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간호사가 인식하는 관리자의 진성리더십, 리더신뢰,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 조직침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among Authentic Leadership of Nurse Managers, Leader Tru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ilence 
Authors
 노현주 
College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Department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Degree
석사
Issue Date
2024-02
Abstract
본 연구는 관리자의 진성리더십과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간호사의 조직침묵의 매개효과, 그리고 리더신뢰와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간호사의 조직침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연구의 측정도구로는 Avolio 등(2007)이 개발한 Authentic Leadership Questionnaire(ALQ)를 한미자(2013)가 번역하고 송보라와 서문경애(2014)가 수정·보완한 도구, Cook과 Wall(1980)이 개발한 대인 신뢰 도구를 김선미 등(2021)이 번안하고 요인분석하여 축소한 도구, Van Dyne 등(2003)이 개발한 조직침묵 도구를 강제상과 고대유(2014)가 검증한 도구, Podsakoff와 MacKenzie(1989)가 개발하고 Niehoff와 Moorman(1993)이 사용한 조직시민행동 측정도구를 최소연(2005)이 검증하고 장정관(2011)과 송보라와 서문경애(2014)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 후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상급종합병원 3곳과 종합병원 2곳에서 근무하는 일반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편의표집 및 눈덩이표집 방법을 통하여 2023년 5월 11일부터 2023년 7월 13일까지 연구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총 66문항의 자가 보고식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최종적으로 223명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6.0 프로그램에서 기술통계,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PROCESS macro model 4를 적용하여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관리자의 진성리더십은 간호사의 조직침묵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리더신뢰는 간호사의 조직침묵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간호사의 조직침묵은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2. 관리자의 진성리더십이 증가할수록 간호사의 조직침묵은 감소하고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사의 조직침묵이 감소할수록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 간호사의 조직침묵은 관리자의 진성리더십과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리더신뢰가 높아질수록 간호사의 조직침묵은 낮아지고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간호사의 조직침묵이 낮아질수록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간호사의 조직침묵은 리더신뢰와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간호조직에서 관리자의 진성리더십, 리더신뢰, 간호사의 조직침묵은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과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관리자의 진성리더십과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간호사의 조직침묵이 부분 매개하며, 리더신뢰와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간호사의 조직침묵이 부분 매개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조직 차원에서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il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rse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s well as between the latter and leader trust. Authentic leadership and leader trust were measured with the Authentic Leadership Questionnaire and the interpersonal trust tool, respectively. Organizational sile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re measured using instruments developed and explored in previous studies. Nurses were eligible to participate if they were working at three tertiary hospitals and two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do. They were recruited from May 11 to July 13, 2023, through convenience and snowball sampling methods. A self-reported online questionnaire was used, and the final sample includes 223 nur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in the IBM SPSS Statistics 26.0 program, and th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by applying PROCESS macro model 4.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ain study variables we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Authentic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silence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Leader trus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silence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rganizational silence was nega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2. It was confirmed that as the authentic leadership increases, so does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ile their organizational silence decreases. As the organizational silence decreases, thei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creases. 3. Organizational silence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4. It was confirmed that an increase in leader trust determines an increase in nurs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a decrease in organizational silence. As the organizational silence decreases, thei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creases. 5. The organizational silence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trust and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authentic leadership of nurse managers, leader trust, and organizational silence influenced nurs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hospitals. In addition, organizational silence partially mediates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at organizational silence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trust and nurs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to develop strategies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nurses in Korean healthcare contexts.
Files in This Item:
T01617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20474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