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Organizational Resilience Model and Evaluation Tool for Infectious Disease Dedicated Healthcare Institutions: A Mixed-Methods Study
Authors
김민지
College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Department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Degree
박사
Issue Date
2024-02
Abstract
조직회복탄력성(organizational resilience)은 도전에 직면하여 목표를 계속 수행하고 달성할 수 있는 시스템의 능력을 의미한다. 코로나19는 기존의 감염병 재난 양상보다 높은 불확실성과 장기 지속성으로 인하여 의료기관의 부담을 가중시키며 조직회복탄력성에 관심을 촉발시켰다. 이에, 본 연구는 감염병 전담 의료기관의 조직회복탄력성을 설명하는 모델을 개발하고 감염병 전담 의료기관의 조직회복탄력성을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코로나19 전담 의료기관의 모든 영역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한 간호관리자의 관점에서 조직회복탄력성을 조명함으로써 관심 현상을 가장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고 향후 유사 감염병 재난 발생 시 감염병 전담 의료기관이 조직회복탄력성을 갖추고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혼합연구방법 중 설명적 순차설계(explanatory sequential mixed method design)를 적용하였다. 양적 연구에 코로나19 전담병원 운영 시 코로나19 전담 병상 혹은 코로나19 치료 및 관리, 운영에 관여하는 부서의 간호관리자 86명이 참여하였다. The Systemic Potentials Management(SPM)를 번역, 수정, 개발한 감염병 재난 조직회복탄력성 역량 평가 한국어판(K-SPM-ID2) 도구를 이용하여 코로나19 전담 병원의 조직회복탄력성을 평가되었다.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개발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기관의 설립유형, 의료법상 종별, 직위별 각기 다른 5명의 간호관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개별면담을 시행하였다. 양적 연구 결과는 SPSS/SIN 25.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평균분석하였고 질적 연구 결과는 양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매트릭스를 만들어 내용분석을 하였다. 양적 연구 결과 감염병 전담 의료기관의 조직회복탄력성은 수용가능한 수준이었다. 가장 점수가 높게 나온 역량은 대응 역량, 가장 점수가 낮게 나온 역량은 모니터링 역량이었다. 연구대상자의 특성이나 연구대상자과 관리한 부서 특성에 따른 조직회복탄력성에는 관련성이나 차이가 없었고 조직의 특성에 따른 조직회복탄력성은 차이가 있었다.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종합병원보다 조직회복탄력성이 유의하게 높았고 의료기관의 병상 수, 중증 병상 전담 부서 수, 간호사 외 인력의 수와 조직회복탄력성 사이에 유의미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음, 질적연구 결과 간호관리자가 생각하는 감염병 전담 의료기관의 변화예측 역량, 모니터링 역량, 대응 역량, 조직학습 역량, 사전지식기반, 가능요인, 재난 맥락, 조직적 맥락은 무엇인가, 총 8개의 질문 범주로 정리되었다. 이후, 양적 연구 결과로 나온 조직회복탄력성의 4가지 조직 역량의 수준과 질적 연구로부터 도출된 8개의 질문 범주를 연결하여 통합하였다. 통합한 결과는 4가지 조직 역량(변화예측 역량, 모니터링 역량, 대응 역량, 조직학습 역량)과 사전지식기반, 자원 가용성, 권한과 책임을 설명하였고, 재난 맥락과 조직적 맥락을 추가 설명하여 총 9개 개념으로 통합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전담 의료기관의 조직회복탄력성 모델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감염병 전담 의료기관의 조직회복탄력성을 모델을 제시하는 최초의 시도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감염병 전담 의료기관의 조직회복탄력성은 재난 맥락과 조직적 맥락을 함께 고려하며 4가지 조직 역량을 발휘하는 것이며, 이 때 자원 가용성과 권한과 책임이 주요하게 관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과학적인 절차로 개발된 감염병 재난 조직회복탄력성 역량 평가 한국어판(K-SPM-ID2) 도구는 주기적 사용을 통해 조직회복탄력성의 강점과 약점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감염병 재난과 같은 위협에도 불구하고 의료기관의 목표 달성을 위한 모니터링 및 관리를 위한 도구로서 유용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