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142

Cited 0 times in

1인 가구와 다인 가구 음주문제 수준의 성별 차이와 관련 요인 분석

Other Titles
 Gender differences and Related Factors on Alcohol Problem Levels in Single and Multi-Person Households 
Authors
 김유정 
Colleg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partment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gree
석사
Issue Date
2023-02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In 2021, the proportion of single households in Korea is 33.4%, which has steadily increased over the past five years and is expected to reach 39.6% by 2050. Compared to multi-person households, single person households showed lower socio-economic status and poor health conditions, and drinking level is higher than multi-person households. Also, it was reported that gender, age, smoking, and depression are highly related to the drinking level of single person households. Previous studies focused on analyzing differences by gender or finding related factors within singleperson households about alcohol problems, however, it was difficult to find studies that compared single and multi-person households with gender differences. As most of the studies investigated the drinking level with a single question or total score on a scal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alcohol problem level by gender and household types and tried to identify the results of the drinking problem level in consideration of the sub-classification of the scale. In addition, we aimed to find related factors of drinking problem levels in single households. Method: This study used Korea Welfare Panel Study 16th survey data(2021). A total of 4,630 study subjects included adults 19 years of age and older, excluding nonresponders and non-drinkers. They were divided into single-households and multi-person households groups. The level of an alcohol problem, which is the dependent variable, set up a total score of 10 questions and three subcategories, using the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AUDIT). The three subcategories consisted of 'Hazardous Alcohol Use', 'Dependence Symptoms', and 'Harmful Alcohol Use'.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level, residential area, marital status, income level, and economic activity; health-related factors such as chronic diseases, current smoking status, and depression; and social relationships such as family-relationship and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gender comparison of single households and multi-person household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gender differences at the level of drinking problems used the Chi-square tes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Factors related to the level of drinking problems in single households were analyzed through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earch results: The total score of AUDIT for single households was 7.03 points, higher than multi-person households by 6.37 points(p=.005), as same correlation with the total score of AUDIT odds ratio of 1.03 times (95% CI, 1.01-1.05) and 'Hazardous Alcohol Use' odds ratio 1.12 times (95% CI, 1.07-1.16). The drinking problem level of male single person households was higher than the female group, excepting ‘Harmful Alcohol Use’, and male multi-person households had higher total scores in AUDIT and three subcategories than female multi-person households(p<.001). The total score of AUDIT and ‘Hazardous Alcohol Use’ in females compared to males decreased by 0.86 times (95% CI, 0.82-0.89) and 0.72 times (95% CI, 0.67-0.77) each for single person households, and as same 0.83 times (95% CI, 0.80-0.85) and 0.80 times(95% CI, 0.75-0.79) each for multi-person households. As regards main factors related to the level of drinking problems in single households, the age above 65(p<.001), gender of female(p<.001), and education level above college(p=.003) were related to the lower drinking problem level, and the current smoking(p<.001) and high depression(p=.025) level showed a relationship with a higher level of drinking problems. Conclus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level of alcohol problems in single and multi-person households using the 16th survey data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the overall drinking level and frequency, amount, and high-risk drinking