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9681

Cited 0 times in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Other Titles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Authors
 박지원 
Issue Date
1985
Description
간호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사회적 지지개념은 스트레스의 효과를 완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또는 개인의 심리적 적응을 돕고 좌절을 극복케 하고 문제해결의 도전을 받아들이는 능력을 강화하는 측면에 서, 또는 정신과적 증상을 예측할 수 있고 정신질환에 대한 노출에서 보호하는 방패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건강분야에서의 중요성이 인정되고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어느

분야에서도 사회적 지지에 대한 개념화 및 조작화의 가치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그로 인해 사회적 지지에 관계된 연구결과를 축적하고 통합하며 비교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에 있다. 이에 따라 사회적 지지를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적합하게 측정하며 연구결과에 대한 일치성을 가져오기 위해선 사회적 지지를 다차원적으로 개념화하고 또한 이를 측정하기에 적합한 신뢰롭고 타당한 새로운 척도를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명백해졌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사회적 지지를 다차원적으로 개념화하기 위한 개념적 기틀을 제시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척도를 개발하여 개발된 척도를 여러집단에 적용해 봄으로써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고자 시도되었다.

척도 개발과정을 요약하면, 우선 사회적 지지의 개념화 및 조작화 과정을 통해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데 포함될 개념의 차원으로 사회적 지지망, 지지형태, 지지욕구 개념을 분류하였고 척도의 구성영역으로는 상황중심의 지지척도와 간접적으로 지각한 지지척도,

직접적으로 지각한 지지척도 등 3개 영역을 분류하였으며 문헌고찰과 일반인의 사회적 지지개념에 대한 의식구조의 조사결과를 기반으로 각 영역에 관계된 문항을 작성하였고, 예비문항으로 작성된 척도를 이용한 사전조사를 거쳐 수정된 척도를 다시 관계전문가를 통해 내용 타당도를 검정케 함으로써 최종척도에 포함될 문항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상황중심의 지지척도에는 지지제공자, 지지내용, 지지만족도, 접촉빈도, 알고 지낸 기간, 동질성, 밀도의 문항이 포함되었으며 지지제공자로는 아버지, 어머니, 배우자, 시 (처가)부모, 자녀, 형제, 친척, 친구, 동료, 선배, 스승, 상관, 전문가의 13유형을 제시하여 이중 실제로 지지를 제공해 준 사람이 있으면 모두 표시하게 한 후 그들에 대해선 지지내용에서 밀도에 이르는 그이하의 문항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간접적으로 지각한 지지척도에는 25문항이 포함되었으며 이들 문항의 내용은 모두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평가적 지지행위에 관한 것이었고 각 문항에 대해선 "모두에서 그렇게 느낀다"에서 "모두에서 그렇게 느끼지 않는다"까지 5점 평정척도로 측정할 수 있게 작성하였다. 직접적으로 지각한 지지척도에는 총 15문항이 포함되었으며 이들 문항의 내용은 사회관계에서 느끼는 유대감, 자신감, 신뢰감에 관한 것이었고 각 문항에 대해선 "매우 그렇다"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까지 5점 평정적도로 측정할 수 있게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회적 지지척도 이외에도 기존 측정도구로서 Pines가 고안하고 "홍"이 수정한 사회적 지지측정도구, 신체만족도 측정도구, 다차원적 통제위척도, 가족강도 측정도구, 우울 측정도구, 스트레스요인 측정도구가 사용되었다.

조사대상은 가능한 여러 집단에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고자 한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유의표집에 의해 여학생 117명, 기숙사 여학생 83명, 남학생 86명, 간호원 166명, 국내직장인 123명, 해외파견직장인 46명, 혈액투석환자 51명, 재활원 환아의 부모 39명 등 8개 집단에서 총 711명을 선정하였으며 자료는 1985년 3월 4일에서 3월 22일에 걸쳐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해 α계수와 Pearson 적율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타당도 검정을 위해선 Pearson 적율상관계수와 중다회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변인별 사회적 지지점수간의 차이는 ANOVA와 t- test를 적용하여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뢰도 검정을 위한 연구에선 조사-재조사법을 적용했을 경우 척도의 전체영역에 대한 재조사 계수는 .5030(p<.001 )이었으며 내적 일관성에 의한 α계수는 사회적 지지척도에 포함된 총 문항에 대해 .93933으로 나타났다.

