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 139

Cited 0 times in

Stability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otal arch distalization using temporary anchorage devices(TADs) in adults

Other Titles
 성인에서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상, 하악 전치열 원심이동의 안정성 
Authors
 송병재 
College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Department
 Others (기타) 
Degree
박사
Issue Date
2023-02
Abstract
Distalization with temporary anchorage devices (TADs) is commonly used to resolve crowding and to correct molar relationships in non-extraction c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fy the treatment effects and post-treatment stability of total arch distalization with TADs in adults and thereby elucidate the clinical effect of this treatment modal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9 adult orthodontic patients treated with total arch distalization with TADs. Lateral cephalograms and dental casts were taken at pretreatment (T0), post treatment (T1), and the retention period (T2, 29.3 ± 12.8 months) to evaluate the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 of teeth, changes of arch width and molar rotation.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axillary incisor (2.68 ± 2.19 mm), first molar (2.46 ± 1.97 mm) and second molar (2.60 ± 2.52 mm) were significantly distalized after treatment (p < 0.001). Intrusion of the maxillary first (0.92 ± 1.16mm) and second molars (0.89 ± 1.17mm) was also observed after the treatment (p < 0.01), which presumably caused a decrease in the distance from ANS to Me. The mandibular first molar (2.57 ± 2.13 mm, p < 0.01) and second molar (2.24 ± 2.35 mm, p < 0.05) were significantly distalized after treatment. 2. During the retention period, significant mesial movement of the maxillary first molar (0.52 ± 0.99 mm) and second molar (0.65 ± 0.92 mm) was observed (p < 0.05); however, intrusion was kept relatively stable. Mesial movement of the mandibular arch was also observed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uring the retention period. 3. There were no changes in skeletal measurements after distalization except the decrease in distance from ANS to Me and PTV to B. 4. The upper and lower lip were retracted by 0.89 ± 1.19 mm (p < 0.001) and 1.06 ± 1.91 mm (p < 0.05),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pse during the retention period. 5. The maxillary intercanine and intermolar width increased by 1.52 ± 1.63 mm (p < 0.001) and 0.93 ± 1.21 mm (p < 0.01), respectively, on average, after the treatment. The arch width was relatively stable without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retention period. Distal in rotation of the molars was observed after the treatment,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retention period. 6. Post-treatment changes of distalized teeth were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distalization during treatment but not with the initial skeletal pattern and retention period. It was concluded that even though there was a little relapse in the anteroposterior position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during retention, there was no obvious relapse in facial profile. Therefore, the total arch distalization can be used in patients with a moderate amount of arch length discrepancy effectively with stable retention.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치열의 원심 이동은 비발치 증례에서 총생을 해소하고 구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치료 방법이다. 그러나 전체 치열 원심 이동 치료 후의 안정성을 알아본 연구가 드물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를 계획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과 진단모형을 이용하여 전체 치열의 원심 이동시 나타나는 치아 이동 양상과 치료 결과의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하여 상악과 하악 치열의 원심 이동을 시행한 성인 환자 39 명을 대상으로 치료 전, 치료 후, 치료 종료 후 유지기간 (평균 29.3 ± 12.8 개월)에서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과 진단 모형을 채득하여, 전치와 구치의 수직, 수평적 움직임과 악궁 폭경의 변화 및 대구치의 회전 양상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원심 이동시 상악 중절치(2.68 ± 2.19 mm)와 제1, 2대구치(각각 2.46 ± 1.97 mm, 2.60 ± 2.52 mm)에서 유의할 만한 원심 이동이관찰되었고 (p < 0.001), 상악 제1, 2대구치의 유의할 만한 함입(각각 0.92 ± 1.16 mm, 0.89 ± 1.17 mm) (p < 0.01)이 관찰되었다. 치료기간 중 하악 제1, 2대구치(각각 2.57 ± 2.13 mm, p < 0.01; 2.24 ± 2.35 mm, p < 0.05)에서도 유의할 만한 원심 이동이 관찰되었지만 수직적 변화는 유의차 없었다. 2. 치료 후 유지기간 동안 상악 제1, 2대구치(각각 0.52 ± 0.99 mm, 0.65 ± 0.92 mm)에서 유의할 만한 근심 이동이 관찰되었고 (p < 0.05), 수직적으로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하악 치열 또한 유지기간 동안 근심 이동이 관찰되었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3. 치료기간, 유지기간을 통하여 하안면고경(ANS-Me)과 수평기준선에 대한 B point의 후방 이동(PTV-B)을 제외하고는 골격적인 변화가 없었다. 4. 상, 하순이 각각 평균 0.89 ± 1.19 mm (p < 0.001), 1.06 ± 1.91 mm (p < 0.05) 후방이동하여 측모의 심미성이 향상되었으며, 유지기간동안 그 결과가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5. 치료기간 중 상악 견치 및 제1 대구치폭경이 각각 1.52 ± 1.63 mm (p <0.001), 0.93 ± 1.21 mm (p <0.01)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구치부의 distal-in rotation이 관찰되었다. 유지기간 중 악궁 폭경 및 회전 경향은 유의한 변화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6. 유지기간 중 나타나는 재발은 치료시 치열의 후방이동양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지만, 초기 골격구조나 유지기간과는 관계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성인에서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하여 전치열을 원심 이동시킴으로써 악궁내의 총생을 해소하고, 상, 하순의 후방 이동을 통하여 측모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고, 유지기간동안 그 결과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상악보다 하악에서 더 안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임상적 기준을 만족하는 환자에서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전치열 원심이동은 효율적, 효과적이며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les in This Item:
T01590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9712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