 가능한 병변이 계속 있거나, 치료평가가 가능한 환자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받은 후 재발한 환자에서 재치료를 받은 치료군과 받지 않은 대조군으로 구분하였고, 치료군중 재간절제술을 받거나 간동맥 색전술 단독치료, 간동맥 색전술과 항암제 투여, 방사선 치료 또는 알코올 주입 등을 시행한 다각적 치료요법을 받은 경우를 적극적 치료군으로, 항암제 투여, lymphokine activated ki

ller cell(LAK)치료를 받은 경우를 고식적 치료군으로 나누어 치료 효과를 판정하였다.

효과 판정기준은 임상적으로 계측 가능한 모든 병변이 완전히 소실 혹은 감소하거나, 새로운 병소의 발생이나, 병변의 진행이 없는 경우를 반응군으로 하였고, 병변의 크기가 증가하거나, 새로운 병변이 발생한 경우를 비반응군으로 정의하였다. 각 치료군과 대조군의

진행정지기간, 생존기간 및 생존률을 비교하였다.

1. 대상환자는 50예로 남자 41예, 여자 9예였으며, 중앙연령은 54세(31-84세)였다. 재발시 치료를 받은 환자가 38예(치료군),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가 12예(대조군)였다.

2. 재발이 발견된 시기는 간절제술후 12개월후 29예(14.1%), 24개월후 44예(21.577), 36개월후 48예(23.4%), 60개월후가 50예(24.4%)로 5년내의 재발률은 전체환자 205예중 50예인 24.4%였다.

3. 재발시 시행한 치료법으로는 재간절제술이 2예(4.077), 간동맥 색전술 단독이 17예(34.0%), 다각적 치료요법이 8예(16.0%)였으며, 항암제 투여가 10예(20.0%), LAK 치료가 1예(2.0%)였다.

4. 재발시 종양의 크기는 재간절제술과 간동맥색전술을 시행받은 환자 및 다각적 치료요법을 받은 군에서 각각 3.3cm, 4.Ocm, 2.1cm이었고, 항암제 투여를 한 경우 3,4cm, LAK 치료를 받은 경우 2.Ocm였으며, 대조군에서는 3.4cm로 각 군간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3586).

5. 치료군 38예중 9예(23.7%)에서 치료에 반응을 보였다. 재간절제술을 시행한 2예중 1예(50.0%), 간동맥 색전술 단독으로 시행한 17예중 7예(41.2%), 다각적 치료요법을 시행한 8예중 1예(12.5%)가 재치료에 반응하였고, 항암제 투여를 한 10예와 LAK 치료를 한 1예는 재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6. 재치료후 간암의 진행정지기간은 재간절제술이 32개월, 간동맥 색전술단독이 18개월, 다각적 치료요법이 7개월, LAK 치료가 6개월, 항암제투여가 2개월이었고, 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경우 4개월이었다. 재간절제술 또는 간동맥 색전술 단독으로 치료한 경우가 다른 치료를 하거나, 치료를 하지 않은 경우보다 재치료후 간암의 진행정지기간이 긴것으로 판명되었다(p=0.0006).

7. 재발후 생존기간을 치료방법에 따라 비교해 보면 재간절제수술이나 간동맥 색전술을 시행한 군 19.7개월, 다각적 요법을 받은 군 11.4개월, 항암제 주사나 LAK 치료를 받은 군 16.9개월, 대조군은 8.4개월로 재간절제수술이나 간동맥 색전술 단독으로 시행한 경우가 대조군보다 길었다(p=0.0491).

8. 전체생존기간을 치료방법에 따라 비교해 보면 재간절제술이나 간동맥색전술을 시행한 군 35개월, 다각적 요법을 받은 군 27.8개월, 항암제주사나 LAK 치료를 받은 군 25.9개월, 대조군은 28.3개월로 각 치료군과 대조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p=0.5612).

이상의 결과로 재발된 간암에서 재치료로 반응을 보였던 경우는 23.7%였으며 재간절제술이나 간동맥 색전술 단독으로 시행한 경우가 재치료로 반응을 보인 경우가 많았고, 재발된 간암의 치료로는 재간절제술과 간동맥 색전술이 효과가 있어 다른 치료보다 진행정

지기간이 연장되었으며 재치료후 생존기간도 치료를 하지 않은 경우보다 길었다.

[영문]

In Korea, hepatocellular carcinoma is the second most common cancer and the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Recently detect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t early stage has been greatly enhanced by the advance of screening techniques.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improving survival in patients wish hepatocellular carcinoma is early diagnosis and curative hepatic resection. However, long term survival after curative resection

remains low because of high recurrence rat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ssess the prognosis and the efficacy of the various treament modalities on recurrent hepatocellular carcinoma after curative resection. The clinical records of 50 patients with recurrent hepaocellualr carcinoma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who underwent curative surgery in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between Jan.

1987 and Oct.1994.

1. Among 50 patients, 41 were male and 9 were female and their median age was 54∼ years(31-84). Thirty-eight patients were treated after recurrence of hepatocellular carcinoma(treated group), and 12 patients weregiven no therapy(control group).

2. The cummulative recurrent rate was 3.9% at 3 month, 8.3% at 6 month,14.1% at 12 month, 21.5% at 24 month, 23.4% at 36 month and 24.4% at60 month.

3. The treatment modalities were reoperation(2 patients), hepatic arterial embolization(17patients), systemic chemotherapy(10 patients), lymphokine activated killer cell(LAK) therapy(1 patient) and multimodality(8 patient).

4. The tumor size at recurrence was 3.5 cm in reoperation and hepatic arterial embolization, and multimodality group, 3.4 cm in chemotherapy group, 2.0 cm in LAK therapy group, and 3.4 cm in nontreated group(P=0.3587).

5. The response rate of treatment after recurrence was 23.7%(9 patients). The number of patients who responded to treatment after recurrence was 1(50.0%) after reoperation, 7(41.2%) after hepatic arterial embolization, 1(12.5%) after multimodality and no patient responded to chemtherapy and LAK therapy.

6. The median progression free survival of the patient wish reoperation and hepatic embolizatifm was 13.9 months, that of conservative treated group was 6.8 months and that of nontreated group was 4 months(p=0.0040). The reoperation and hepatic arterial embolization was the most effective treament modality in

prolongation of progression free suivival.

7. The survival after recurrence of hepatocellular carcinoma was 19.7 months in reoperation and hepatic embolization group, 11.4 months in multimodality group, 16.9 months in conservative treament group and 8.4 months in nontreated group(p=0.0998).

8. The overall survival of the patient was 35 months in reoperation and hepatic embolization group, 27.8 months in multimodality group, 25.9 months in conservative teatment group and 28.3 months in nontreated group(p=0.5612).

Reoperation and hepatic embolization for recurrent hepatocellualr carcinoma after curative resec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progression free survival, but follow up duration after recurrence and overall surviva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groups. This results proposed that reoperation and hepatic embolization for recurrent hepaeocellualr carcinoma after curative resection improved progression free survival.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3996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Lee, Chan Hee(이찬희)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08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