2.경험적 타당도를 집정하기 위해 본 연구의 사회적 지지척도와 Pines (홍)의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와의 상관성을 검정했을때 Pines (홍)의 도구와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와는 간접적으로 지각한 지지영역에서만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며 Pines (홍)의 도구에 비해

본 연구자가 개발한 척도가 더 포괄적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3. 경험적 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해 통제위 성격, 족강도, 우울의 개념을 선택하여 사회적 지지개념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여 사회적 지지의 이용 가능성은 내적성향 통제위에 의해 영향받을 수 있으며, 사회적 지지는 가족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요인이며 우울에 대해 직접효과와 완충효과를 모두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구인타당도 검정을 위해 요인분석을 시도했을 때, 사회적 지지척도는 구성영역에 따라 3요인으로 분리되어 척도개발을 위해 제시한 개념적 기틀과 일치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multitrait-multimethod approach를 시도했을때 구인타당도를 증거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2가지 전제를 모두 만족시켰다.

5. 대상자의 변인별 사회적 지지정도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연령, 성별, 종교유무, 결혼상황, 사회경제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연령의 경우 41세에서 50세 미만의 집단이, 성별에 있어선 남자가, 종교유무에 있어선 종교가 있는 집단이, 결혼상황에선 기혼집단이, 사회경제상태에선 사회경제상태지수가 클수록 더 높은 사회적 지지점수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회적 지지척도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를 사회적 지지망, 지지형태, 지지욕구의 측면에서 다차원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포괄적인 척도로 평가되었다.



[영문]

Recently the concept of social support has emerged as a major psychosocial variable in health related research and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in nursing science. A central emerging theme is that person's social suppor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maintenance of health and in the response to stressful life events. But social support has been described in a variety of ways and has been measured differently from study to study. So there is a lack of conceptual agreement on what is social support. Some studies associate support with the availability of a spouse or a confidant, close ties with friends, and the nearness of relatives. While other studies elaborate formulations about social network proper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o social support and to test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Prior to item generation, a basic decision was made to conceptualize social support as including three dimensions: the social support network, the type of social support and the need for support. Because a broad conceptualization of support was adopted, items were selected for the scale that represented the

diversity of supportive functions and helping behaviors.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6 subjects to determine the types of helping behaviors they had received in response to important problems they had experienced.

In addition to above helping behaviors, empirical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s related to social support that could provide ideas for the construction of items.

All of the items selected from the literature were rewritten. As a result of this process, a scale of social support was developed.

The scale of social support is a three-part measure of the multidimensional concept of social support. Part one includes four subscales in life situations in which one night need assistance. Each subscale provides actual information about

the person's social support network properties; the supportive resources, the type of support, the satisfaction with the support available, the duration of the relationship, the frequency of contact, homogeneity, and density. Part two contains a 25 item Likert scale to measure perceived support through others. The content of the 25 items includes four type of social support behavior;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Part three contains a 15 item Likert scale to measure perceived support through oneself. The content of the 15 items includes social ties, confidence in social relations, and sense of truth in others.

Eight groups of subjects were used for study. The eight groups included female students(117), male students(80), boarding female students(83), nurses(166), office workers in Korea(123), office workers in the USA(46), parents with children needing rehabilitation therapy(39), and hemodialysis patients(51).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4 to 22, 1985.

Cronbach's alpha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used in testing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and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in testing the validity of the scale, and ANOVA and T-teat were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may be summarized as fellows.

1. It was found that the coefficient of retest was .5030 (p<.001) when the test-retest method was used as a test of reliability and that the alpha coefficient relating to internal consistency was .93933 over all the items within the scale of

social support.

2. In the empirical validity test, it was founded that the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tool developed by Pines only in the scale of indirectly perceived support. In other empirical validity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locus of control, family strength and

depression concepts were analyzed. The result from this test were similar to that of a previous study. And it was found that the availability of social support could be influenced by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that social support is a major

factor affecting family strength and has a buffer effect as well as a main effect on depression.

3. When factor analysis was applied to test construct validity, the scale of social support produced three factors that coincided with the conceptual structure posed for the scale development. Moreover, when the multitrait-multimethod approach was applied, the scale of social support was found to fit well to the two premises necessary for the construct validity process.

4. The results from the test for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showed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age, sex, religion, marital status and social economic pos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easurement of the social support system may be a useful tool. The development of measures of the social support system, which are multidimensional will contribute to the knowledge of social support as an intervening variable in stressful life stuation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556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91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