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0 814

Cited 0 times in

노인 최장기 직종 및 종사상 지위와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련성 : 2020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Correlation of Subjective Health Status with Longest-held Occupation and Occupational Status among Elderly People in South Korea : A Study Based on 2020 National Survey of the Elderly 
Authors
 장아현 
Colleg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partment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Degree
석사
Issue Date
2022-02
Abstract
Economic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have led to a decrease in mortality and an increase in life expectancy around the world. Currently, people 65 years old and older account for 16.7% of South Korea’s population. It is predicted that this group’s share will continue to increase, reaching 20.3% in 2025, marking South Korea a super-aged society. It is estimated that by 2047, nearly half of all households will be elderly households. As the elderly population increase in absolute numbers and as a proportion of the total population, various health problems are becoming more prevalent. Accordingly, the desire to reduce the burden of disease and ensure a healthy old age is increasing. Studies o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have shown that elderly people’s economic activities are correlated with their subjective health statu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how elderly people’s subjective health status correlated with their longest-held occupation and occupational status. Comparative analysis was made with gender-specific approach while controlling for demographic and health behavior factor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020 National Survey of the Elderly conducted nationwide on the elderly 65 years and older. There were 10,097 respondents but only data about 9,550 was analyzed because some were excluded because of missing values. SAS version 9.4 was used to conduct Rao-scott, chi-square,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s, which were chosen given the data’s characteristics. Three models were used that accounted and controlled for different factors. Model 1 was the regression model and it was used to identify how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correlated with the longest-held occupation and occupational status. Model 2 was the same as Model 1 expect that it controlled for demographic and social factors. Model 3 was the same as Model 2 except that it controlled for health behavior factors. This study’s results showed that 42.6% of the male respondents and 55.0% of female respondents responded that they had poor health.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controlling for both demographic and health behavioral factors,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in how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correlated with longest-held occupation and occupational status. For man, the correlation of subjective health status with longest-held occupation and occupational status w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However, for women, chances of poor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e white-collar self-employed group; the pink-collar irregular workers group; and the blue-collar self-employed group as well as economically inactive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white the white-collar regular workers group. Among other variables, older age, disease or death of spouse, unemployment, unsatisfactory social relationship or relationship with friends, lack of exercise, depression, multiple chronic disease and poor ability to perform everyday activities increased the chances of poor subjective health status. This study controlled demographic and health behavioral factors using the most recent survey data on the elderly population of South Korea. It wa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in detail the correlation of subjective health with longest-held occupation and occupational status. This study’s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establish policies to provide preventive health care services for elderly people and thus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전세계는 경제성장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증가되었다. 2021년 현재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전체인구의 16.7%이며, 향후 이러한 현상은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2025년에는 20.3%에 이르러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리하여 2047년에는 전체 가구의 절반인 약 49.6%가 고령가구가 될 것으로 예측한다. 노인인구의 증가로 다양한 보건학적 문제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질병부담을 줄이고, 건강한 노후를 보장하고자 하는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노년기의 삶의 질을 대변하는 지표로 사망률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 지표이다. 주관적 건강상태의 부정적 변화는 건강문제의 발생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점(Choi, 2016)에서 주관적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는 중요하다.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통해 노인의 경제활동과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성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노인 인구집단의 특성 상 시간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과거의 경제활동 경험이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최장기 직종 및 종사상 지위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를 살펴보고,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된 인구사회적 요인, 건강행태 요인을 통제한 후 성별 접근을 통한 비교분석을 통해 최장기 직종 및 종사상 지위와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전국적으로 시행된 2020년 노인실태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해 결측치 및 미응답 등을 제외하여 총 10,097명 중에서 9,55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AS version 9.4를 사용하였으며, 기술분석 및 Survey 특성을 반영한 Rao-scott Chi-square, Binary Logistic regression을 총 3개의 모형으로 구분하여 관련된 요인을 통제 후 분석을 진행하였다. 회귀모형은 주요관심변수인 최장기 직종 및 종사상 지위와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련성을 확인한 모형 1, 모형 1에서 인구사회적 요인을 통제한 모형 2, 추가로 건강행태요인까지 통제한 모형 3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가 남성 노인의 42.6%에서 나쁨으로, 여성 노인의 55.0%에서 나쁨으로 인식하였고, 성별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인구사회적 요인, 건강행태 요인을 모두 통제 한 상태에서, 주관적 건강상태와 최장기 직종 및 종사상 지위와의 관련성에서도 성별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남성 노인은 주관적 건강상태와 최장기 직종 및 종사상 지위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반면 여성 노인은 화이트칼라의 정규직군을 기준으로 화이트칼라의 자영업자군, 핑크칼라의 비정규직군, 블루칼라의 비정규직군, 블루칼라의 자영업자군, 비경제활동군에서 주관적 건강상태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높았다. 그 외의 변수에서 남녀 노인 모두 연령이 높아질수록, 혼인을 하였으나 건강하지 않는 배우자가 있는 경우 또는 사별한 경우,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가 나쁜 경우, 친구 및 사회와의 관계 만족도가 나쁜 경우,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 우울한 경우, 만성질환 개수가 많은 경우, 일상생활수행능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주관적 건강상태를 부정적으로 인식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인구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대규모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한 가장 최근의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인구사회적 요인, 건강행태요인을 통제한 후 남녀노인의 성별에 따른 최장기 직종 및 종사상 지위와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 보다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의 최장기 직종 및 종사상 지위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로 직업별 노인의 건강상태에 대한 예방적 건강관리를 통해 보다 나은 삶의 질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정책적 기반을 세우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T01539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981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