rate of single person households were higher than that of multi-person households. In the case of males, both single and multi-person households had higher drinking levels, frequency, amount, high-risk drinking, and alcohol dependence than females. Also, problematic drinking behavior was higher in multi-person households. Gender, age, education, current smoking status, and depression were related to the level of drinking problems in single households. Regarding the level of drinking problems in single person households, follow-up studies reflecting the reasons for household formation and drinking behavior of single households are needed. Future research is required to develop harmful alcohol use prevention services, counseling, and intervention,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alcohol problems between gender.
배경 및 목적 2021년 국내 1인 가구 비율은 전체 가구 중 33.4%로 최근 5년간 꾸준히 증가하였고, 2050년에는 39.6%까지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인 가구에 비해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고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1인 가구는 음주수준에 있어 다인 가구와 차이가 있었고, 이는 성별 간에서도 나타났다. 1인 가구 음주의 영향요인으로도 성별이 공통적으로 제시되었으며, 이외 흡연, 우울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1인 가구 음주문제 수준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1인 가구 내적 요인 비교나 성별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주로 분석하여, 전반적인 음주문제 수준에 대해 1인 가구 및 다인 가구 간 차이를 확인하고 성별 간 비교한 연구는 찾기가 어려웠다. 또한, 음주수준을 단일 문항 또는 척도의 총점으로만 분석한 결과가 많음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1인 가구 및 다인 가구 음주문제 수준을 성별 차이로 분석하고 음주문제 수준 척도의 하위 구분을 고려하여 분석의 구체성을 더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1인 가구의 음주문제 수준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여 기존에 제시되었던 관련 요인들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 한국복지패널 16차(2021년)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만 19세 이상 성인 중 주요 변수 무응답 및 비음주자를 제외하고 총 4,630명의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였으며, 가구형태에 따라 1인 가구 558명(남성 330명, 여성 228명)과 다인 가구(2인 이상) 4,072명(남성 2,528명, 여성 1,544명)으로 구분하였다. 종속변수인 음주문제 수준은 알코올사용장애진단(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AUDIT)을 사용하여 10개 문항 총점과 3개 하위 구분으로 구분하였다. 3개 하위 구분은 문항 1~3번 ‘위험한 음주(Hazardous Alcohol Use)’, 문항 4~7번 ‘알코올 의존(Dependence Symptoms)’, 문항 8~10번 ‘해로운 음주(Harmful Alcohol Use)’로 구성하였다. 독립변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 성별, 연령, 교육수준, 거주지역, 결혼상태, 소득수준, 경제활동 여부, 건강 관련 요인으로 만성질환 여부, 현재 흡연 여부, 우울, 사회적 관계 요인은 가족관계 만족도와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로 선정하였다.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일반적 특성 및 성별 비교는 기술통계 분석으로, 음주문제 수준의 성별 차이는 교차분석(Chi-square test), t-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 분석(Logi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1인 가구의 음주문제 수준과 관련된 요인은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r Regression)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분석을 위해 IBM SPSS statistic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1인 가구의 AUDIT 총점은 7.03점으로 다인 가구 6.37점보다 높았고(p=.005), 하위 구분 중에서는 ‘위험한 음주’(p=.001), ‘알코올 의존’(p=.037) 총점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다인 가구 대비 1인 가구일 경우 AUDIT 총점이 1.03배(95% CI, 1.01-1.05), ‘위험한 음주’ 총점이 1.12배(95% CI, 1.07-1.16) 증가하였다. 남성 1인 가구는 여성에 비해 AUDIT(p<.001), ‘위험한 음주’(p<.001), ‘알코올 의존’(p=.012) 총점이 높았고, 남성 다인 가구는 AUDIT과 3개 하위 구분 총점 모두 여성 다인 가구보다 높았다(p<.001). 남성 대비 여성의 음주문제 수준은 여성일 경우 AUDIT과 ‘위험한 음주’ 총점이 1인 가구는 0.86배(95% CI, 0.82-0.89), 0.72배(95% CI, 0.67-0.77)가, 다인 가구는 0.83배(95% CI, 0.81-0.85), 0.80배(95% CI, 0.75-0.79)가 각각 감소하였다. 전체 1인 가구의 음주문제 수준과 관련된 주요한 요인은 연령, 성별, 교육수준, 현재 흡연 여부, 우울이었다. 연령이 만 65세 이상 높고(p<.001), 여성이고(p<.001), 교육수준이 전문대졸이상 높은 경우(p=.003) 음주문제 수준은 감소하였고, 현재 흡연을 하고 있고(p<.001), 우울 수준이 높은 경우(p=.025)에는 증가하였다. 결론 한국복지패널 16차(2021년)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1인 가구 및 다인 가구의 음주문제 수준의 성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1인 가구 전반적인 음주수준과 음주빈도·양·고위험음주, 알코올의존 수준이 다인 가구보다 높았다. 남성의 경우, 1인 가구와 다인 가구 모두 여성보다 음주수준과 음주빈도·양·고위험음주, 알코올의존 수준이 높았으며, 다인 가구에서는 문제음주 행동 또한 높게 나타났다. 1인 가구 음주문제 수준과는 연령, 성별, 교육수준, 현재 흡연 여부, 우울 수준이 관련이 있었다. 1인 가구 음주문제 수준에 대해서 가구형성 사유와 1인 가구의 음주행태를 반영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고, 남녀 간 상이한 음주문제 수준을 고려한 음주폐해예방 서비스 및 상담·개입 제공을 위해 관련된 연구도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01568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9696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