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xed retainer failure rate : Related to skeletal pattern and incisor teeth relationship
Authors
권수진
College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Department
Others (기타)
Degree
석사
Issue Date
2023-02
Abstract
A retention phase after orthodontic treatment is crucial for long-term stability. The fixed lingual retainer is a typical appliance used in the retention phase, and it has been used routinely because it has the great advantage of not being affected by patient cooperation. The most recently developed fixed lingual retainer is CAD/CAM fabricated retainer, the 5th generation fixed lingual retainer. However, related research about CAD/CAM fabricated retainer is insufficient, unlike a multi-stranded retainer which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studied before. Because the multi-stranded retainer shows a relatively 20 high failure rate ranging from 5 % to 58 %, sever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related to retainer fallen 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ailure rate of CAD/CAM fabricated fixed retainers and the difference in failure rate depending on the individual factors, such as skeletal pattern or incisor teeth relationship. For this retrospective study, 132 patients who met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included among the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of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January 2019 to June 2021.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horizontal skeletal groups (skeletal I, II, and III), and failure rates were compared. Similarly,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 vertical skeletal pattern (hyperdivergent, hypodivergent, and normodivergent) to compare the failure rate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failure rate of the CAD/CAM retainer was 29.46 %, with 38 in the failed group and 94 patients in retained group among the total 132 patients. 2. The relationship between vertical/horizontal skeletal patterns and the failure rat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rizontal skeletal pattern: P=0.470, vertical skeletal pattern: P=0.937). 3. When compa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bite/overjet and failure rat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ailure rate 21 and both overbite before treatment (T1) and overjet after treatment (T2). 4. Failure rate increased by 1.35 times when overbite before treatment (T1) increased by 1 mm, and it increased by 1.68 times when overjet after treatment (T2) increased by 1 mm.
교정 치료 후에 보정 및 유지단계를 갖는 것은 장기적인 안정성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고정식 설측 유지장치는 보정 및 유지단계에서 쓰이며, 환자 협조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지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여러 종류의 설측 유지장치 중에서 구강 스캐너와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가장 최근에 개발된 것은 5세대 설측 고정식 유지장치로 CAD/CAM으로 제작된 유지장치이며, 기존에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면서 많이 연구된 것은 다중 가닥 철사로 만들어진 유지장치이다. 다중 가닥 철사로 제작된 이 고정식 설측 유지장치는5 %-58 %에 이르는 다소 높은 탈락률을 보이고 있으며, 탈락률을 줄이기 위해 탈락과 관련된 변수를 조사하기 위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고정성 유지장치 중 하나인 CAD/CAM 제작 고정식 유지장치의 탈락률이 기존에 사용되던 다중 가닥 철사 고정식 설측 유지장치와 차이가 있는지를 먼저 확인하고, 골격적 패턴과, 수직피개, 수평피개라는 환자 개별적인 요소에 따라 탈락률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2019년 1월부터 2021년 6월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 중 선정기준과 제외기준을 만족하는 전체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측모두부방사선 사진과 진료의무기록 자료를 이용해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를 골격적 Ⅰ급, Ⅱ급, Ⅲ급의 세 수평적 골격 그룹별로 나누어 탈락률을 비교하였고, 단안모, 정상안모, 장안모의 세 수직적 골격 그룹별로 나누어 탈락률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AD/CAM 제작 유지장치의 탈락률은 총 132명의 환자 중에서 failed group에 해당하는 38명과 retained group에 해당하는 94명으로 전체 탈락률은 29.46 %로 나타났다. 2.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한 수직적, 수평적 골격패턴과 탈락률의 관계는 통계학적인 연관성(수평적 골격 패턴 분류: P=0.470, 수직적 골격 패턴 분류: P=0.937)이 확인되지 않았다. 3. Failed group과 Retained group을 나누어 수평피개와 수직피개를 비교한 결과, 치료 전(T1) 수직피개와 탈락률, 치료 후(T2) 수평피개와 탈락률 사이의 통계적 유의미한 관계(P=0.004)가 있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4.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따르면, 치료 전(T1) 수직피개가 1 mm 증가할 때 탈락률에 관한 위험도는 1.35배 증가하며, 치료 후(T2) 수평피개가 1 mm 증가할 때의 탈락 위험도는 1.68 배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