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1387

Cited 0 times in

관상동맥질환에서 운동부하심전도검사와 Thallium-201운동부하심근관류 영상술의 비교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study on stress electrocardiography and thallium-201 stress myocardial scintigraphic imaging in coronary artery disease 
Authors
 정남식 
Issue Date
1985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관상동맥질환을 앓는 대부분의 환자에 있어서 안정시에 심근혈류는 정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심근의 산소요구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즉 운동부하검사등을 통하여 관상동맥이 심근의 산소 요구량을 충족시킬 수 있을만큼 심근에 혈류를 적절히 증가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간접적으로 측정함으로서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하기전에 관상동맥질환의 유무 및 그의 심한 정도를 어느 정도 감별해낼 수 있게 되었다. 운동부하검사시에는 심전도상 ST절의 변화를 이용하여 심근허혈의 유무를 판정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thallium-201을 이용

하여 심전도보다 더 높은 예민도 및 특이도를 얻음으로서 진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thallium-201 운동부하심근관류영상술은 운동부하심전도검사에 비해 비경제적이지만, 심전도 소견만으로는 심근허혈을 정확히 판별하기 힘든 경우에도 그 유효성이 입증되어 이제 구미에서는 관상동맥질환의 비관혈적인 진단방법으로서 운동부하심전도검사와 함께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근래에 우리나라에서도 이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나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하여 관상동맥의 해부학적 병변을 확인한 사람

을 대상으로 이 두가지 검사방법의 진단적가치를 비교한 보고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1984년 10월부터 1985년 8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병원 내과에 입원하여 관상동맥조영술과 bicycle ergometer를 이용하여 운동부하심전도검사 및 thallium-201 운동부하심근관류영상술을 시행한 47례를 대상으로 이 두가지 검사의 예민도 특이도 그리고 양성 및 음성검사의 기대치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분포는 19세에서 74세까지였으며 평균연령은 정상관상동맥군이 49.5±8.8세이다. 남녀비는 2.6:1 로서 남자가 많았다.

2) 관상동맥질환의 범위는 단일혈관질환이 14례, 두혈관질환이 10례, 세혈관질환이 6례였으며, 관상동맥별 병소는 좌전하행지가 33곳, 우관상동맥이 16곳, 회선지가 14곳이었다.

3) 예민도는 운동부하심전도 검사가 76.7%, thallium-201 운동부하심근관류영상술이 86.7%로서 후자가 전자보다 10% 높은 경향을 보였다.

4) 특이도는 두 검사가 각각 70.6%로서 모두 같은 경향을 보였다.

5) 관상동맥질환의 범위에 따른 운동부하심전도검사와 thallium-201 운동부하심근관류영상술의 예민도는 단일 혈관 질환에서 64.3%와 78.6%, 두혈관질환에서 80%와 90%, 그리고 세혈관질환에서 각각 100%로서 두검사가 관상동맥질환의 범위가 심할수록 모두 같이 예민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단일혈관질환과 두혈관질환에서는 thallium-201 운동부하심근관류영상술이 운동부하심전도검사에 비해 예민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6) 기대치는 양성검사시에 운동부하심전도검사가 82.1%, thallium-201 운동부하심근관류영상술이 83.9%로서 두검사가 비슷하였으나, 음성검사시에는 전자가 63.2%, 후자가 75%로서 thallium-201운동부하심근관류영상술이 운동부하심전도검사 보다 약 12%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관상동맥질환의 진단에 있어서 thallium-201 운동부하심근관류조영술은 운동부하심전도검사에 비해 비교적 높은 예민도를 보이지만 정상관상동맥을 지닌 사람에서도 심근허혈에 합당한 소견을 보일 수 있으므로 이의 판정에 유의를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of thallium-201 stress myocardial scintigraphic imaging and stress electrocardiography, sensitity, specificity and predictive value of tahllium-201 stress myocardial scintigraphic imaging were compared to simultaneously recorded 2 lead electrocardiography in 17 normal subjects and 30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proven by coronary arteriograph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man age was 49.5±10.7 years (mean±SD) in subjects with normal coronary arteries and 53.1±8.8 years in patients with stenotic coronary arteries.

2. Fourteen patients had one-vessel disease, 10 two-vessel disease and 6 three-vessel disease.

3. Sensitivity of thallium-201 stress myocardial scintigraphic imaging was higher than that of stress electrocardiography (86.7% vs 76.7%).

4. Specificity of both tests was same (70.6% vs 70.6%).

5. Sensitivity of thallium-201 stress myocardial scintigraphic imaging and stress electrocardigraphy in relation to the extent of coronary artery disease showed 78.6% vs 64.3% in one-vessel disease, 90% vs 80% in two-vessel disease and 100% vs 100% in three-vessel disease.

6. Predictive value of thallium-201 stress myocardial scintigraphic imaging and stress electrocardiography revealed 83.9% vs 82% in positive test and 75% vs 63.2% in negative test.

In conclusion, even though thallium-201 stress myocardial scintigraphic imaging was superior to stress electrocardiography in diagnosing coronary artery disease, scintigraphic defects were noted in 5 subjects with normal coronary arteries which could mislead to erroneous diagnosis of coronary artery disease. This poin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interpretation of thallium-201 stress myocardial scintigraphic imaging.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336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Chung, Nam Sik(정남식)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90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