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Verification of Recombinant Mycobacterium smegmatis in bladder cancer mice model and discovery of diagnostic markers through the application of bladder cancer clinical data

Other Titles
 방광암 마우스 모델에 재조합 M. smegmatis의 검증 및 방광암 임상 데이터 적용을 통한 진단 표지자 발굴 
Authors
 송동욱 
College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epartment
 Others (기타) 
Degree
석사
Issue Date
2024-08
Abstract
BCG (Bacillus Calmette–Guérin) therapy, a treatment for bladder tumor, is known as the most effective and only treatment that can inhibit the progression from high-risk NMIBC to MIBC after TURBT. However, approximately 30-45% of NMIBC patients show no response, and about 20% experience side effects. Moreover, BCG production faces a global supply shortage due to the slow growth rate of the tuberculosis bacterium and strict manufacturing processes.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e potential of the rSmeg-MIF-IL7 vaccine as an alternative to BCG for anti-tumor immunotherapy. Here, we first created a mouse bladder cancer model and administered the rSmeg-MIF-IL7 vaccine, confirming its anti-tumor effects. Additionally, bioinformatics analysis revealed immune infiltration of CD8+ and CD4+ memory T cells within tumor samples from the rSmeg-MIF-IL7 group. To further investigate the clinical therapeutic potential, we conducted an association analysis of our gene expression data with the TCGA dataset. As a result, we identified 8 genes, including CCL15 and SIGLEC6, as diagnostic markers capable of distinguishing patient groups suitable for rSmeg-MIF-IL7 vaccine therapy based on gene expression related to survival and malignancy. In conclusion, we demonstrated the anti-tumor effects of rSmeg-MIF-IL7 in a mouse bladder cancer model and confirmed its potential for clinical application.

방광암의 치료제인 BCG(Bacillus Calmette–Guérin)는 고위험 NMIBC의 TURBT 이후 MIBC 로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이고 유일한 치료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약 30-45%의 NMIBC 환자가 무반응을, 약 20%의 환자가 부작용을 경험한다. 또한, BCG 생산은 결핵균의 느린 성장 속도와 엄격한 제조과정으로 현재 전세계적인 공급 부족 문제를 겪고 있다. 이전 연구에서 BCG 의 대안으로 제시된 rSmeg-MIF-IL7 백신을 항 종양 면역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우리는 마우스 방광암 모델을 만들어 rSmeg-MIF-IL7 백신을 투여를 첫 시도하였고 결과적으로 항 종양 효과와 bioinformatics 분석에서 rSmeg-hMIF-hIL7 그룹에서의 종양 샘플 내에 CD8+, CD4+ memory T cells 의 면역 침윤을 확인하였다. 추가로 임상적으로 치료제로써 가능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우리의 유전자 발현 분석과 TCGA 데이터 셋의 연관성 분석을 진행했고 유전자 발현에 따른 생존 여부와 악성도를 판별한 결과 rSmeg-MIF-IL7 백신 치료에 적합한 환자 그룹을 판별할 수 있는 diagnostic markers 인 CCL15, SIGLEC6 등 8 가지의 유전자들을 발굴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rSmeg-MIF-IL7 의 마우스 방광암 모델에서의 항종양 효과를 보여주었고 임상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Files in This Item:
T01660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20515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