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 114

Cited 0 times in

여성의 직장 내 상병수당 및 의료비 지원 혜택여부와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연관성

Other Titles
 The Relations betwee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Sick Leave and Medical Expense Support in Working Women 
Authors
 윤지혜 
Colleg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partment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gree
석사
Issue Date
2023-02
Abstract
고령화로 인해 의료의 패러다임이 급성질환의 치료에서 만성질환의 관리로 변화됨에 따라 건강관련 삶의 질(HRQo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과 같은 질적 지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여성의 건강은 사회 전체의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나 건강에 취약하고 건강관련 삶의 질은 남성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장 여성의 경우 다중 역할로 인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에 이 연구는 성인 직장 여성을 대상으로 직장 내 복리후생과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원은 여성가족패널 4-8차 웨이브(2012-2020)를 사용하였으며, 직장 여성 674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흥미변수는 직장 내 복리후생 중 상병휴가와 의료비 지원제도 두 가지로 정하였고, 종속변수는 건강관련 삶의 질로 하였다. 독립변수에는 연령, 교육수준, 지역, 결혼상태, 미취학 자녀 여부, 가구소득, 직종, 정규직 여부, 주 평균 근무시간, 월 급여, 가사노동시간, 돌봄노동시간, 주관적 건강상태를 포함시켰다. 분석방법은 먼저,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분포 파악 위해 카이제곱분석을 수행하고, 기술통계량을 빈도와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그리고 연구 대상자의 복리후생 혜택여부와 건강관련 삶의 질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일반화 추정방정식(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GEE)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후에 각 독립변수에 따라 층화하여 복리후생과 건강관련 삶의 질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혜택받은 복리후생 종류에 따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연관성을 GEE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는 다섯 개의 척도에 따라 복리후생 혜택여부와의 연관성을 GEE 분석으로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직장 내 상병수당 혹은 의료비 지원 혜택을 받은 경우는 563명(83.5%)이었으며, 건강관련 삶의 질의 평균치는 0.94로 확인되었다. 직장 내 상병수당 혹은 의료비 지원제도를 제공받은 경우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나쁠 오즈가 0.47배 낮았다.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장 내 복리후생, 연령, 직업상태, 주관적 건강상태로 확인되었다. 연령이 낮을수록, 임시직보다는 정규직에서, 생산직보다는 서비스직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독립변수별 세부분석에는 고소득자에 비해 저소득자에서, EQ-5D 다섯가지 척도 분석에서는 일상생활 및 운동이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여성의 직장 내 복리후생 중 상병수당 및 의료비 지원 혜택여부와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연관성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분석결과 직장 내 복리후생을 제공받지 못하는 사람에 비해 제공 받는 것이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오즈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직장 내에서 효과적인 상병수당 및 의료비 지원제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침을 제공하고, 건강 형평성 제고를 위해 소외계층 없이 많은 대상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As the medical paradigm shifted from acute disease treatment to chronic disease management due to aging society, interest in qualitative indicators lik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has been increasing. Even though women’s health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well-being of the whole society, their health is vulnerable and their HRQoL is lower than that of men. In particular, it is well known that working women get stressed because of multiple roles. Therefore,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relations between sick leave and medical expense support and HRQoL, by covering adult working women.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from 4th to 8th waves(2012-2020), and it covered 674 working women. This study set interest variables as sick leave and medical expense support out of workplace welfare benefits, and it set dependent variable a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t set independent variables as age, education level, region, marital status, preschool children, household income, occupation, job status, average weekly working hours, monthly salary, housework hours, caring hour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s for the analysis method, this study conducted chi-square analysis in order to recogniz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research subjects and expressed frequency and percentage. In addition, this study conducted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related factors between sick leave and medical expense support in workplace and HRQoL of research subjects. Then, it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dependent variable and independent variables through GEE analysis for each subgroup in order to identify the combined effect of each variable. After that, it analyzed stratifed GEE analysis by each independent variables and workplace benefits. And it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5 dimensions of EQ-5D and dependent variable through GEE analysis. As a result of research, the subject who has received the benefit of sick leave or medical expense support are 563(83.5%) and the average of HRQoL was 0.94. When people receive sick leave or medical expense support, the odds ratios of having HRQoL which is lower than the average was 0.47 times. This study found that workplace welfare, age, occupational statu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re factors, affecting HRQoL. HRQoL is high if people receive workplace welfare, if their age is younger, if their occupational status is permanent rather than temporary, and if they are service workers rather than production workers. In addition, the better subjective health status is, the higher HRQoL is. In specific analysis for each independent variable, if they are in a low-income class compared to a high-income class, there is a greater effect on life quality related to health, and in EQ-5D detailed analysis daily life and exercise have a greater effect on HRQoL.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workplace welfare of women and HRQoL. As a result of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receiving workplace welfare has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HRQoL. Therefore, guidelines have to be suggested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workplace welfare in the workplace, and support measures should be prepared in order to benefit many people without the underprivileged as much as possible for improving health equity.
Files in This Item:
T01572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9700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