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146

Cited 0 times in

우리나라 성인 남성 담배제품 경험자의 담배제품 현재사용 관련 특성 : 국민건강영양조사(2020) 자료 분석

Other Titles
 Associated factors with current tobacco products use in Korean men who experienced tobacco products 
Authors
 이환주 
Colleg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partment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gree
석사
Issue Date
2023-02
Abstract
배경 및 목적: 흡연은 폐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과 사망 발생에 가장 큰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고, 이러한 심각성은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해 조사된 성인의 현재 흡연율은 지속적인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여성의 현재 흡연율이 6.6%인 것에 비해, 성인 남성의 현재 흡연율은 34%로 아직도 높은 상태이며, 더욱이 액상형 전자담배(e-cigarettes), 가열담배(heated tobacco product)와 같은 신종담배 사용이 증가해 왔다. 또한 담배제품 경험자들이 신종담배를 사용하고 있는 사례가 파악되었으나 담배제품 경험자들의 신종담배 포함 현재 담배제품 사용에 대한 보고는 찾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성인 남성 담배제품 경험자의 현재 담배제품 사용 현황과 관련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신종담배 대응과 담배제품 사용률 감소를 위한 정책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20년 실시된 횡단면조사인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 자료를 이용하였다. 전체 응답자 7,359명 중에서 여성 3,945명과 19세 미만 652명, 담배제품 미경험자 805명, 그리고 문항에 응답을 하지 않은 182명을 제외한 1,775명을 분석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성인 남성 담배제품 경험자 중 현재 담배제품 사용 여부를 분류하여 그 빈도와 관련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술 분석 및 복합 표본 특성을 반영한 Rao-Scott Chi-square 검정, Survey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적 특성의 경우 20대에 비해 50대에서 현재 담배제품을 사용할 오즈비가 0.44(95% CI=0.28-0.70)이었고, 60대 이상에서는 0.24(95% CI=0.15-0.38)이었으며, 30대와 40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혼인 상태는 결혼한 경우에 비해 별거, 사별, 이혼, 미혼인 경우 현재 담배제품을 사용할 오즈비가 1.48(95% CI=1.08-2.03)이었다. 그 외 거주지역, 주거형태, 교육수준, 가구소득, 근로형태, 건강보험 종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건강행태 특성 및 건강상태 특성의 경우 음주 여부에서는 음주를 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음주를 하는 경우 현재 담배제품을 사용할 오즈비가 1.74(95% CI=1.32-2.30)이었다. 중강도 신체활동은 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하는 경우에서 현재 담배제품을 사용할 오즈비가 0.60(95% CI=0.46-0.76)이었다. 그 외 스트레스 인지, 비만, 고혈압 유병 여부, 당뇨병 유병 여부, 고지혈증 유병 여부, 주관적 건강인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우리나라 성인 남성 담배제품 경험자의 현재 담배제품 사용 관련 특성에 근거하여 정책 마련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첫째, 20-40대 연령층의 금연을 지원하는 사업을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활성화하는 정책적 지원을 통하여 궐련담배와 더불어 청년층의 신종담배 사용에 대응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혼인 상태가 담배제품 사용을 포함한 건강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광범위한 검토 및 연구를 추가적으로 진행하여 관련 정책에 대한 논의를 활발하게 진행해야 하며, 다음으로 담배제품 사용의 위험 특성인 음주 인구를 줄이는 음주 중재 사업을 확대하고, 마지막으로 질병 예방 및 치료 뿐만 아니라 담배제품 사용률을 낮추기 위한 목적으로 신체활동과 담배제품 사용에 관한 연구들을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하는 정책 지원 사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Files in This Item:
T01572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9700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