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Online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Nurses’ Competency in the Climate Change Response
Authors
박민경
College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Department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Degree
박사
Issue Date
2024-02
Abstract
본 연구는 IMB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모델을 기반으로 간호사의 기후변화 대응역량 향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간호사의 기후변화 대응역량 향상 교육프로그램 개발은 MRC (Medical Research Council) 프로그램 개발 틀에 따라 문헌고찰, 요구도 분석, 전문가 타당도 평가, 예비 연구 단계를 통해 개발되었다. 프로그램은 4주간 6회기의 온라인 교육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으며, 4회기는 동영상 개별학습으로, 2회기는 실시간 온라인 그룹학습으로 진행되었다. IMB 모델의 각 구성요소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하여 Keller (1987)의 ARCS 동기이론을 활용하였다.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평가를 위해 비 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설계의 유사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였으며, 최종 60명(중재군 29명, 대조군 31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 수집은 2023년 9월부터 11월까지 중재 직전, 중재 직후, 중재 종료 4주 후 세 차례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χ2 test,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통계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중재 후 중재군과 대조군의 기후변화-건강 간호실천 동기(β=0.838, p=.001), 기후변화-건강 간호실천 자기효능감(β=1.902, p<.001), 기후변화-건강 간호실천(β=15.410, p<.001)은 유의한 차이를 보여 간호사의 기후변화 대응역량 향상 교육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가 확인되었다. 특히 기후변화-건강 간호실천에 대한 효과크기가 가장 높게 산출되었으며, 항목별로 살펴보았을 때 간호 업무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하고 환자의 기후변화 대응을 지원하는 전문가로서의 실천을 강화하는 데 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은 현재 필요성은 강조되나 적극적으로 제공되지 않고 있는 간호사의 기후변화 대응 주제를 다루었으며, 기후변화 적응과 완화를 위한 간호사의 역할과 실천 항목을 종합적으로 제안하였다.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이 간호사의 기후변화 대응 역량 강화에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