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787

Cited 0 times in

초임부의 스트레스감소에 미치는 지지강화교육의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Other Titles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reinforcement education on stress relief of primigravidas 
Authors
 안황란 
Issue Date
1985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임신은 여성에게 여러가지 정신적, 신체적, 사회경제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경험이다.

대부분의 경우 임신한 여성은 심리적으로 불안하고 걱정과 염려 두려움과 공포, 신체적인 불편함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한 스트레스는 초임부의 경우 더욱 크다고 보아지며 배우자에게도 삶의 주기(Life Cycle)에 있어 위기를 경험하게 된다. 초임부의 스트레스가 오래 지속될때 모체와 태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므로 가족의 지지행위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연구가 1960년대 이후로 계속되어 오고 있다. 그리하여 서구사회에서는 이미 1960년대 이후로 배우자나 임산부를 대상으로 산전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 임산부만을 산전교육아 참여시켜 왔다. 그러나 초임부는 누구보다도 배우자의 정신적, 육체적 지지를 원하고 있으므로 초임부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배우자로 하여금 초임부가 원하는 정신적, 육체적 지지행위를 하도록 유도하는 지지강화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자는 초임부의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배우자의 지지행위에 관심을 가지고 초임부의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배우자 대상의 지지강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목적은 초임부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배우자의 지지행위와 초임부의 스트레스에 대한 지지강화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은 1984년4월1일부터 7월30일까지 4개월간 본 연구자의 연구편의상 J시내의 3개 산부인과 병원을 선정하여 산전진찰차 내원하거나 등록된 초임부 14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질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초임부의 스트레스와 변수간의 관계 및 영향의 강도를 확인하기 위해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을 산출하였고 초임부 스트레스의 예측인자 확인을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 단계적 중회귀 분석을 하였다. 지지강화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선행변수의 유사성 검정을 x**2 검정, t검정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가설검정으로서 배우자 대상의 지지강화교육 전후의 초임부의 스트레스에 대한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Paired-t 검정과 ANCOVA, Pearson Correlation을 이용했으며 초임부의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초임부티 성격과 자연유산 횟수를 통제하고 난 이후의 지지행위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Partial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우자 대상의 지지강화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 전후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초임부의 스트레스와 배우자의 지지행위에 대한 측정치를 비교 분석한 가설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 1 가설 : "초임부 배우자의 지지행위정도는 지지강화교육을 받은 배우자군이 교육을 받지 않은 배우자군보다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후 배우자의 지지행위정도는 t=12.85, d.f=137.86, p<.001).

제 2 가설 : "초임부의 스트레스 정도는 배우자가 지지강화교육을 받은 초임부 군이 받지 않은 초임부 군보다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9.37, d.f=138, p<.001).

제 3 가설 : "배우자의 지지행위정도가 높을수록 초임부의 스트레스 정도는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r=-.5795, p<.001).

2. 초임부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 제요인

초임부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초임부의 18가지 일반적 특성중 자연유산의 횟수(r=.1939, p<.05), 배우자의 지지행위 (r=-.5795, p<.001), 결혼만족도(F=4.710, d.f=137, p<.05), 성격 (r=.2194, p<.01) 등 4개 요인으로 규명되었다.

이상의 3가지 가설의 검정결과는 초임부 배우자 대상의 지지강화교육이 배우자의 초임부에 대한 지지행위를 증가시키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결론적으로 자연유산의 횟수, 결혼만족도, 성격 등이 초임부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규명되었으며 초임부 배우자의 지지강화교육은 초임부에 대한 배우자의 지지행위를 증가시키고 초임부의 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영문]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reinforcement education on stress relief of primigravidas. The purpose was to reinforoe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and relieve primigravidas' stres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Primigravidas' stress and the effect of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reinforcement education on stress relies of primigravidas.

The subjects, consisting of 140 primigravidas who registered or visited in three obstetrics and gynecology clinics in J city, were divided into at rangdom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July, 1984 through interviews during hospital visits, and by questionaires.

The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reinforcement education and the measurement tools were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 from the literature and during pilot study : the instruments to measure primigravidas' stress and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were test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by Chestnuts' Stress Management instrument. T-test, ANOVA , W**2 , and Pearson Correlation were used in analyzing the data to confirm the intensity of the influence and the relation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rimigravidas' stress.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confirm the predictors of primigravidas' stress. Independent variables were compared by means of t-test and x**2 -test to confirm significant discrepancy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test, paired t-test, pearson correlation were used in analyzing the data to confirm the effect of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reinforcement education on stress relief of primigravida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Results from analyzing the effect of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reinforcement education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personality, marital Satisfaction, natural abortion variables in influenced at primigravidas' stress.

A hypothetical test by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asurement of primigravidas' stress and husbands' support behavior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o confirm the effect of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reinforecement education resulted in the following :

The first hypothesis that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reinforcement education will increase husbands' support behavior to relieve primigravidas' stress was supported.

The second hypothesis that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reinforcement education will relieve primigravidas' stress was supported.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reinforcement education relieved primigravidas' stress ,and the hypotheses were supported.

The third hypothesis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the lower the primigravidas' stress was supported.

It was concluded that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reinforecemen education increase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and relieves Primigravidas' stres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602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12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